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엔비디아에 매우 중요한 시장"
미중 규제 피해 새 반도체 설계 시사도
미중 규제 피해 새 반도체 설계 시사도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1월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전시회 CES 2025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라스베이거스=뉴스1
인공지능(AI) 칩 선두주자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가 중국을 전격 방문했다. 중국의 'AI 굴기'를 저지하기 위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대(對)중 수출 통제 조치
를 취한 가운데, 보란 듯이 "중국과 협력을 이어나가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17일 중국 관영 중국중앙(CC)TV에 따르면 황 CEO는 이날 중국국제무역촉진위원회(CCPIT) 초청으로 베이징에 도착했다. 런훙빈 CCPIT 회장과 회담에서 황 CEO는 "중국은 엔비디아에 매우 중요한 시장"이라며 "규제를 충족하는 제품을 만들어 중국 시장에 확고하게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황 CEO는 작정한 듯 '광폭 행보'를 선보였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황 CEO가 딥시크 창립자 량원펑을 포함한 중국 기업을 만나 고객사의 요구사항과 미중 양국의 규제 요건을 충족하는 차세대 칩을 설계하는 방법을 논의했다고 보도했다. 중국 경제정책의 '실세'인 허리펑 국무원 부총리와도 별도로 회담을 가졌다. 평소 중국 방문 시 고위 공무원과의 공개 회동을 피했던 것을 감안하면 무척 이례적이다. 이번 방중 일정은 미국 정부의 수출 제한 조치 직후 엔비디아의 요청으로 성사됐다고 한다.
이에 트럼프 행정부에 우회적으로 반기를 든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지난 9일 미국 정부는 엔비디아에 H20 반도체를 중국에 수출할 때 당국의 허가가 필요하다고 통보했다. 이로 인해 엔비디아는 회계연도 1분기에만 약 55억 달러(약 7조8,567억 원) 손실을 떠안게 됐다. H20은 미국의 규제 적용을 받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엔비디아가 중국에 팔 수 있는 가장 최고급 사양 인공지능(AI칩)이다. 지난 1월 세계를 놀라게 한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도 H20을 사용했는데, 엔비디아 반도체가 중국으로 이전되는 것을 막아 딥시크로 대표되는 중국의 AI 굴기를 저지하려는 것이다.
황 CEO의 중국 방문은 3개월 만이다. 지난 1월 황 CEO는 중국을 찾아 광둥성 선전과 베이징, 상하이 등을 방문했다. 같은 달 20일 미국 워싱턴에서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이 열렸는데, 여러 빅테크 수장들이 참석한 것과는 대조적으로 불참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가 17일 중국 베이징에 도착해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중국 위위안탄톈 캡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