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6·3 대선후보 경선 서류심사를 통과한 후보들. 윗줄 왼쪽부터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나경원 의원, 안철수 의원, 양향자 전 의원, 유정복 인천시장, 이철우 경북지사, 한동훈 전 대표, 홍준표 전 대구시장.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6·3 대선 후보를 뽑을 1차 경선 진출자 8명을 16일 확정하면서, 본격적인 경선 레이스에 돌입했다. 지지율 상위권으로 현재로선 ‘본선’ 진출 가능성이 높은 주자 다수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에 반대한 이들이다. 강성 지지층만으로는 대선에서 이길 수 없다는 판단을 공유하는 가운데, 당 안에선 윤 전 대통령과 선을 그어야 한다는 기류가 강해지고 있다.
국민의힘 선거관리위원회는 이날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나경원·안철수 의원, 양향자 전 의원, 유정복 인천시장, 이철우 경북지사, 한동훈 전 대표, 홍준표 전 대구시장(가나다순)이 대선 후보 경선 서류심사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전날까지 등록한 11명 가운데 3명이 탈락했다. 황우여 당 선거관리위원장은 “경선 후보 신청자의 경쟁력과 부적합 여부를 심사해, 국민 눈높이에 맞는 자질을 갖췄는지 면밀히 검토했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국민 여론조사 100%’(21~22일)를 반영하는 1차 경선에선 절반인 4명을 추려 22일 저녁 2차 경선 진출자를 발표한다. ‘4강전’인 2차 경선 진출자로는 현재 김문수 전 장관, 홍준표 전 시장, 한동훈 전 대표가 유력하고, 나경원·안철수 의원이 나머지 한 자리를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일 것으로 관측된다.
이들 가운데 한 전 대표와 안 의원은 ‘탄핵 찬성파’고, 김 전 장관과 홍 전 시장, 나 의원은 ‘탄핵 반대파’다. 한 전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민심이 윤심보다 5천만배 중요하다”는 글을 두차례나 올리며 윤 전 대통령과 거리 두기를 주장했다. 안 의원도 ‘윤 전 대통령이 출당해야 된다고 보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어떤 게 당과 보수 재건을 위해 좋은 선택인지 (윤 전 대통령이) 고민하고 있다고 들었다”며 출당 쪽에 무게를 실었다. 5명 안엔 들지 않지만, 유정복 시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언제까지 ‘윤심’에 기대어 대선을 치를 생각이냐”며 “이제 윤 전 대통령을 잊자”고 말했다.
“절연보다 무서운 게 분열”(윤상현 의원)이라던 탄핵 반대파 쪽도 달라진 분위기가 감지됐다. 나경원 의원은 “(윤 전) 대통령을 경선 한복판으로 끌어들이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대통령을 자꾸 언급하는 것도 좋지 않다”고 했다. 나 의원은 파면 다음날 윤 전 대통령을 독대한 뒤 대선 출마를 선언했는데, 당시 윤 전 대통령의 출마 권유 보도를 부인하지 않았다.
앞서 홍준표 전 시장은 지난 14일 “정치 초년생, 새로운 얼굴을 뽑아서 3년간 망하지 않았냐”고 했었다. 홍 전 시장 쪽은 이날 한겨레에 “‘정치 초보로 3년간 망했다’는 말에 모든 게 함축돼 있다”며 “대선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과 거리 두기를 할 것”이라고 했다.
이런 변화엔 강성 지지층 소구만으로는 대선을 치르기 어렵다는 계산이 깔려 있다. 당 지도부 관계자는 “애도 기간은 끝났다. 조기 대선이 그나마 박빙이라도 되려면 ‘윤석열’을 지워야 한다”고 했다. 당 조직부총장인 김재섭 의원은 페이스북에 “(대선에서 이기려면) 파면당한 전임 대통령과 결별하면 된다”고 적었다.
전날 홍 전 시장에 이어 이날 나경원·안철수 의원, 김문수 전 장관 등이 불출마를 선언한 오세훈 서울시장을 잇달아 만나 오 시장이 내건 ‘약자와의 동행’을 함께하겠다고 약속한 것도 중도 확장 전략의 하나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