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스스로 원칙 훼손… 차기 정부 부담
시민 단체 “혼란 견딘 국민 배신”
교육 정상화·전공의 복귀 불투명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된 ‘2026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 조정 방향’ 브리핑에서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이 부총리는 “의료개혁이 후퇴하는 것이 아닌지 우려를 끼치게 된 점에 대해 송구하다”고 말했다. 윤웅 기자

정부가 추진했던 의대 증원이 사실상 백지화되면서 ‘빈손 개혁’에 대한 비판이 고개를 들고 있다. 장기간 의료 공백에 따른 환자 고통, 의사 배출 중단을 부른 의대 학사 파행 등 무수한 부작용을 양산하고 얻은 게 없다는 비판이다. 정부가 의사 단체에 휘둘리고 스스로 원칙을 훼손하면서 차기 정부에도 부담을 지웠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환자·시민 단체들은 “의료 공백의 혼란을 묵묵히 견딘 국민을 배신했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17일 2026학년도 의대 ‘증원 0명’을 확정 발표하며 “증원을 기대하셨던 국민 여러분께 의료개혁이 후퇴하는 것이 아닌지 우려를 끼치게 된 점에 대해 송구하다”고 머리를 숙였다.

정부는 지난해 2월 필수·지역 의료를 살려야 한다며 2035년까지 의대 정원을 매년 2000명 늘리겠다고 발표했다. 27년 만의 증원이었다. 하지만 실질적인 의대 증원 규모는 올해 1509명, 다시 내년에는 ‘0명’이 됐다. 2027학년도 이후는 차기 정부에서 별도 논의 기구를 통해야 하기 때문에 또다시 안갯속이다.

의대 증원 문제는 의·정 갈등을 촉발한 시발점이자 정부 의료개혁의 핵심이었다. 이에 반발해 수만 명의 전공의가 병원을 떠나며 의료 공백이 발생했다. 보건복지부는 상급종합병원 구조 전환, 중증·필수 의료 수가 개선,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 등 의료개혁 실행 방안을 차례차례 내놓았지만 전공의들은 돌아오지 않았다. 갈등 장기화로 의료계에선 ‘1년 넘게 대안 없이 비판만 한다’는 내부 갈등도 불거졌다.

의·정 갈등 사태의 변수는 의대생이었다. 병원을 둘러싼 전공의와 정부의 갈등이 대학이라는 교육 현장으로 옮겨붙으면서 부처 간에도 이해관계가 복잡해졌다. 의료개혁 정책을 이끄는 보건복지부와 의대 교육을 정상화해야 하는 교육부의 ‘우선순위’가 충돌하기 시작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정부는 ‘의대 정원 원점 회귀’라는 최후의 카드를 썼지만 의대 교육 정상화는 불투명하다. 전공의 단체는 의대 증원 백지화를 포함한 7대 요구안을 고수하고 있다. 의대 정원 확정이 전공의들이 복귀할 계기가 되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많다. 다만 일각에선 이번 발표를 계기로 대한의사협회가 정부에 제안한 대화 창구가 열릴 것이란 기대 섞인 반응도 있다. 정부가 의사 단체들의 주장을 수용한 만큼 갈등 완화 수순으로 접어들 것이란 전망이다.

환자들은 분노를 쏟아냈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성명에서 “국민과 환자는 의사 인력 증원과 의료 개혁을 통해 필수·지역 의료를 살리겠다는 정부 계획을 믿고 건강보험 재정과 세금 투입에도 반대하지 않았다. 그 결과가 의대 증원 정책 포기라니 참담하다”고 토로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도 “의료계는 대선을 50여일 앞둔 시점에 집단행동 수위를 높이며 정치권에 정책 후퇴를 요구할 것”이라며 “의대 증원을 비롯해 필수의료 강화를 위한 의료 전달체계 개편, 비급여 관리 강화 등 의료 개혁 정책은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357 ‘여자는 교회서 잠잠하라’?… 성경의 본뜻 꿰뚫어야 랭크뉴스 2025.04.18
45356 [단독] ‘IMF 이후 첫 적자’ 신협, 부동산·건설 대출 한도 초과 조합만 100곳 랭크뉴스 2025.04.18
45355 ‘일방 증원’ 정부·‘환자 볼모’ 의료계…상처만 남긴 ‘1년 전쟁’ 랭크뉴스 2025.04.18
45354 81세 장영자 다섯번째 수감... 그가 사기 범죄 반복하는 이유는 랭크뉴스 2025.04.18
45353 [이슈 In] 퇴직연금 수익률 2%대 '제자리걸음'…'기금형 도입' 해법 될까? 랭크뉴스 2025.04.18
45352 대선 정책테마주 뜬다…이재명 방문하자 방산·콘텐츠 일제히 급등 [이런국장 저런주식] 랭크뉴스 2025.04.18
45351 장애인 학대 피해자 수 20대 최다…증가율은 17세 이하 최고 랭크뉴스 2025.04.18
45350 ‘韓대행 재판관 임명’ 제동 건 변호사 “누굴 지명했어도 소송” 랭크뉴스 2025.04.18
45349 [오늘의 운세] 4월 18일 금요일 랭크뉴스 2025.04.18
45348 부동산 가격 저점 신호? 부실채권 시장에 돈 몰린다 랭크뉴스 2025.04.18
45347 "진정한 혼밥 1인자인가"…지하철서 '쌈' 싸먹은 민폐男 등장에 '공분' 랭크뉴스 2025.04.18
45346 ‘울산 중구’여서 가능했던 ‘주 4.5일제’ [양종곤의 노동 뒤집기] 랭크뉴스 2025.04.18
45345 신상 털릴라, ‘尹재판’ 검사들도 떤다…300m도 차 타고 이동 랭크뉴스 2025.04.18
45344 [단독]건진법사 부인 수상한 광산사업, 유력 정치인이 도운 정황 랭크뉴스 2025.04.18
45343 트럼프 "다른 나라가 관세 협상하길 더 원해…결정은 우리가 해"(종합) 랭크뉴스 2025.04.18
45342 [단독] "AI시대, 원전이 필요하다" 이재명, 에너지정책 '우클릭' 랭크뉴스 2025.04.18
45341 김문수 "탄핵 넘어선 '반명 빅텐트' 필요... 한덕수 유승민 김부겸과도 단일화" [인터뷰] 랭크뉴스 2025.04.18
45340 사람은 쉽게 푸는데 AI는 포기선언... AI 한계 시험 위해 작정하고 만든 ‘최후의 테스트’ 랭크뉴스 2025.04.18
45339 차비 아까워 걸어 다니던 그 학생들이 시작한 첫 기부[아살세] 랭크뉴스 2025.04.18
45338 권력과 돈에 갇힌 보수, 윤석열 내려놔야 살 수 있다 [위기의 보수, 길을 묻다] 랭크뉴스 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