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의 1060일 ⑩ 군에 빠졌던 윤
지난 1월 14일 국회에서 ‘윤석열 정부의 내란 진상규명 국조특위’가 열리고 있다.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의 군복이 증인석에 걸려있다. [연합뉴스]
“걔네들이 우리와 똑같잖아. 칼 휘두른다는 점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이 “군인이 왜 좋으냐”는 지인의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걔네’는 군인을, ‘우리’는 검사를 뜻한다. 물론 검사의 검(檢)은 칼(劍)이 아니라 ‘검사하다’를 의미한다.

그는 군대에 안 갔다. 1982년 8월 신검(병역판정검사)에서 양쪽 시력 차이 0.6(좌안 0.7-우안 0.1) 부동시(부등시)로 제2국민역(전시근로역) 판정을 받았다.

윤 전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이었던 2022년 4월 7일 경기도 평택의 캠프 험프리스를 방문했다. 당시 미군 연합사령관은 윤 전 대통령과 악수했고, 옆에 선 한국군 부사령관은 경례했다. 나중에 윤 전 대통령이 물었다. “미군은 왜 경례 안 하지? 내가 한국인이라서인가?”

미군 사령관은 민간인 신분이었던 그에게 경례하지 않았다. 군을 좋아한다지만, 군에 대해 아는 게 적었던 윤 전 대통령이다. 민주주의 국가에서 군은 어떻게 복무해야만 하는지 이해가 부족했다. 그 결과가 12·3 비상계엄령 사태였다.

윤 전 대통령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군인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다. 충암고 1년 선배다. 첫 만남은 1977년이었다. 당시 3학년 학도호국단장이었던 김 전 장관은 공부도 잘하고 의리가 있다는 2학년 후배의 얼굴을 한번 보고 싶었다고 한다.

수십 년이 흐른 뒤 둘은 다시 만났다. 2014년 수도방위사령관이었던 김 전 장관이 국정원 댓글 사건으로 대구 고검에 좌천된 윤 전 대통령을 관사로 초청했다. 윤 전 대통령은 “선배가 너무 멋있었다. 계급장의 별이 정말 빛났다”고 했다. 2020년 검찰총장에서 직무정지된 윤 전 대통령이 편하게 술 한잔하자며 김 전 장관을 불렀다.

윤 전 대통령은 “내가 힘들 때 늘 김용현 선배가 있었다”고 말했다. 김 전 장관은 “내가 ‘윤캠 1호’”라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은 취임 후 김 전 장관을 경호처장으로 곁에 뒀다. 김 전 장관은 국방부 장관 자리 대신 군 인사 ‘추천권’을 보장받았다. 그러면서 하나둘씩 자기 사람을 요직에 심었다.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김 전 장관과 직·간접적 ‘근무연’으로 엮여 있다. 군에선 학연이나 지연보다 같이 근무한 경력인 근무연이 더 끈끈하다.

김 전 장관은 지난해 9월 6일 국방부 장관에 취임했다. 취임 직후 대령급 인사가 예정돼 있었다. 그러나 김 전 장관은 인사 실무자에게 “장성급 인사안을 가져오라”고 지시했다. 그래서 나온 게 지난해 11월 25일 하반기 장성 인사였다. 육군에서 중장 진급자가 단 한 명도 나오지 않았고, 군단장급(3성) 보직 이동도 없었다. 유례가 없는 일이었다. 이후 12·3 비상계엄 사태의 포석으로 드러났다.

김 전 장관은 성추행으로 군에서 쫓겨난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을 챙겼다. 자신과 함께 육군본부에서 근무한 경력의 노 전 사령관을 경호처에 특채하거나 공기업에 취직시켜주려 했다.

김 전 장관이 “내가 썼다”고 밝힌 포고문의 실제 작성자는 노 전 사령관일 가능성이 있다. 김 전 장관이 컴퓨터로 문서 작업을 하는 걸 본 적 없다고 측근이 진술했고, 김 전 장관의 노트북엔 문서 파일이 전혀 없었다.

윤 전 대통령은 군에 무지했고, 군 사용법을 몰랐다. 결국 칼(검찰)로 흥한 뒤 칼(군)로 망한 신세였다.

※ 이 기사의 전문은 더중앙플러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060일
"미군 왜 나한테 경례 안해?" 軍 좋아했지만 軍 몰랐던 尹 ⑩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9272

“난 이기고 온거니 걱정말라” 尹, 파면당하고도 이랬던 내막 ⑨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9055

“실패 땐 탄핵, 나도 알았다” 폭탄주 돌린 尹 ‘그날의 고백’ ⑧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722

尹 “X팔리게, 美 도움 필요없어”…日징용해법 승부수 비화 ⑦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419

의대 증원에 건건이 “아니오”…尹, 40년지기 연락도 끊었다 ⑥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182

"尹 술친구 자랑하던 그 의원, 한동안 찍혀 죽어 지냈다" 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709

"막내급 기자가 청담동 술자리 질문…尹, 그날 도어스테핑 좌절" ④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374

"비속어 썼으니" 참모들 제안…'바이든 날리면' 실상은 이랬다 ③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066

"내가 있어 지금의 尹 있다고…김건희, 술자리 때마다 말해" ②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6699

총선 출구조사에 격노한 尹 "그럴 리 없어! 당장 방송 막아!" 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6454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738 "美, '우크라戰, 장기 휴전시 對러제재 완화' 방안 유럽에 제시" 랭크뉴스 2025.04.19
45737 이재명 "당선되면 용산 대통령실 쓰다 청와대로…최종은 세종" 랭크뉴스 2025.04.19
45736 '내란 사면' 선 그은 이재명 "당선되면 일단 용산으로"... 증세 두고는 이견 랭크뉴스 2025.04.19
45735 번지는 불매운동 "테슬라 안 사"‥초조한 트럼프 "한 달 내 타결할 것" 랭크뉴스 2025.04.19
45734 클래식 발레가 만든 발레 열풍… 컨템포러리 발레로 확장할 차례 랭크뉴스 2025.04.19
45733 박정훈 대령 측 “증인으로 윤석열 신청”···채 상병 사건 관련 ‘항명죄’ 항소심 랭크뉴스 2025.04.19
45732 미 “우크라 정전 협상, 며칠 내 진전 없으면 손 뗀다” 경고 랭크뉴스 2025.04.19
45731 민주당 경선룰, 1등 주자 보면 알 수 있다? 랭크뉴스 2025.04.19
45730 화장실·탈의실서 400차례 불법 촬영 20대, 징역 5년6개월 랭크뉴스 2025.04.18
45729 이재명 "증세보다 지출 조정"…2金 "그것만으로 안 돼"(종합) 랭크뉴스 2025.04.18
45728 증세·집무실 입장차… 세 후보, 설전 없이 ‘조용한 전투’ 랭크뉴스 2025.04.18
45727 이재명·김경수 “중도보수 정당” 김동연 “진보가치 변함없다” 랭크뉴스 2025.04.18
45726 "총리, 국정원장은 책임 없나"‥홍장원의 일침 랭크뉴스 2025.04.18
45725 가수 이하늘 '명예훼손' 송치…연예기획사 대표에 뭔 말 했길래 랭크뉴스 2025.04.18
45724 "오빠 결혼식에 전재산 냈는데…돌아온 건 '상품권 5만원' 축의금" 랭크뉴스 2025.04.18
45723 경찰, '언론사 단전·단수 의혹' 이상민 전 장관 소환 조사 랭크뉴스 2025.04.18
45722 이재명 ‘태도 관리’…김동연 ‘관세 방미’ 김경수 ‘탄핵 단식’ 칭찬 랭크뉴스 2025.04.18
45721 美 국무장관 "며칠 내로 진전 없으면 우크라 평화협상에서 손 뗄 것" 랭크뉴스 2025.04.18
45720 김동연 "개헌 왜 안지켰나" 이재명 "대통령 안돼서"…첫 토론 신경전 랭크뉴스 2025.04.18
45719 공군 경공격기, 훈련 중 기관총·실탄·연료탱크 떨어뜨려(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