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그런데 이러한 지방분권에 대한 시도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죠.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부터 지난 정부까지 지방 분권과 수도권 집중 해소를 위한 논의는 계속 있어왔습니다.

행정수도와 대통령 집무실 이전의 역사와 쟁점 그리고 전망을, 김건휘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 리포트 ▶

지난 2004년 헌법재판소의 판결로 제동이 걸린 이후에도, 행정수도 이전 논의는 가라앉지 않았습니다.

비단 민주당 뿐만 아니라 보수 정부에서도 세종시에 수도 이전에 버금가는 대규모 지원을 강조하고 나섰습니다.

직전 윤석열 정부에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윤석열/당시 국민의힘 대선 후보 (지난 2022년 1월 22일)]
"국회 세종의사당이 차질없이 개원되도록 하고, 청와대 제2 집무실을 설치해 명실상부한 행정수도를 완성하겠습니다."

수도권 과밀화 해소와 지방 균형 개발이라는 명분에 여야에 이견이 없는 겁니다.

이미 세종시에는 제2대통령 집무실을 위한 부지와 제2국회인 세종의사당을 위한 부지가 각각 마련돼 있습니다.

대통령 집무실은 빠르면 올해 상반기 건축설계 공모가 진행돼 2027년 준공 예정이고, 세종의사당은 오는 2031년을 목표로 조성을 추진 중입니다.

이들 모두 정부 세종청사와 인접해 있습니다.

세종 의사당의 부지 면적은 여의도 국회 부지의 약 2배 규모입니다.

법적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대통령 집무실과 국회의 구체적인 이전 규모나 계획이 확정이 된다면 비용적인 측면은 수도 이전에 큰 장애물이 되진 않을 거란 전망입니다.

오히려 이전이 성공적으로 이뤄질 경우 사회적 비용적인 측면에서 더 큰 이득이 발생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재묵/한국외국어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긍정적인 작용은 사회적 비용, 행정 비용을 많이 줄일 수 있을 것 같아요. (대통령 집무실이 세종에 있으면) 행정부에 대한 견제 감독이나 대통령실에 대한 보고 이런 측면에서 본다면.."

물론 짚고 넘어가야할 것도 많습니다.

행정수도 주변의 공항을 비롯한 각종 인프라 확충도 그중 하나입니다.

또 무엇보다 행정수도 이전과 관련해 극명히 갈리곤 했던 찬반 입장을 잘 담아내는 게 중요합니다.

국민적 공감대 없이는 수도 이전의 추진 동력이 약화 되고 이로인해 자칫 예산낭비와 국민들의 불편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MBC뉴스 김건휘입니다.

영상취재 : 현기택 / 영상편집 : 임혜민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368 트럼프 “우크라와 24일 광물협정 서명” 랭크뉴스 2025.04.18
45367 단순히 공짜라서? 6억명 사로잡은 외국어 공부 앱의 성공 비밀 랭크뉴스 2025.04.18
45366 [단독] ‘비명횡사’ 논란 여론조사 업체, 간판만 바꿔 민주당 경선 참여 랭크뉴스 2025.04.18
45365 국민의힘 '떨떠름'‥"용산에선 나가야겠지만‥" 랭크뉴스 2025.04.18
45364 트럼프, 파월 재차 해임 위협…증시는 혼조세 마감[데일리 국제금융시장] 랭크뉴스 2025.04.18
45363 석방된 명태균의 ‘입’, 국민의힘 대선 경선 흔드나···후보 절반이 연관 의혹 랭크뉴스 2025.04.18
45362 "세종으로 완전 이전"‥'행정수도' 치고 나왔다 랭크뉴스 2025.04.18
45361 트럼프 “중국과도 무역협정 맺을 것…거래를 결정하는 건 미국” 랭크뉴스 2025.04.18
45360 트럼프 "아무도 美와 경쟁 못해…거래를 결정하는 것도 미국" 랭크뉴스 2025.04.18
45359 [인&아웃] 美中 기술패권 전쟁 랭크뉴스 2025.04.18
45358 [여담] 비행기에는 백미러가 없다 랭크뉴스 2025.04.18
45357 ‘여자는 교회서 잠잠하라’?… 성경의 본뜻 꿰뚫어야 랭크뉴스 2025.04.18
45356 [단독] ‘IMF 이후 첫 적자’ 신협, 부동산·건설 대출 한도 초과 조합만 100곳 랭크뉴스 2025.04.18
45355 ‘일방 증원’ 정부·‘환자 볼모’ 의료계…상처만 남긴 ‘1년 전쟁’ 랭크뉴스 2025.04.18
45354 81세 장영자 다섯번째 수감... 그가 사기 범죄 반복하는 이유는 랭크뉴스 2025.04.18
45353 [이슈 In] 퇴직연금 수익률 2%대 '제자리걸음'…'기금형 도입' 해법 될까? 랭크뉴스 2025.04.18
45352 대선 정책테마주 뜬다…이재명 방문하자 방산·콘텐츠 일제히 급등 [이런국장 저런주식] 랭크뉴스 2025.04.18
45351 장애인 학대 피해자 수 20대 최다…증가율은 17세 이하 최고 랭크뉴스 2025.04.18
45350 ‘韓대행 재판관 임명’ 제동 건 변호사 “누굴 지명했어도 소송” 랭크뉴스 2025.04.18
45349 [오늘의 운세] 4월 18일 금요일 랭크뉴스 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