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세월호 참사 11주기를 하루 앞둔 15일 김종기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이 서울 중구 세월호 기억공간에서 경향신문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서성일 선임기자


12·3 비상계엄사태 이후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전 대통령을 파면하기까지 4개월간 매주 토요일 서울에서는 탄핵 촉구 집회가 열렸다. 그리고 집회가 진행되는 광장 한쪽에 펼쳐진 노란 천막에는 항상 1500개의 주먹밥이 보온통에 담겨 시민들을 기다렸다. 세월호 유족들과 자원봉사자들이 광장에 나온 시민들을 위해 직접 만든 것이다. “맛있어요” “감사해요” 주먹밥을 받아든 시민들은 환히 웃으며 감사를 표했다. 매주 집회가 이어지면서 주먹밥의 속 재료도 점점 늘어갔다. 시민들이 지치지 않길 바라는 마음이 든든한 한 끼에 담겼다.

15일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인 김종기씨를 만났다. 김씨는 세월호참사 희생자 고 김수진양의 아버지다. 김씨는 “주먹밥 나눔은 항상 오후 4시16분에 카운트다운을 하며 시작했다”며 “416이라는 숫자는 슬프고 아픈 숫자이기도 하지만 생명과 안전을 의미하는 희망의 숫자가 되길 바라는 마음을 담았다”고 했다. 김씨는 지난 12월7일부터 4월5일까지 팽목항을 다녀온 날 하루를 빼고는 매주 토요일 탄핵 촉구 집회가 열리는 광장을 지켰다. 세월호 유족들이 그동안 광장에서 시민들에게 나눠준 주먹밥은 2만개에 달한다.

지난해 12월3일 비상계엄 선포 소식을 뉴스로 접한 김씨는 온몸이 덜덜 떨렸다고 했다. 중학생 시절 처음 겪었던 계엄의 공포가 떠올랐다. 윤 정부를 비판하는 목소리를 내왔던 세월호 유족들 역시 위협을 당할 수 있다는 두려움도 엄습했다.

이런 두려움을 희망으로 바꾼 것은 수진양 또래의 청년들이었다. 기꺼이 국회로 달려가고 응원봉을 들고 광화문 광장에 나온 청년들을 볼 때마다 김씨의 마음에는 미안함과 고마움이 공존했다. 김씨는 “청년들에게 생명과 안전을 중시하지 않는 권력이 제대로 된 처벌을 받는 세상을 물려주고 싶었다”며 “비상계엄 때문에 청년들이 광장에 나와야 하는 상황이 어른으로서 미안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5·18때 엄마들이 광장에 나온 학생들에게 먹이던 주먹밥으로 청년들을 든든하게 먹이고 싶었다”고 했다.

김씨에게 광장은 지난 11년간의 싸움이 헛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한 공간이기도 하다. 광장에 나온 청년들의 가방에는 노란 리본이 달려 있었다. “광장에 나와주셔서 고맙다”는 말을 전하는 청년들도 있었다. 김씨는 “많은 시민이 아직 세월호를 잊지 않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포기하지 말아야겠다’고 생각했다”며 “안전 사회를 위해 함께하는 이들을 두 눈으로 볼 수 있어 힘이 됐다”고 말했다.

김씨가 탄핵 이후 바라는 세상은 ‘권력의 잘못을 명명백백히 밝히는 사회’다. 세월호 참사 당일 ‘박근혜 전 대통령의 7시간’에 대한 정보는 2017년 대통령 지정기록물로 지정되어 제대로 공개되지 않았다. 이번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문건도 대통령 지정기록물로 지정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김씨는 “세월호도, 비상계엄도 우리가 알지 못하는 사실들이 묻히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안전·생명을 위한 사회가 되길 바란다”고 했다. 김씨는 “비상계엄 사태는 우리 사회의 민주주의, 생명·안전의 가치가 얼마나 쉽게 무너지는지를 보여준 것”이라며 “유족들은 광장에 나선 시민들 덕분에 여기까지 올 수 있었다. 안전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끝까지 싸우겠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002 이재명 "임기내 세종 의사당·대통령집무실 건립…충청, 행정·과학 수도로" 랭크뉴스 2025.04.17
45001 금통위 "韓 올 성장률 1.5% 하회할 것" 랭크뉴스 2025.04.17
45000 유영재 "한순간 잘못된 판단"…선우은숙 친언니 강제추행 인정 랭크뉴스 2025.04.17
44999 [샷!] "지브리 프사, 예술에 대한 모욕처럼 느껴져" 랭크뉴스 2025.04.17
44998 "당직 중 술 마신 적 없는데"…경찰서장을 명예훼손 고소한 경감 랭크뉴스 2025.04.17
44997 광주의 우려 "이재명 밀어야제…근디 무조건 파랑은 아니랑께" [진보심장 르포] 랭크뉴스 2025.04.17
44996 미국 자동차 가격 5월이 마지노선?…"포드, 올여름 인상" 랭크뉴스 2025.04.17
44995 한은 총재도 최상목 미 국채 2억 두고 “부적절…의심 살 만하다” 랭크뉴스 2025.04.17
44994 日 "미일, 관세 조기합의에 의견일치…美, 90일내 마무리 원해"(종합) 랭크뉴스 2025.04.17
44993 [금융뒷담] ‘키움 먹통’ 늦어지는 보상에 뿔난 개미들 랭크뉴스 2025.04.17
44992 경북산불 산림피해 9만ha, 산림청 발표 '2배'…"기본부터 엉터리"(종합) 랭크뉴스 2025.04.17
44991 “경제 성장 둔화·인플레 우려” 파월 의장 경고 랭크뉴스 2025.04.17
44990 [속보] 한은, 기준금리 2.75% 동결… 대내외 불확실성에 ‘속도조절’ 랭크뉴스 2025.04.17
44989 출근길 노들로서 전복된 SUV… 30대 운전자 음주 입건 랭크뉴스 2025.04.17
44988 이재명 "충청을 행정·과학수도로…임기내 세종 대통령집무실 건립" 랭크뉴스 2025.04.17
44987 경북 산불 산림피해 9만여ha…산림청 발표의 '2배' 랭크뉴스 2025.04.17
44986 “너무 가려워요” 대학 기숙사에서 ‘옴’ 발생해 학생 귀가 랭크뉴스 2025.04.17
44985 [속보] 한은, 기준금리 2.75%로 동결 랭크뉴스 2025.04.17
44984 [단독] 박성재 격노 뒤 출입국본부장 돌연 사직…‘윤 출국금지 공개’ 탓? 랭크뉴스 2025.04.17
44983 [속보] 한은 기준금리 동결…연 2.75% 유지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