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산림청, 영향구역 4만5000ha로 발표
합동 조사 결과 9만ha로 이례적 증가
‘초기 피해 규모 부실 추산’ 지적 나와
지난달 28일 경북 영덕군 영덕읍 노물리 마을이 산불 피해로 폐허로 변해 있다. 성동훈 기자


경북 산불 산림피해 규모가 축구장 6만4260개에 달하는 약 9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산림청이 추산한 피해규모(4만5000㏊)의 두 배가 넘는 수준이다.

산림청이 발표한 산불영향구역보다 실제 피해규모가 대폭 늘어난 것은 이례적인 상황이어서, 산림청의 초기 피해 규모 추산이 부실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17일 경북도에 따르면, 정부기관 합동 조사 결과 경북 5개 시군을 휩쓴 산불 피해 규모는 9만㏊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합동조사에는 경북도와 시군, 산림청 등이 참여했다.

산림청은 산불 진화 이후 현재까지 이번 산불 영향구역이 4만5157㏊라고 발표해 왔다. 하지만 실제 피해규모는 산림청 발표 수치의 2배가 넘는 것으로 조사된 셈이다. 이는 역대 최악으로 불렸던 2000년 동해안 산불 산림 피해 면적의 4배 수준이다.

산불영향구역은 화재 현장에 형성된 불길(화선) 안에 포함된 면적이다. 이 때문에 화재가 진화돼도 타지 않은 부분까지 산불영향면적에 포함된다. 피해면적은 진화가 완료된 뒤 현장조사를 거쳐 실제로 불에 탄 산림의 총면적을 뜻한다. 따라서 산불영향면적이 실제 피해면적보다 넓게 잡히는 것이 통상적이다.

하지만 이번 산불의 경우 실제 피해면적이 눈덩이처럼 크게 불어나면서 산림청의 당초 피해 규모 추산에 문제가 있었던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산림청은 조만간 산림 피해 면적을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홍석환 부산대 조경학과 교수는 “산불영향구역 보다 피해면적이 4배나 큰 상황 자체가 말이 안 된다”며 “산림청이 기본적인 것부터 엉터리로 발표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산림청은 산불영향구역과 피해면적은 개념이 달라서 단순 비교할 수 없고 진화 이후 피해면적이 공개되는 만큼 산불영향구역을 의도적으로 축소할 이유가 없다고 해명했다.

산림청 관계자는 “산불영향구역은 산불 진화에 활용하기 위해 화선을 기준으로 추산된다. 실제 피해면적은 줄어들 수도 있고 늘어날 수도 있다”며 “경북에서 조사된 피해면적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실사를 거쳐 확정된다. 아직 피해면적이 확정된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한편 경북 산불 피해 조사 결과, 사유시설과 공공시설 피해액은 1조1306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당국은 애초 지난 15일 피해조사를 마무리하기로 했다가 사유 시설 피해 확인을 17일까지 연장했다.

이번 산불로 경북 5개 시군에서는 주택 4458채가 불에 탔다. 이중 3618채가 전소됐다. 17일 기준 경북지역 이재민은 2128세대 3509명이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182 집값 오르자 “낮춰서 발표하라”… 文정부, 4년간 102번 통계 조작 랭크뉴스 2025.04.17
45181 내년 의대 증원 폐기에 복지부 '부글부글'··· 전문가도 "정책 신뢰 훼손" 질타 랭크뉴스 2025.04.17
45180 정대철 "이재명, 탄핵 전날엔 개헌하자더니‥일주일도 안 가" 랭크뉴스 2025.04.17
45179 방통위 '의사정족수 3인 이상' 법안, 국회 재표결서 부결 랭크뉴스 2025.04.17
45178 [단독] ​한전 배전망 감시체계 장애…전력 안정성 우려 랭크뉴스 2025.04.17
45177 '피고인석 尹' 법정모습 공개하고 기록 남긴다…"국민 알권리"(종합) 랭크뉴스 2025.04.17
45176 이례적으로 1분기 역성장 가능성 내비친 한은, 5월엔 금리 내릴까 랭크뉴스 2025.04.17
45175 권성동, 기자 손목 잡아끌고 이동 논란···국힘 “신체 위협이었다” 랭크뉴스 2025.04.17
45174 ‘피고인 윤석열’ 법정 모습 이번엔 공개…재판부 촬영 허가 랭크뉴스 2025.04.17
45173 18일 헌재 떠나는 문형배 "계엄, 관용·자제 넘었고 野탄핵은 안넘었다" 랭크뉴스 2025.04.17
45172 통계 들고 "집값 안 올라"‥뒤에선 "마사지 좀 해야" 랭크뉴스 2025.04.17
45171 “유명 강사들 지방서도 활동… 입시 의지 있다면 농어촌 유리” 랭크뉴스 2025.04.17
45170 10대들의 짜증은 수면 부족 때문?… ‘잠 자는 법’ 가르치는 美학교들 랭크뉴스 2025.04.17
45169 부산 중구 수영장서 감전 추정 사고…70대 남성 숨져 랭크뉴스 2025.04.17
45168 "명태균 물어볼라 한 거잖아!" 또 '버튼' 눌린 홍준표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4.17
45167 [단독] ‘비명횡사’ 논란 여조업체, 간판 바꿔 민주당 경선 참여 ‘논란’ 랭크뉴스 2025.04.17
45166 내란 내내 헌재 문 두드린 김정환 변호사 “포고령 딱 보니 위헌” 랭크뉴스 2025.04.17
45165 홍준표 “트럼프는 여자 건드리고 돈 줬지만, 이재명은 무상연애” 막말 랭크뉴스 2025.04.17
45164 尹정부 거부한 '방송법 개정안' 가결…명태균·내란 특검법 부결 랭크뉴스 2025.04.17
45163 ‘윤 어게인’ 신당 창당...윤석열 변호인단 “청년 중심”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