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의 1060일 ⑩ 군에 빠졌던 윤
지난 1월 14일 국회에서 ‘윤석열 정부의 내란 진상규명 국조특위’가 열리고 있다.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의 군복이 증인석에 걸려있다. [연합뉴스]
“걔네들이 우리와 똑같잖아. 칼 휘두른다는 점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이 “군인이 왜 좋으냐”는 지인의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걔네’는 군인을, ‘우리’는 검사를 뜻한다. 물론 검사의 검(檢)은 칼(劍)이 아니라 ‘검사하다’를 의미한다.

그는 군대에 안 갔다. 1982년 8월 신검(병역판정검사)에서 양쪽 시력 차이 0.6(좌안 0.7-우안 0.1) 부동시(부등시)로 제2국민역(전시근로역) 판정을 받았다.

윤 전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이었던 2022년 4월 7일 경기도 평택의 캠프 험프리스를 방문했다. 당시 미군 연합사령관은 윤 전 대통령과 악수했고, 옆에 선 한국군 부사령관은 경례했다. 나중에 윤 전 대통령이 물었다. “미군은 왜 경례 안 하지? 내가 한국인이라서인가?”

미군 사령관은 민간인 신분이었던 그에게 경례하지 않았다. 군을 좋아한다지만, 군에 대해 아는 게 적었던 윤 전 대통령이다. 민주주의 국가에서 군은 어떻게 복무해야만 하는지 이해가 부족했다. 그 결과가 12·3 비상계엄령 사태였다.

윤 전 대통령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군인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다. 충암고 1년 선배다. 첫 만남은 1977년이었다. 당시 3학년 학도호국단장이었던 김 전 장관은 공부도 잘하고 의리가 있다는 2학년 후배의 얼굴을 한번 보고 싶었다고 한다.

수십 년이 흐른 뒤 둘은 다시 만났다. 2014년 수도방위사령관이었던 김 전 장관이 국정원 댓글 사건으로 대구 고검에 좌천된 윤 전 대통령을 관사로 초청했다. 윤 전 대통령은 “선배가 너무 멋있었다. 계급장의 별이 정말 빛났다”고 했다. 2020년 검찰총장에서 직무정지된 윤 전 대통령이 편하게 술 한잔하자며 김 전 장관을 불렀다.

윤 전 대통령은 “내가 힘들 때 늘 김용현 선배가 있었다”고 말했다. 김 전 장관은 “내가 ‘윤캠 1호’”라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은 취임 후 김 전 장관을 경호처장으로 곁에 뒀다. 김 전 장관은 국방부 장관 자리 대신 군 인사 ‘추천권’을 보장받았다. 그러면서 하나둘씩 자기 사람을 요직에 심었다.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김 전 장관과 직·간접적 ‘근무연’으로 엮여 있다. 군에선 학연이나 지연보다 같이 근무한 경력인 근무연이 더 끈끈하다.

김 전 장관은 지난해 9월 6일 국방부 장관에 취임했다. 취임 직후 대령급 인사가 예정돼 있었다. 그러나 김 전 장관은 인사 실무자에게 “장성급 인사안을 가져오라”고 지시했다. 그래서 나온 게 지난해 11월 25일 하반기 장성 인사였다. 육군에서 중장 진급자가 단 한 명도 나오지 않았고, 군단장급(3성) 보직 이동도 없었다. 유례가 없는 일이었다. 이후 12·3 비상계엄 사태의 포석으로 드러났다.

김 전 장관은 성추행으로 군에서 쫓겨난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을 챙겼다. 자신과 함께 육군본부에서 근무한 경력의 노 전 사령관을 경호처에 특채하거나 공기업에 취직시켜주려 했다.

김 전 장관이 “내가 썼다”고 밝힌 포고문의 실제 작성자는 노 전 사령관일 가능성이 있다. 김 전 장관이 컴퓨터로 문서 작업을 하는 걸 본 적 없다고 측근이 진술했고, 김 전 장관의 노트북엔 문서 파일이 전혀 없었다.

윤 전 대통령은 군에 무지했고, 군 사용법을 몰랐다. 결국 칼(검찰)로 흥한 뒤 칼(군)로 망한 신세였다.

※ 이 기사의 전문은 더중앙플러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060일
"미군 왜 나한테 경례 안해?" 軍 좋아했지만 軍 몰랐던 尹 ⑩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9272

“난 이기고 온거니 걱정말라” 尹, 파면당하고도 이랬던 내막 ⑨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9055

“실패 땐 탄핵, 나도 알았다” 폭탄주 돌린 尹 ‘그날의 고백’ ⑧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722

尹 “X팔리게, 美 도움 필요없어”…日징용해법 승부수 비화 ⑦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419

의대 증원에 건건이 “아니오”…尹, 40년지기 연락도 끊었다 ⑥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182

"尹 술친구 자랑하던 그 의원, 한동안 찍혀 죽어 지냈다" 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709

"막내급 기자가 청담동 술자리 질문…尹, 그날 도어스테핑 좌절" ④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374

"비속어 썼으니" 참모들 제안…'바이든 날리면' 실상은 이랬다 ③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066

"내가 있어 지금의 尹 있다고…김건희, 술자리 때마다 말해" ②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6699

총선 출구조사에 격노한 尹 "그럴 리 없어! 당장 방송 막아!" 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6454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443 윤석열의 무지 또는 착각…계엄은 군정이 아니다 랭크뉴스 2025.04.18
45442 민주당 "서울시, 집값 하락 이유로 '싱크홀 위험지도' 비공개" 랭크뉴스 2025.04.18
45441 사람 5명 쓸 일 AI 혼자서 '척척'…"역사 왜곡 악플 싹 잡아낸다" 랭크뉴스 2025.04.18
45440 ‘기자 폭행’ 권성동에 “입만 열면 자유민주주의 어쩌고 하더니…” 랭크뉴스 2025.04.18
45439 "이재명 38%로 최고치…홍준표·한덕수·김문수 7%"[한국갤럽] 랭크뉴스 2025.04.18
45438 서초동 사저 돌아온 尹에 꽃다발 준 입주민…김태효 모친이었다 랭크뉴스 2025.04.18
45437 정부, 옛 삼성물산 관련 국제투자분쟁 패소에 항소 않기로...메이슨에 860억 지급 예정 랭크뉴스 2025.04.18
45436 "부정선거 007영화에서나 가능"…투표함 봉인지 뜯자 생긴 일 랭크뉴스 2025.04.18
45435 [속보]정부, 삼성 합병 관련 ‘메이슨 ISDS 중재판정 취소 소송’ 항소 포기…지연이자 등 400억원 이상 물어내야 랭크뉴스 2025.04.18
45434 美 릴리 ‘먹는 비만약’ 임상시험 성공… 9개월 복용 7.3kg 감량 랭크뉴스 2025.04.18
45433 이재명 “해수부 부산 이전…부울경 메가시티 해양 수도 만들 것” 랭크뉴스 2025.04.18
45432 외계 생명체 존재 유력 증거 발견 랭크뉴스 2025.04.18
45431 세종시 집값 ‘들썩’…대통령실·국회 정말 옮길까? [잇슈 머니] 랭크뉴스 2025.04.18
45430 “미우나 고우나 충암의 아들”… 尹 모교 동문회 게시판 글 두고 갑론을박 랭크뉴스 2025.04.18
45429 李 “해수부 부산 이전, ‘PK 30분대 생활권’ 실현” 랭크뉴스 2025.04.18
45428 300m 거리도 차 타는 尹재판 검사들…도넘은 신상털기에 떤다 랭크뉴스 2025.04.18
45427 이준석 “국힘, 윤석열 전화 안 받기 시작…배신감에 길길이 뛰고 있을 것” 랭크뉴스 2025.04.18
45426 안철수 “尹 탈당하라”…국힘 대선 주자 중 처음 랭크뉴스 2025.04.18
45425 ‘찬탄’ 안철수, 尹 공세 수위 높여… “탄핵된 전직 대통령 탈당해야” 랭크뉴스 2025.04.18
45424 HMM, 잔여 영구채 전환 후 주가 5%대 급등[이런국장 저런주식] 랭크뉴스 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