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오늘은 4월 16일, 세월호 참사 11주기입니다.
소중한 사람을 잃은 이들은 기억을 공유하며 버텨왔습니다.
떠나간 아이들을 기억하는 것이 모두의 아이들을 지키는 일이다.
그래서 여전히 세월호 참사를 알리고 있는 어머니가 있습니다.
단원고 2학년 5반이었던 故오준영 학생의 어머니를 이승지 기자가 만났습니다.
◀ 리포트 ▶
세월호가 올라오는 날, 준영이의 아버지는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갔습니다.
[오홍진/고 오준영 군 아버지]
"한 시간이라도 더 빨리, 1초라도 더 (빨리) 가족들을 만나서 다시 제자리에 돌려놓고 하나하나씩 진상규명을 풀어가야 하지 않을까."
만나고 싶던 아들은 4월 23일 생일에 가족들 품으로 돌아왔습니다.
[임영애/고 오준영 군 어머니]
"그날은 아이가 엄마를 보러올 것 같더라고요. 이렇게 깨우면 일어날 것 같아서 일어나 미역국 끓여줄게 미역국 끓여줄게‥"
수학여행 때 들떠서 챙겨간 바지는 입지 못하고 되돌아왔습니다.
[임영애/고 오준영 군 어머니]
"(수학여행) 갈 때 이 바지를 갖고 갔어요. 이 바지를 입고 갔는데 이제 못 돌아왔잖아요. 그래서 이제 이 바지를 똑같은 걸 사서‥"
준영이 방엔 좋아하던 해바라기와 직접 이름 붙인 인형들이 11년 동안 자리를 지켰습니다.
[임영애/고 오준영 군 어머니]
"준영이가 보고 싶을 때마다 제가 이제 밤새 (인형 옷을) 뜬 거고 이거는 이제 준영이는 모르겠죠."
기억은 엄마를 자꾸만 돌아보게 만듭니다.
[임영애/고 오준영 군 어머니]
"누가 뒤에서 '엄마' 하는데 내가 아닌 줄 알면서 이렇게 뒤돌아보고 그게 준영이가 아닌 거 뻔히 알면서 한참을 바라보고 있을 때‥"
아들을 떠나보낸 어머니는 학교를 찾아 다니며 또래 학생들에게 그 날의 기억을 전합니다.
[임영애/고 오준영 군 어머니]
"이 엄마가요. 너무 걱정돼서요. 여러분 또 못 지킬까 봐서요. 엄마가 이렇게 세월호가 어떤 것이다 알리고‥"
나의 아픔이, 남은 자의 기억이 사회 안전망의 밑거름이 되기를 바랍니다.
[임영애/고 오준영 군 어머니]
"세월호 참사가 그냥 슬픔으로만 남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세월호 참사로 인해서 반복되지 않았다. 참사가 일어났어도 대처를 했다."
기억하지 않는다면, 달라지지 않는다면, 참사는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습니다.
[윤해경/홍성민예총 지부장 (학교 간담회 주최)]
"(제 아들이) 그다음 주에 배 타고 제주도로 수학여행 가기로 돼 있었어요. 어쩌면 저 단원고가 아니라 우리 아들이 그렇게 됐을 수도 있는 거고, 그 모두의 아이들이잖아요."
아들을 기억하는 어머니의 발걸음이 모든 아이들을 지키는 길이 되기를 바랍니다.
[임영애/고 오준영 군 어머니]
"엄마라서 포기하지 못한다. 죽어도 죽어서도 아이를 잊을 수가 없기 때문에‥"
MBC뉴스 이승지입니다.
영상취재: 최대환, 독고명 / 영상편집: 이지영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