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7일 정부가 내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 수준인 3,058명으로 확정했다. 이날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에서 학생들이 삼삼오오 대화를 나누고 있다. 뉴시스


정부가 어제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전 수준인 3,058명으로 되돌렸다. ‘의대생들이 수업에 전원 복귀해야 동결’하겠다더니 복귀율이 30%도 안 되는 상황에서 내린 결정이다. 결국 아무것도 얻지 못한 채 ‘빈손’으로 백기투항한 셈이다. 1년여간 환자 목숨을 담보로 증원을 고집해온 결과라니 참담하다.

이번 조치는 지난달 초 정부가 의대생들이 3월 내 전원 복귀 시 내년 정원을 증원 전으로 되돌리겠다고 밝힌 데 따른 것이다. 하지만 전국 40개 의대에서 실제 수업 참여율은 예과 22%, 본과 29%에 그쳤다. ‘전원이 아니라 정상 수업이 가능한 정도’라고 슬그머니 바꾼 조건에도 턱없이 못 미친다. 정부는 전날 이뤄진 의대 학장·총장단 건의를 수용하는 형식을 빌렸다.

이로써 작년 2월 정부가 발표한 의대 정원 2,000명 확대는 큰 상처만 남긴 채 1년 만에 없던 일이 됐다. 장기간 의료공백에 환자들의 초과 사망과 응급실 뺑뺑이 피해가 잇따랐고, 향후 의사 배출 절벽을 예고하고 있다. 그럼에도 갈등 봉합은 아직 먼 얘기다. 애초 필수의료 패키지 철폐를 함께 주장해온 학생들이 ‘1년 한시 동결’만으로 수업에 돌아올지 불투명하고, 이미 의사 면허를 취득한 전공의들은 급할 게 없다. 상당수가 다른 병·의원에서 근무 중이다.

사태 초기 “권력은 절대 의사들을 이길 수 없다”(노환규 전 의사협회 회장)는 기고만장한 주장이 여론 뭇매를 맞았다. 그러나 현실이 됐다. 이대로 끝을 맺으면 의료개혁은 영영 손을 못 댄다. 계속 수업을 거부하는 학생들은 학칙대로 유급·제적해야 한다. 24·25·26학번을 동시 교육하는 ‘트리플링’이 부담이 되는 건 사실이지만, 이를 이유로 더 이상의 특혜는 곤란하다.

2027학년도 이후 정원을 논의할 의료인력 수급추계위원회가 제 역할을 할 수 있을지도 걱정이다. 추계위원 과반이 의료계 추천 전문가라 의료계 입김에 휘둘릴 소지가 다분하다. 어떻게 객관적·과학적 추계 체계를 갖출 수 있을지 답을 찾아야 한다. 그렇잖으면 더 이상 단 1명의 증원도 쉽지 않을 것이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766 이재명 “트럼프 ‘광인 작전’ 펼쳐… 방위비·조선 등 포괄 협상 필요” 랭크뉴스 2025.04.19
45765 '음주운전 왜 하셨어요?' 묻자…"술 깬 줄 알고" 2위, 그렇다면 1위는? 랭크뉴스 2025.04.19
45764 폭스바겐그룹, 아우디 미국 현지생산 추진 랭크뉴스 2025.04.19
45763 "강남역에 이상한 사람이 살아요"…수상한 남자 알고 봤더니 랭크뉴스 2025.04.19
45762 "테슬라, 주행거리계 조작해 무상 보증기간 단축"…美서 소송 랭크뉴스 2025.04.19
45761 "관세 우려에 美부자들 '자산 엑소더스'…스위스에 계좌 개설" 랭크뉴스 2025.04.19
45760 ‘헌법 준수’ 메시지 남긴 문형배·이미선···헌재, 열흘 만에 다시 ‘7인 체제’로 랭크뉴스 2025.04.19
45759 저임금·고된 업무... 일할 사람 사라지는 학교 급식실 [영상] 랭크뉴스 2025.04.19
45758 퓨마 등 야생동물 가득한 곳서, 길 잃은 두 살배기 구하고 지킨 목장견 랭크뉴스 2025.04.19
45757 러 "우크라 평화협상 일부 진전…어려운 논의 여전" 랭크뉴스 2025.04.19
45756 ‘오폭 사고’ 한 달여 만에···야간훈련하던 공군 항공기서 연료탱크 등 떨어져 랭크뉴스 2025.04.19
45755 이재명 “당선 땐 집무실 일단 용산” 김경수 “용산 하루도 못 써” 김동연 “바로 세종” 랭크뉴스 2025.04.19
45754 [영상] “윤석열이 대통령 아닌 14일차 아침…홍세화도 함께했다면” 랭크뉴스 2025.04.19
45753 한동훈 ‘막차’로 오세훈 만났지만, 홍·나·안 받은 USB 못 받아 랭크뉴스 2025.04.19
45752 [사설] 관용·자제 강조하며 떠난 문형배, 정치권 깊이 새겨야 랭크뉴스 2025.04.19
45751 백악관, '파월 해임 가능성' 질문에 "그 문제는 계속해서 검토" 랭크뉴스 2025.04.19
45750 “장애 대물림 알았지만 우린 부모가 됐습니다” 랭크뉴스 2025.04.19
45749 이재명 “정부 부담 민간에 떠넘기는 증세 추진, 바람직하지 않아” 랭크뉴스 2025.04.19
45748 민주당 대선경선 첫 TV토론…“증세보다 지출조정” “감세 포퓰리즘” 랭크뉴스 2025.04.19
45747 [사설] 美 압박 카드는 방위비·車·적자…긴 호흡으로 국익 지키는 협상을 랭크뉴스 2025.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