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대선’ 2017년엔 11차례 열려
더불어민주당의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를 선출하기 위한 경선에 나서는 이재명 전 대표(왼쪽부터), 김경수 전 경남지사, 김동연 경기지사.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대선 경선 과정에서 TV토론을 2회만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내부 경쟁에서의 잡음을 최소화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결과적으로는 1강인 이재명 전 대표에 대한 경쟁자들의 공세 기회가 줄게 됐다. 비명(비이재명)계는 “해도 너무한다”며 반발했다.
15일 민주당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경선 TV토론은 오는 18일(지상파 채널)과 25일(종합편성 채널) 총 두 차례 진행될 예정이다. 당 선관위 관계자는 통화에서 “경선 기간이 너무 짧은 데다 후보들 일정도 많아 두 차례로 의결했다”며 “내부 논의에서 별다른 이견은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으로 조기 대선이 실시됐던 2017년과 비교해 크게 줄어든 수치다. 당시 민주당은 경선 후보 등록 마감일로부터 22일 만에 후보를 선출했는데, 이 과정에서 총 9차례 TV토론을 진행했다. 각 지역 순회투표 일정에 맞춰 권역별 토론회도 열었다. 경선 후보 등록 전 진행된 두 차례의 예비후보자 토론회까지 포함하면 총 11차례 토론회가 열린 셈이다.
TV토론은 후발주자들의 존재감을 드러낼 기회로 여겨진다. 2017년 당시 이 전 대표 역시 룰 협상 과정에서 “(지지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우리한테는 합동 토론회가 유일한 기회인데 이를 원천 봉쇄당했다”며 당 지도부에 토론회 축소를 강하게 항의했다. 이 전 대표 캠프는 “후보 검증 시간이 부족하다. 토론을 최대한 많이 보장해 철저히 검증해야 한다”고 촉구했었다.
이에 대해 당 선관위 관계자는 “같은 조기 대선이지만 경선 기간이 2017년보다 짧다”고 설명했다. 민주당은 경선 후보 등록 마감일로부터 12일 만에 후보를 선출할 계획인데, 이는 8년 전보다 열흘 짧은 일정이다.
비명계는 민주당 경선이 불공정하게 흐른다고 비판했다. 비명계 캠프 관계자는 “각 캠프의 의견을 듣는다고 하지만 요식행위에 불과하다”며 “친명(친이재명)계 인사들이 당을 사실상 장악한 상태에서 ‘게임의 룰’이 공정하게 논의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번 TV토론 일정은 권리당원을 대상으로 하는 권역별 순회 경선 온라인 투표 중간에 진행된다. 당원들의 판단에 영향을 주기 어려운 구조라는 평가다. 권역별 순회 경선 온라인 투표는 충청권(16~19일), 영남권(17~20일), 호남권(17~26일), 수도권·강원·제주(24∼27일) 순으로 진행된다. 비명계 관계자는 “당원들의 압도적 지지를 받겠다면서 이렇게까지 하는 이유를 도저히 모르겠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