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R&D에서 하이브리드 본딩 적층
12단 HBM 성능 검증 '통과'
"양산까지는 아직 시간 필요한 상황"
2023년 8단→2024년 12단으로 진전
'20단'부터 기본 HBM 공정으로 활용
HBM5부터 '3D HBM' 콘셉트 제시
SK하이닉스의 하이브리드 본딩 기술을 적용한 12단 HBM3 성능 테스트 결과. 자료 출처=이강욱 SK하이닉스 부사장 발표 내용.

이강욱 SK하이닉스 부사장이 17일 서울 강남구 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대한전자공학회 워크숍에서 HBM 기술의 미래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강해령 기자

[서울경제]

SK하이닉스(000660)가 ‘하이브리드 본딩’ 기술로 12단 고대역폭메모리(HBM)를 만든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꿈의 패키징 기술인 하이브리드 본딩을 이른 시일 내 적용해 인공지능(AI) 메모리 분야 선두를 이어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강욱 SK하이닉스 부사장은 17일 서울 강남구 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대한전자공학회의 'AI를 가능하게 하는 반도체 기술 워크숍'에 참석해 회사의 고대역폭메모리(HBM) 기술 방향과 성과에 대해 설명했다. 이 부사장은 발표에서 차세대 HBM에는 하이브리드 본딩이 적용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하이브리드 본딩을 적용해 만든 4세대 HBM(HBM3) 12단 제품의 성능 테스트 결과를 공개했다. SK하이닉스 연구진은 이 테스트에서 HBM을 고온에서 방치했을 때 수명 측정, 제품 출하 후 고객사의 칩 결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등을 4개 항목으로 나눠 다각도로 실험했는데, 모든 분야에서 합격점을 받았다. 이 부사장은 “HBM3로 성능 검증을 했을 때 큰 이슈(문제)는 없었지만, 아직은 R&D 단계이고 양산까지는 많은 시간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소개했다.

SK하이닉스는 재작년 IEDM 2023이라는 학회에서 하이브리드 본딩으로 D램을 8단까지 쌓아올린 3세대 HBM(HBM2E)을 소개한 적 있다. 이번 연구 성과물은 약 1년 만에 4단을 추가로 더 쌓으면서 양산에 한 발짝 더 다가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 부사장은 “향후 20단 제품부터는 기본적인 HBM 공정이 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자료 출처=이강욱 SK하이닉스 부사장 발표 내용


하이브리드 본딩은 HBM 산업에서 ‘꿈의 공정 기술’로 손꼽힌다. 지금까지 HBM은 D램과 D램 사이를 연결할 때 ‘마이크로 범프’라는 소재로 이어 붙였다. 하지만 하이브리드 본딩을 활용하면 범프 없이도 칩들을 연결할 수 있다. 가교 역할을 하는 범프를 없애면서 칩의 두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 것이다.

지금까지의 HBM 칩 두께 표준은 775㎛다. 6세대 HBM(HBM4) 이후의 제품은 16개 이상의 D램을 수직으로 쌓아올려야 한다. 기존 패키징 기술로는 고객사가 만족하는 조건을 맞추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차세대 HBM에서 하이브리드 본딩 공정 적용은 불가피하다.

SK하이닉스는 올해 출시할 HBM4 제품에 하이브리드 본딩 적용을 검토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내년 출시할 7세대 HBM(HBM4E)에 처음으로 적용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이 부사장은 이번 발표에서 하이브리드 본딩을 포함한 다양한 HBM 기술이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고 밝혔다. HBM4부터 TSMC와 협력해 HBM 가장 아랫단에 위치하는 '베이스 다이'를 로직 반도체로 제조하기 시작한 것이 좋은 예다.

그는 8세대 HBM(HBM5) 이후가 되면 연산 장치 위에 HBM을 올리는 '3D HBM' 시대가 열릴 수 있다고도 예상했다. 그는 "HBM5 시대가 오게 되면 HBM4에서 로직 반도체를 활용하게 된 것처럼 큰 변곡점을 맞이할 가능성이 있다"며 "아직 콘셉트 단계이긴 하지만 3D HBM같은 새로운 콘셉트에 대한 연구들도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340 사람은 쉽게 푸는데 AI는 포기선언... AI 한계 시험 위해 작정하고 만든 ‘최후의 테스트’ 랭크뉴스 2025.04.18
45339 차비 아까워 걸어 다니던 그 학생들이 시작한 첫 기부[아살세] 랭크뉴스 2025.04.18
45338 권력과 돈에 갇힌 보수, 윤석열 내려놔야 살 수 있다 [위기의 보수, 길을 묻다] 랭크뉴스 2025.04.18
45337 중미 벨리즈서 미국인이 항공기 납치…"용의자 사망" 랭크뉴스 2025.04.18
45336 [단독] 김선호 국방 대행 "샹그릴라 불참" 가닥… 코리아 패싱 자초할라 랭크뉴스 2025.04.18
45335 노무현도 접었던 '세종 수도'... ①위헌 논란 ②초당적 민심 ③수도권 반발 넘어야 랭크뉴스 2025.04.18
45334 집에서 '불법' 포경수술하다가…생후 2개월 아기, 과다출혈로 숨졌다 랭크뉴스 2025.04.18
45333 미국서 원자로 배운 한국, 66년 만에 첫 역수출 랭크뉴스 2025.04.18
45332 트럼프 "파월은 '정치 게임' 중…내가 나가라면 바로 '아웃'" 랭크뉴스 2025.04.18
45331 트럼프, '관세파장' 지적한 연준의장에 "그는 내가 원하면 사임"(종합) 랭크뉴스 2025.04.18
45330 나는 매년 한 번씩 유언을 쓴다 랭크뉴스 2025.04.18
45329 “믿을 건 명품뿐”… 백화점업계 럭셔리 브랜드 전략 강화 랭크뉴스 2025.04.18
45328 "진짜 '죽여주는' 의사였다"…치료하는 척 15명 살해한 연쇄살인마에 獨 '발칵' 랭크뉴스 2025.04.18
45327 [단독] '불법도박' 개그맨 이진호 檢송치…BTS 지민 등에 23억 빌려 랭크뉴스 2025.04.18
45326 "트럼프 행정부, 보건 예산 34% 삭감…질병관리 예산은 44%↓" 랭크뉴스 2025.04.18
45325 "딸들아 놀지 말고 공부하렴"…아이패드 숨겼다가 '절도죄' 체포된 엄마,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4.18
45324 美 플로리다주립대서 총격사건…CNN "최소 6명 부상" 랭크뉴스 2025.04.18
45323 "누워만 있으면 AI가 머리 감겨준다"…中서 '3700원 샴푸전문점' 등장 랭크뉴스 2025.04.18
45322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비상계엄은 관용과 자제를 뛰어넘었다” 랭크뉴스 2025.04.18
45321 [속보] 트럼프 "파월에 불만…내가 원하면 그는 바로 아웃" 랭크뉴스 2025.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