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겨레-STI, 12월4일~4월14일 57개 여론조사 메타분석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검색창에 ‘한겨레 h730’을 쳐보세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국민의힘 후보,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와의 가상 3자 대결에서 40%대 중후반의 지지율로 1위 자리를 굳게 지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가 여론조사 전문업체 에스티아이에 의뢰해, 비상계엄 선포 직후인 지난해 12월4일부터 4월14일까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에 등록된 57개 여론조사를 종합해 추출한 예측 조사 결과다.

이재명 전 대표는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와의 가상 3자 대결에서 47.2%의 지지율을 기록해 김 전 장관(26.3%), 이 후보(8.2%)를 큰 차이로 앞섰다(12일 조사 기준). 국민의힘 후보로 홍준표 전 대구시장을 넣은 가상 3자 대결에서도 이 전 대표는 46.3%의 예상 득표율로 홍 전 시장(24.1%)과 이 후보(7.6%)를 크게 앞섰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를 포함한 3자 가상 대결에서도 이 전 대표 46%, 한 전 대표 19.6%, 이 후보는 8%로 나타났다.

이재명 전 대표 지지율은 예측 모델 추세대로라면 50% 선 돌파가 멀지 않아 보인다.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선고 뒤 ‘정권교체 찬성’ 여론을 흡수해가는 흐름이다. 반면에 국민의힘 주자들은 윤 전 대통령을 끌어안으면서 중도 확장 가능성을 스스로 차단했고, 최근에는 ‘한덕수 차출설’의 영향으로 지지율의 추가 하락 움직임도 확인된다.

이재명 전 대표의 선두 자리가 가장 위태로웠던 시기는 1월19일이다. 당시 이 전 대표는 김문수 전 장관과 3.8%포인트, 한동훈 전 대표와는 8.9%포인트 격차까지 좁혀졌고, 홍준표 전 시장에게는 0.2%포인트 차로 역전을 허용했다. 1월19일은 서울서부지법이 윤 전 대통령에 대해 구속 전 피의자심문을 벌인 뒤 구속영장을 발부한 날이다. 당시 편향적인 문항 설계로 논란이 된 일부 여론조사에서 윤 전 대통령 지지율이 40% 안팎으로 치솟고 여기에 고무된 윤 전 대통령 지지층이 거리로 쏟아져 나오면서 탄핵 반대 여론이 빠르게 결집했다. 하지만 거리 상황에 위기의식을 느낀 탄핵 찬성 여론이 이어서 결집하면서 이 전 대표는 이후 20%포인트 안팎의 격차로 줄곧 선두를 지켰다.

김문수 전 장관과 한동훈 전 대표, 홍준표 전 시장은 헌법재판소가 윤 전 대통령을 파면한 이달 들어 이재명 전 대표와의 3자 구도에서 각각 25% 안팎의 예상 득표율에 머무르고 있다. 특히 한 전 대표의 예상 지지율은 국민의힘 주자 가운데 유일하게 ‘모름·무응답’층보다 낮은 수준이다. 한 전 대표가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될 경우 투표를 포기하거나 다른 보수 후보로 옮겨갈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조사 응답자를 보수층으로 좁혀보면, 김문수 전 장관은 여론조사 등장 이후 이재명 전 대표, 이준석 후보와의 3자 구도에서 줄곧 50% 안팎의 지지율을 유지하다, 3월29일을 고비로 40% 선으로 내려앉았다. 홍 전 시장은 기복이 있지만 4월 들어 상승세를 보이며 50% 선에 재진입했다가 최근 다시 주저앉는 흐름이다. 한 전 대표는 보수층에서도 줄곧 40% 선에 미치지 못하는 모습이다.

이준석 후보는 꾸준히 5~10%대의 3자 구도 지지율을 유지하고 있다. 이 후보의 경우 성별 지지율 격차가 크다는 게 특징이다. 여성 유권자층에선 지지율이 3~5%대를 오르내리지만, 남성층에선 예상 득표율이 10%대를 웃돈다. 특히 18~29살에서 20%에 육박하는 높은 지지율을 보이고 있다.

지역별로는 대구·경북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이재명 전 대표가 국민의힘 후보를 앞선다. ‘보수 텃밭’으로 불리는 대구·경북에선 이 전 대표가 김문수·홍준표 후보와 엎치락뒤치락하며 접전을 벌이다 4월 들어 김문수·홍준표 후보가 앞서는 추세를 보인다. 국민의힘 주자 중에선 한동훈 전 대표만 예외적으로 대구·경북에서조차 이 전 대표에게 2.6%포인트 뒤지는 것으로 예측됐다.

연령별로 보면 70대에서는 김문수 전 장관이 가장 앞서는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60대에서는 김 전 장관이 이 전 대표를 앞서다가 2월 말을 기점으로 이 전 대표에게 역전을 허용했다. 20~30대 유권자층에선 이 전 대표가 우위를 보였지만, 국민의힘 주자 가운데 홍 전 시장이 유일하게 예상 지지율 30%를 오르내리며 만만찮은 지지세를 과시했다.

조사 방법에 따라서도 큰 차이를 보였다. 이재명 전 대표와 국민의힘 주자들 간 3자 대결 지지율이 빠르게 좁혀졌던 1월 말 분석 결과를 보면, 이런 흐름이 자동응답조사에서만 뚜렷했을 뿐 전화면접조사에선 나타나지 않았다. 당시 자동응답조사를 두고 벌어진 ‘보수 과표집’ 논란이 근거가 없지는 않았던 셈이다.

이번 분석을 자문·감수한 박민규 고려대 교수(통계학)는 “이재명 전 대표는 뚜렷하고 견고한 지지율을 보이는 반면, 국민의힘 후보는 아직까지 의미 있는 지지율 수치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무응답, 부동층 등 아직 의사 결정을 하지 않은 이들이 어떤 식으로 의사 결정을 할지에 따라 앞으로 결과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박 교수는 지난 대선 방송3사 출구조사를 자문하고 예측 알고리즘 디시즌K(KBS)를 개발한 메타분석 전문가다.

정당 지지율은 지난 1월을 기점으로 민주당이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며 40% 안팎의 지지율을 유지하고 있고, 국민의힘은 하락을 이어가며 30% 선으로 주저앉았다. ‘지지 정당 없음’은 지난해 11월부터 하락하는 추세로, 20%를 밑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099 감사원 “문재인 정부, 집값통계 102회 조작”…감사 최종결과 발표 랭크뉴스 2025.04.17
45098 대치동 은마아파트, 46년 만에 49층·5962세대로 재건축 랭크뉴스 2025.04.17
45097 120억 별장 산 포르쉐 회장…산에 '개인 터널' 뚫으려다 발칵 랭크뉴스 2025.04.17
45096 “협조 안 하면 날린다”…文정부 4년간 집값 통계 102회 조작 랭크뉴스 2025.04.17
45095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 3,058명으로”…1년여 만에 백지화 랭크뉴스 2025.04.17
45094 국힘 1차 경선, 羅·韓·洪 '토론 배틀'… 김문수·안철수 격돌 랭크뉴스 2025.04.17
45093 리틀 이명희?…신세계 정유경은 왜 프로필 사진을 바꿨나 랭크뉴스 2025.04.17
45092 “권한대행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임명 불가”…헌재법 개정안 본회의 통과 랭크뉴스 2025.04.17
45091 권한대행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임명 제한법 본회의 통과 랭크뉴스 2025.04.17
45090 ‘용인 일가족 살해범’, 고개 푹…취재진 질문에 ‘묵묵부답’ [포착] 랭크뉴스 2025.04.17
45089 [속보] '대행,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지명 불가' 개정안 국회 통과 랭크뉴스 2025.04.17
45088 트럼프는 관세로 하루 20억달러 번다는데…미 정부기관 “5억달러” 랭크뉴스 2025.04.17
45087 안철수 “입만 터는 문과가 해먹는 나라 끝낼 것” 랭크뉴스 2025.04.17
45086 [줄기세포 한·일전]① 日 줄기세포 20년 투자, 결실 임박했나 랭크뉴스 2025.04.17
45085 감사원 “文정부 통계 조작 결론… 부동산·소득 통계 모두 왜곡됐다” 랭크뉴스 2025.04.17
45084 질문하는 기자 손목 움켜쥔 권성동…“폭력 사과하고 사퇴하라” 랭크뉴스 2025.04.17
45083 [속보] ‘권한대행 헌법재판관 임명 불가’ 헌재법 개정안, 민주당 주도 본회의 통과 랭크뉴스 2025.04.17
45082 의대 증원 결국 원점으로… 2026학년도 모집인원 ‘3058명’ 랭크뉴스 2025.04.17
45081 [NBS] '대통령 적합도' 이재명 39%‥이준석 낀 '3자 구도'는? 랭크뉴스 2025.04.17
45080 김문수 "尹 탈당? 옳은 일인지 생각해봐야" [인터뷰]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