메뉴 건너뛰기

육아근로시간 단축제로 실근로 줄여
자율 시행으로 주 5일제 충돌 최소화
“너가 쓰면, 내가 쓰고”···배려 문화도
외국인 근로자들이 경기 김포시 양촌읍에 위치한 한 중소기업에서 주물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김포)=임지훈 기자

[서울경제]

“자녀 돌보는 게 걱정인 부모와 주말에 여행 떠나고 싶은 청년까지 모두 만족하죠.”

울산 중구청은 올 1월부터 직원이 주 4.5일제를 쓰도록 했다. 월~목요일에 1시간 씩 더 일하는 식으로 4시간을 아껴 금요일 오후엔 몰아 쉰다. 전 직원 719명 중 약 23%가 이렇게 금요일에 1번 이상 일찍 퇴근했다. 시범 사업으로 출발한 이 제도는 직원들 호응이 높아 5월부터 본 사업이 된다. ‘자신감’이 붙은 울산 중구청은 직원 절반까지 쓰도록 제도를 확대하기로 했다.

울산 중구청이 주 4.5일제를 성공한 이유는 크게 세 가지다. 우선 주 4.5일제를 쓴 직원 30% 가량이 육아근로시간 단축제를 병행했다. 이 제도는 자녀가 어릴 때 근로시간을 하루 최대 2시간 단축할 수 있다. 단축제를 쓴 직원들은 덜 일할 수 있는 2시간 중 1시간을 주 4.5일제 1시간으로 썼다. 결국 주 4.5일제를 쓰면서도 월~목요일 1시간 일찍 퇴근하는 효과를 누린 셈이다.

두번째는 주 4.5일제를 강제하지 않고 원하는 직원만 활용하도록 했다. 동시에 희망 직원 중 25%만 쓰도록 했다. 또 부서 별로 활용 직원이 몰리지 않도록 했다. 매월 직원 만족도 설문조사도 실시했다. 주 4.5일제 적응 기간을 충분히 둔 셈이다.

세번째는 직원 간 소통과 배려다. 중구청 한 직원은 “‘이번 주는 내가 쓰면, 다음 주는 너가 쓴다’는 식으로 주 4.5일제 사용을 조율했다”며 “A직원이 한 번도 안 쓰면 B직원에게 A직원이 안 쓴 기회가 돌아간다”고 말했다. 이 소통 덕분에 주 4.5일제와 기존 주 5일제가 크게 충돌하지 않았다. 동시에 주 4.5일제를 써 일찍 퇴근한 직원의 업무를 대신 맡을 직원들의 불만을 낮췄다.

조기 대선을 앞둔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주 4일제와 주 4.5일제를 공약으로 내걸었다. 양당이 장시간 노동 문제 해결에 관심을 둔 건 반길 일이다. 하지만 두 제도를 제대로 시행하려면 양당은 울산 중구청 보다 더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우선 낮은 유연근무제 활용률을 끌어올려야 한다. 유연근무제를 활용해야 ‘국힘식 주 4.5일제’가 가능하다. 하지만 고용노동부의 지난해 6월 말 기준 유연근무제 활용률 조사를 보면 탄력근로제가 4.1%, 선택근로제가 2.7%, 재량근로제가 0.9%다. 그나마 대기업이 적극적으로 쓴 덕분이다. 탄력근로제는 근로자 300인 이상 사업체가 40.6%인 반면 100인 미만은 4%에 머물렀다. 주 4.5일제는 중소기업이 쓰기 어렵다는 것이다.

낮은 노동생산성이 더 떨어질 수 있는 상황을 막아야 한다. 2023년 우리나라 시간당 노동생산성은 44.4달러로 OECD 국가 평균보다 약 20% 낮다. 우리나라는 시장구조상 생산성을 올리기 어렵다. 근로자 성과보다 연공에 따라 임금 수준이 결정되는 기업이 많고 해고 금지로 대표되는 근로자 보호도 해외보다 엄격하다는 평가를 받기 때문이다.

대기업·공공부문과 중소기업 간 임금 등 격차를 더 벌려 사회 양극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 대기업과 공공부문은 근로시간이 줄더라도 일정 수준 임금을 보전할 방법을 찾기 쉽다. 반면 임금 지급 여력이 낮고 고질적인 인력난까지 겪는 중소기업은 근로자가 원하는 임금 수준을 맞추기 어려울 수 있다. 이미 우리나라는 대기업 정규직 근로자가 100을 벌면 중소기업 비정규직은 50~60을 벌 정도로 격차까지 심하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795 민주, 충청서 첫 경선결과 발표…후보들 합동 정견발표 랭크뉴스 2025.04.19
45794 이재명 지지율 올라 38%…보수 8인은 다 합쳐 27% 랭크뉴스 2025.04.19
45793 [특파원 시선] "오늘이 제일 싸다" 물가 안 잡히는 튀르키예 랭크뉴스 2025.04.19
45792 영남 선물 보따리 푼 이재명 "TK 아들이 과거 영광 되찾게 하겠다" 랭크뉴스 2025.04.19
45791 소고기의 나라, 아르헨티나 국민이 소고기를 못먹는 날은? 랭크뉴스 2025.04.19
45790 "인생에서 가장 미친 경험"…평양 끝으로 세계 195개국 방문한 25세 남성 랭크뉴스 2025.04.19
45789 흐린 하늘 아래 전국 봄비…돌풍에 천둥·번개도 랭크뉴스 2025.04.19
45788 흔들리는 美 증시에 고개든 서학개미…세금 똑똑하게 줄이려면 [공준호의 탈월급 생존법] 랭크뉴스 2025.04.19
45787 '폭싹 속았수다' 관식이 죽인 그 병, 지금은 10년은 더 산다 랭크뉴스 2025.04.19
45786 경찰, ‘용인 일가족 5명 살해’ 50대 가장 신상공개 안 한다 랭크뉴스 2025.04.19
45785 "文 반성하라" "朴 당 떠나라"…독했던 내부 결별, 尹이 이렇다 랭크뉴스 2025.04.19
45784 [단독] “전역했는데 더 일하겠다고요?” 고집 센 '준영쌤'의 특별한 2년 랭크뉴스 2025.04.19
45783 교도소서 부부관계 허용…이탈리아 최초 '애정의 방' 개설 랭크뉴스 2025.04.19
45782 러·우 전쟁, 이란 핵 협상 두고 각국 숨가쁜 외교…마크롱 “긍정적 논의” 랭크뉴스 2025.04.19
45781 한화에너지 등 3개사, 한화에어로 1.3조 유상증자 참여 결의 랭크뉴스 2025.04.19
45780 중국, 미국 입항료 부과에 “즉각 중단 촉구”…보복 조치 시사 랭크뉴스 2025.04.19
45779 트럼프, 금리 안 내리는 파월 의장 ‘해고’ 협박 랭크뉴스 2025.04.19
45778 "복권 1등 되면 뭐 할지 적어놨는데 꿈 이뤄져"…'20억' 당첨된 행운남 랭크뉴스 2025.04.19
45777 "도박에 빠져 애들 핸드폰까지 팔아치우고 잠적한 남편…이혼할 수 있을까요?" 랭크뉴스 2025.04.19
45776 백악관, '파월 해임 가능성' 질문에 "그 문제는 계속해서 검토"(종합) 랭크뉴스 2025.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