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대인씨, 중앙첨단소재에 30억원 투자
“미묘한 시기에 굳이 투자했어야 했나” 지적도
경제분석가 선대인씨가 통신장비 업체 중앙첨단소재에 30억원을 투자한다. 유튜브 구독자 40만명을 거느린 선씨는 그동안 중앙첨단소재를 배터리 소재 관련주로 꼽아 투자자들에게 소개해 왔다. 종목 추천 전 선취매한 것이 아니라면 불법은 아니지만, 선씨의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는 것은 선씨가 정치권과 선이 닿아 있다는 점이다.
2018년 지방선거 때 더불어민주당 용인시장 경선에 출마하기도 했던 선씨는 더불어민주당이 꾸린 미래경제성장전략위원회에 기획자문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중앙첨단소재는 선씨 투자 소식에 정치테마주에 편입되며 15일 하루에만 21.94% 급등했다.
중앙첨단소재는 운영자금에 쓸 100억원을 마련하기 위해 제3자 배정 방식으로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지난 14일 공시했다. 유상증자에 따라 276만주가 3624원에 새로 발행된다. 신주는 6월 4일 상장되는데, 상장 이후 1년간 전매 제한된다. 새로 발행되는 주식의 70%는 아베니어파트너스가, 나머지 30%는 선씨와 그의 아내 김태현씨에게 배정된다.
‘배터리 아저씨’로 불리던 박순혁 작가와 함께 2차전지주 투자를 적극적으로 추천해 온 선씨가 등장하자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됐다.
가뜩이나 최근 코스닥시장은 대선후보들의 동향 하나하나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선씨가 경제 분야에 있어 이재명 후보의 ‘브레인’이 될 수 있다는 해석이 잇따르면서 중앙첨단소재로 개미 투자자들이 몰렸다.
자본시장 한 관계자는 “민주당 자문에 나선 선씨가 지분을 확보한다는 소식이 투자 심리를 자극한 모양새”라며 “본인의 투자 소식이 주가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충분히 알 텐데, 굳이 왜 지금 시점에 투자했는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선씨가 유상증자를 통해 확보한 지분은 1년 동안 의무 보유해야 하는데, 이후에도 주가가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경우 선씨와 부인 김씨가 얻는 시세차익은 14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그는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올린 동영상에서 중앙첨단소재를 2차전지 관련주로 꼽아 왔다. 지난달에는 중앙첨단소재가 주주총회에서 새만금 산업단지 내 리튬염 관련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내용을 구독자들에게 전달하기도 했다.
다만 선 씨의 설명과 달리 회사의 사업 내용을 보면 중앙첨단소재를 2차전지 관련주로 분류하기는 애매해 보인다는 것이 전문가들 설명이다. 무엇보다 2차전지 관련 사업의 매출 비중이 미미하다. 지난해 기준 중앙첨단소재의 매출 95%는 건축자재와 통신장비 판매 사업에서 발생했다. 이 외에 중앙첨단소재는 2차전지 기초 소재인 리튬염을 매입해 판매하는 소재 유통사업을 하고 있는데 여기서 발생한 매출 비중은 4%에 불과하다.
새만금 산업단지에 공장을 지어 리튬염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했지만, 구체화한 내용은 아직 없다. 당초 계획대로라면 새만금 부지에 지난해 1단계 공사에 착공해 내년 3단계를 거쳐 완공됐어야 하지만 아직 정확한 부지 선정도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선씨는 코스닥 상장사 젬백스에도 자금을 투자했다. 지난해 11월 젬백스는 선씨와 그의 아내 김씨에게 각각 100억원, 총 200억원 규모의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한다고 공시했다. 이후 정정보고서를 통해 선씨와 김씨에 발행되는 BW 규모는 각각 45억원, 총 90억원 규모로 줄었다.
당시 선씨는 “최근 젬백스 탐방을 갔다가 BW에 참여할 기회가 마침 바로 생겨서 하루이틀만에 급하게 결정하게 됐다”며 “상당한 리스크를 지고 투자했다”라고 말했다. 선 씨의 투자 소식이 전해지면서 젬백스 주가도 크게 올랐다. 지난해 12월 초 1만5000원 부근에서 움직이던 주가는 최근 3만원 수준으로 올랐다.
상장사가 발행한 메자닌에 투자하고 유상증자에도 참여하면서 과거 선씨의 투자 이력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선씨는 박순혁 작가가 과거 홍보이사로 재직하던 금양 주식 8만3837주를 매수해 총 7억5576만원의 이익을 취했다.
이 같은 사실은 금융감독원 자본시장특별사법경찰(특사경)이 박 작가의 자택을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알려졌다. 금융 당국은 박 작가가 미공개 정보를 먼저 선 씨에게 알려 부당이익을 보게 했다고 의심했다.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선씨와 박씨는 자택 압수수색을 받았지만, 이와 관련해 추가 조치는 나오지 않았다.
한편 박 작가와 선씨가 함께 투자를 추천하고 선씨도 직접 투자했던 금양은 현재 상장폐지 위기다. 외부 감사인으로부터 ‘의견 거절’을 받아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했고, 한국거래소에 이의 신청서를 제출한 상태다. 상장폐지 결정은 다음달 중순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미묘한 시기에 굳이 투자했어야 했나” 지적도
경제분석가 선대인씨가 통신장비 업체 중앙첨단소재에 30억원을 투자한다. 유튜브 구독자 40만명을 거느린 선씨는 그동안 중앙첨단소재를 배터리 소재 관련주로 꼽아 투자자들에게 소개해 왔다. 종목 추천 전 선취매한 것이 아니라면 불법은 아니지만, 선씨의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는 것은 선씨가 정치권과 선이 닿아 있다는 점이다.
2018년 지방선거 때 더불어민주당 용인시장 경선에 출마하기도 했던 선씨는 더불어민주당이 꾸린 미래경제성장전략위원회에 기획자문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중앙첨단소재는 선씨 투자 소식에 정치테마주에 편입되며 15일 하루에만 21.94% 급등했다.
선대인씨가 자신의 유튜브 채널 '선대인 TV'에서 중앙첨단소재에 대한 정보를 설명하고 있는 모습./유튜브 화면 캡처
중앙첨단소재는 운영자금에 쓸 100억원을 마련하기 위해 제3자 배정 방식으로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지난 14일 공시했다. 유상증자에 따라 276만주가 3624원에 새로 발행된다. 신주는 6월 4일 상장되는데, 상장 이후 1년간 전매 제한된다. 새로 발행되는 주식의 70%는 아베니어파트너스가, 나머지 30%는 선씨와 그의 아내 김태현씨에게 배정된다.
‘배터리 아저씨’로 불리던 박순혁 작가와 함께 2차전지주 투자를 적극적으로 추천해 온 선씨가 등장하자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됐다.
가뜩이나 최근 코스닥시장은 대선후보들의 동향 하나하나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선씨가 경제 분야에 있어 이재명 후보의 ‘브레인’이 될 수 있다는 해석이 잇따르면서 중앙첨단소재로 개미 투자자들이 몰렸다.
자본시장 한 관계자는 “민주당 자문에 나선 선씨가 지분을 확보한다는 소식이 투자 심리를 자극한 모양새”라며 “본인의 투자 소식이 주가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충분히 알 텐데, 굳이 왜 지금 시점에 투자했는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선씨가 유상증자를 통해 확보한 지분은 1년 동안 의무 보유해야 하는데, 이후에도 주가가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경우 선씨와 부인 김씨가 얻는 시세차익은 14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그는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올린 동영상에서 중앙첨단소재를 2차전지 관련주로 꼽아 왔다. 지난달에는 중앙첨단소재가 주주총회에서 새만금 산업단지 내 리튬염 관련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내용을 구독자들에게 전달하기도 했다.
'배터리 아저씨’로 불리는 박순혁 작가./뉴스1
다만 선 씨의 설명과 달리 회사의 사업 내용을 보면 중앙첨단소재를 2차전지 관련주로 분류하기는 애매해 보인다는 것이 전문가들 설명이다. 무엇보다 2차전지 관련 사업의 매출 비중이 미미하다. 지난해 기준 중앙첨단소재의 매출 95%는 건축자재와 통신장비 판매 사업에서 발생했다. 이 외에 중앙첨단소재는 2차전지 기초 소재인 리튬염을 매입해 판매하는 소재 유통사업을 하고 있는데 여기서 발생한 매출 비중은 4%에 불과하다.
새만금 산업단지에 공장을 지어 리튬염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했지만, 구체화한 내용은 아직 없다. 당초 계획대로라면 새만금 부지에 지난해 1단계 공사에 착공해 내년 3단계를 거쳐 완공됐어야 하지만 아직 정확한 부지 선정도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선씨는 코스닥 상장사 젬백스에도 자금을 투자했다. 지난해 11월 젬백스는 선씨와 그의 아내 김씨에게 각각 100억원, 총 200억원 규모의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한다고 공시했다. 이후 정정보고서를 통해 선씨와 김씨에 발행되는 BW 규모는 각각 45억원, 총 90억원 규모로 줄었다.
당시 선씨는 “최근 젬백스 탐방을 갔다가 BW에 참여할 기회가 마침 바로 생겨서 하루이틀만에 급하게 결정하게 됐다”며 “상당한 리스크를 지고 투자했다”라고 말했다. 선 씨의 투자 소식이 전해지면서 젬백스 주가도 크게 올랐다. 지난해 12월 초 1만5000원 부근에서 움직이던 주가는 최근 3만원 수준으로 올랐다.
상장사가 발행한 메자닌에 투자하고 유상증자에도 참여하면서 과거 선씨의 투자 이력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선씨는 박순혁 작가가 과거 홍보이사로 재직하던 금양 주식 8만3837주를 매수해 총 7억5576만원의 이익을 취했다.
이 같은 사실은 금융감독원 자본시장특별사법경찰(특사경)이 박 작가의 자택을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알려졌다. 금융 당국은 박 작가가 미공개 정보를 먼저 선 씨에게 알려 부당이익을 보게 했다고 의심했다.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선씨와 박씨는 자택 압수수색을 받았지만, 이와 관련해 추가 조치는 나오지 않았다.
한편 박 작가와 선씨가 함께 투자를 추천하고 선씨도 직접 투자했던 금양은 현재 상장폐지 위기다. 외부 감사인으로부터 ‘의견 거절’을 받아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했고, 한국거래소에 이의 신청서를 제출한 상태다. 상장폐지 결정은 다음달 중순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