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지난달 미국 국방부로부터 중국과의 전쟁 대비 작전계획에 대해 보고받으려다 취소된 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였다고 악시오스가 트럼프 행정부 고위 관료를 인용해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이런 브리핑 계획 자체를 부인했으나, 이번엔 고위 관료가 직접 트럼프 대통령이 해당 브리핑을 막았다고 발언한 것이다. 미·중 관세 전쟁 국면과 맞물려 트럼프가 머스크와의 본격적인 거리 두기에 나선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이 브리핑엔 중국의 위협 징후 감지와 미군의 군사적 대응 옵션, 타격 목표와 실행 시기 등이 담길 예정이었다고 전해졌다. 외부 유출 시 미 군사 전략이 크게 훼손될 수 있어 미군 내에서도 최고 기밀로 분류된다.
악시오스는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이 머스크에게 이 브리핑 계획을 언급해 일급 기밀을 유출한 책임을 물어 댄 콜드웰 국방부 수석 고문과 다린 셀닉 국방부 부비서실장 등 국방부 고위 관리 2명의 직무를 정지시켰다고 전했다.
미 정부 고위 관료는 악시오스에 "트럼프 대통령은 여전히 일론을 매우 좋아하지만, 그것엔 일부 레드라인(한계선)이 있다"며 "일론은 중국에서 많은 사업을 하고 있고 중국과의 관계가 좋기 때문에 해당 브리핑은 적절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친중 인사'로 평가받는 머스크에게 대중국 작전 계획을 알려주는 건 기밀 누출이나 이해충돌 등의 위험 부담이 있다는 의미다.
테슬라의 전기차 조립공장인 중국 상하이 기가팩토리는 테슬라의 전 세계 생산량 절반을 책임지고 있다. 머스크는 이 기가팩토리 건설을 위해 중국 정부가 통제하는 은행으로부터 최소 14억 달러(약 1조9800억원) 이상을 대출받았다. 실제로 머스크는 중국 공산당에 우호적인 태도를 보여왔다.
지난달 뉴욕타임스(NYT)가 '머스크가 중국과의 전쟁 계획을 브리핑받을 예정'이라고 보도하자, 트럼프 대통령과 미 국방부는 "가짜뉴스"라며 이런 계획 자체를 부인했다. 머스크는 예정대로 지난달 21일 국방부를 방문해 헤그세스 장관을 만났지만, 중국 관련 브리핑은 이뤄지지 않았다. 당시 이 브리핑이 취소된 이유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트럼프가 막았다는 주장이 이번에 새롭게 나온 것이다.
이번 주장은 특히 미국이 중국과 관세 전쟁을 벌이는 시점에 미 행정부 관료로부터 나와 주목받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머스크의 친중 성향을 부각해 머스크와 자연스러운 결별 수순을 밟으려 하는 것일 수 있다는 시각이 있다.
최근 들어 머스크의 미 정부효율부 수장직 조기 사임 가능성은 잇따라 제기되고 있다. 지난 2일 미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측근들에게 '머스크가 몇 주 안에 물러나 경영에 복귀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런 상황엔 트럼프 행정부 내에서 머스크의 막강한 영향력을 둘러싼 갈등이 커지고 있는 점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분석이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이런 브리핑 계획 자체를 부인했으나, 이번엔 고위 관료가 직접 트럼프 대통령이 해당 브리핑을 막았다고 발언한 것이다. 미·중 관세 전쟁 국면과 맞물려 트럼프가 머스크와의 본격적인 거리 두기에 나선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일론 머스크(왼쪽) 테슬라 CEO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로이터=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1일 미 정부효율부(DOGE) 수장인 머스크가 국방부에서 미국의 대중국 전쟁 군사 계획인 이른바 'O플랜'에 대한 보고를 받을 예정이란 소식을 접했다. 이에 트럼프는 "일론이 거기서 도대체 뭘 하고 있냐. 그가 가지 못하게 하라"고 격노하며 브리핑 취소를 지시했다.
이 브리핑엔 중국의 위협 징후 감지와 미군의 군사적 대응 옵션, 타격 목표와 실행 시기 등이 담길 예정이었다고 전해졌다. 외부 유출 시 미 군사 전략이 크게 훼손될 수 있어 미군 내에서도 최고 기밀로 분류된다.
악시오스는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이 머스크에게 이 브리핑 계획을 언급해 일급 기밀을 유출한 책임을 물어 댄 콜드웰 국방부 수석 고문과 다린 셀닉 국방부 부비서실장 등 국방부 고위 관리 2명의 직무를 정지시켰다고 전했다.
트럼프(오른쪽) 대통령이 지난해 10월 머스크의 어깨에 손을 올리고 있다. AP=연합뉴스
미 정부 고위 관료는 악시오스에 "트럼프 대통령은 여전히 일론을 매우 좋아하지만, 그것엔 일부 레드라인(한계선)이 있다"며 "일론은 중국에서 많은 사업을 하고 있고 중국과의 관계가 좋기 때문에 해당 브리핑은 적절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친중 인사'로 평가받는 머스크에게 대중국 작전 계획을 알려주는 건 기밀 누출이나 이해충돌 등의 위험 부담이 있다는 의미다.
테슬라의 전기차 조립공장인 중국 상하이 기가팩토리는 테슬라의 전 세계 생산량 절반을 책임지고 있다. 머스크는 이 기가팩토리 건설을 위해 중국 정부가 통제하는 은행으로부터 최소 14억 달러(약 1조9800억원) 이상을 대출받았다. 실제로 머스크는 중국 공산당에 우호적인 태도를 보여왔다.
지난달 뉴욕타임스(NYT)가 '머스크가 중국과의 전쟁 계획을 브리핑받을 예정'이라고 보도하자, 트럼프 대통령과 미 국방부는 "가짜뉴스"라며 이런 계획 자체를 부인했다. 머스크는 예정대로 지난달 21일 국방부를 방문해 헤그세스 장관을 만났지만, 중국 관련 브리핑은 이뤄지지 않았다. 당시 이 브리핑이 취소된 이유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트럼프가 막았다는 주장이 이번에 새롭게 나온 것이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지난해 4월 중국 베이징에서 리창 중국 총리를 만나고 있는 모습. 신화=연합뉴스
이번 주장은 특히 미국이 중국과 관세 전쟁을 벌이는 시점에 미 행정부 관료로부터 나와 주목받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머스크의 친중 성향을 부각해 머스크와 자연스러운 결별 수순을 밟으려 하는 것일 수 있다는 시각이 있다.
최근 들어 머스크의 미 정부효율부 수장직 조기 사임 가능성은 잇따라 제기되고 있다. 지난 2일 미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측근들에게 '머스크가 몇 주 안에 물러나 경영에 복귀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런 상황엔 트럼프 행정부 내에서 머스크의 막강한 영향력을 둘러싼 갈등이 커지고 있는 점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