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상장위원회 미승인 통보 불복
기술성 평가 ‘최고’ 강조 예정
美증시보다 코스닥 상장 유리

/제노스코 홈페이지.

이 기사는 2025년 4월 15일 16시 49분 조선비즈 머니무브(MM) 사이트에 표출됐습니다.

글로벌 항암 신약 ‘렉라자’ 원개발사로 알려진 바이오텍 제노스코가 한국거래소 상장 심사대에 다시 선다. 모회사 오스코텍과의 ‘매출 중복·복제 상장’ 논란 등으로 상장 미승인 통보를 받았지만, 시장위원회로 재심 청구를 하기로 내부 방침을 정한 것으로 파악됐다.

제노스코는 앞선 기술성 평가에서 전문 기관 두 곳으로부터 최고등급(AA)을 받은 만큼 결과를 뒤집을 수도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재무적 투자자(FI) 메리츠증권이 재심 도전을 적극 종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상장 불발 시 자금 회수가 어려워지는 탓이다.

1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제노스코는 이번 주 중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로 상장예비심사 이의신청을 한다. 시장위원회 재심사를 활용해 심사 승인을 받아내겠다는 것으로, 제노스코는 지난 11일 상장위원회로부터 상장 미승인 통보를 받았다.

통상 미승인 통보를 받은 발행사는 향후 상장을 다시금 추진하는 경우에 대비해 심사 철회를 택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철회를 미루거나 이의신청에 나설 경우 시장위원회 재심의를 받을 수 있다. 시장위원회는 한국거래소 상장위원회의 상위기관으로 통한다.

제노스코는 매출 구조와 크게 상관없는 기술특례상장제도로 코스닥시장 입성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을 내세울 것으로 보인다. 상장위원회가 제노스코 상장을 미승인한 이유가 모회사인 오스코텍과 매출 구조가 같은, 이른바 복제 상장 문제 때문으로 알려져서다.

미국 보스턴에 본사를 둔 제노스코는 지난 2015년 유한양행으로 폐암 치료 신약 물질인 레이저티닙을 이전하는 과정에서 한국에 있는 모회사인 오스코텍을 거친 탓에 수익을 나누고 있다. 오스코텍은 전체 매출의 90%, 제노스코는 100%가 레이저티닙에서 나온다.

회사는 시장위원회가 상장 승인 결론을 낼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다. 기술특례상장의 취지가 혁신 기업의 성장 지원인 데 더해 상장 첫 관문인 기술성 평가에서 기술특례상장 추진 바이오텍 중에서는 최초로 전문 기관 두 곳 모두로부터 AA를 확보, 기술력을 인정받아서다.

무엇보다 FI인 메리츠증권이 재심 청구를 적극적으로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메리츠증권은 지난 2023년 제노스코가 프리IPO(상장 전 자금조달) 성격으로 추진한 약 100억원 규모 시리즈C 투자유치에 참여, 올해 상장 이후 투자금 회수를 예정한 상태였다.

앞서 한국거래소가 상장위원회를 개최한 뒤에도 메리츠증권이 자리했다. 실제 한국거래소는 심사 지연의 방식으로 철회를 권고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공식적으로 미승인 결정을 내지 않기 위한 배려였지만, 메리츠증권은 자진 철회가 아닌 강행을 종용했다.

메리츠증권 CI.

상장이 수익을 내는 가장 효율적인 방안이라는 점이 메리츠증권의 상장 강행 요구로 이어졌다. 실제 제노스코와 메리츠증권 등은 상장 후 몸값으로 6000억원을 희망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2023년 시리즈C 투자유치 당시 책정한 기업가치의 약 3배다.

항체의약품 개발사 에이프릴바이오의 코스닥시장 입성 사례도 제노스코의 시장위원회 재심 청구를 부추기는 요소로 꼽힌다. 에이프릴바이오는 지난 2022년 11월 상장예비심사를 청구 이후 상장위원회 미승인에도 시장위원회 재심을 거쳐 코스닥시장에 상장했다.

다만 시장에선 제노스코가 시장위원회에서 승인을 받아들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보고 있다. 제노스코는 복제 상장 논란 외에 주주 반발에도 직면해 있기 때문이다. 오스코텍 소액주주들은 제노스코 상장 시 주주가치 훼손을 주장하며 손해배상 소송까지 제기했다.

제노스코는 코스닥시장 상장 최종 불발 시 미국 나스닥 상장 가능성도 열어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김정근 전 오스코텍 대표는 지난 11월 제노스코 상장 관련 기업설명회(IR) 자리에 나와 “미국에 있는 회사인 만큼 나스닥 상장을 생각했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조차 쉽지 않을 전망이다. 미국 뉴욕증시 상장을 위해선 상장 기업의 기업가치가 최소 2조원은 넘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기업공개(IPO) 업무를 주관할 외국계 증권사들의 보수를 포함한 상장 제반 비용이 훨씬 많이 들기 때문이다.

가령 상장 주관사가 성공 보수로 받는 수수료는 공모 금액의 0.5~1% 안팎이다. 50억원을 벌려면 공모 금액이 최소 2500억~5000억원은 돼야 한다는 얘기다. IPO에 나서는 기업은 보통 지분의 15~30% 내놓은 점을 감안하면 1조5000억원 이상은 돼야 한다.

투자자 눈길을 끌기도 쉽지 않다. 기업가치 1~2조원 규모는 미국 증시에서 이른바 ‘잡주’로 분류된다. 국내 기업으로는 최초로 1999년 나스닥에 상장한 반도체 검사장비 제조 기업 미래산업은 거래 부진을 이유로 상장 9년 만인 2008년 자진 상장폐지를 택했다.

오스코텍 측은 “제노스코 상장 미승인 이후 상장 철회를 하지 않은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아직 확정된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말했다. 한편 제노스코가 상장 철회를 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시장위원회로 직행한다. 미승인이 나오면 최종 심사 탈락이 확정된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101 김동연, ‘비동의 강간죄 도입’ 공약···민주당 후보 중 유일? 랭크뉴스 2025.04.17
45100 "현대식 고문 의자" 비명 터졌다…中항공사 '초슬림 좌석' 논란 랭크뉴스 2025.04.17
45099 감사원 “문재인 정부, 집값통계 102회 조작”…감사 최종결과 발표 랭크뉴스 2025.04.17
45098 대치동 은마아파트, 46년 만에 49층·5962세대로 재건축 랭크뉴스 2025.04.17
45097 120억 별장 산 포르쉐 회장…산에 '개인 터널' 뚫으려다 발칵 랭크뉴스 2025.04.17
45096 “협조 안 하면 날린다”…文정부 4년간 집값 통계 102회 조작 랭크뉴스 2025.04.17
45095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 3,058명으로”…1년여 만에 백지화 랭크뉴스 2025.04.17
45094 국힘 1차 경선, 羅·韓·洪 '토론 배틀'… 김문수·안철수 격돌 랭크뉴스 2025.04.17
45093 리틀 이명희?…신세계 정유경은 왜 프로필 사진을 바꿨나 랭크뉴스 2025.04.17
45092 “권한대행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임명 불가”…헌재법 개정안 본회의 통과 랭크뉴스 2025.04.17
45091 권한대행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임명 제한법 본회의 통과 랭크뉴스 2025.04.17
45090 ‘용인 일가족 살해범’, 고개 푹…취재진 질문에 ‘묵묵부답’ [포착] 랭크뉴스 2025.04.17
45089 [속보] '대행,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지명 불가' 개정안 국회 통과 랭크뉴스 2025.04.17
45088 트럼프는 관세로 하루 20억달러 번다는데…미 정부기관 “5억달러” 랭크뉴스 2025.04.17
45087 안철수 “입만 터는 문과가 해먹는 나라 끝낼 것” 랭크뉴스 2025.04.17
45086 [줄기세포 한·일전]① 日 줄기세포 20년 투자, 결실 임박했나 랭크뉴스 2025.04.17
45085 감사원 “文정부 통계 조작 결론… 부동산·소득 통계 모두 왜곡됐다” 랭크뉴스 2025.04.17
45084 질문하는 기자 손목 움켜쥔 권성동…“폭력 사과하고 사퇴하라” 랭크뉴스 2025.04.17
45083 [속보] ‘권한대행 헌법재판관 임명 불가’ 헌재법 개정안, 민주당 주도 본회의 통과 랭크뉴스 2025.04.17
45082 의대 증원 결국 원점으로… 2026학년도 모집인원 ‘3058명’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