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와 AMD가 ‘인공지능(AI) 반도체를 미국 TSMC 공장에서 생산한다’고 14일 각각 발표했다. 이날 미국 트럼프 정부는 반도체 관세의 준비 단계로 수입 영향 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관세 앞에 장사 없다고, 미국 칩 대기업들이 재빨리 ‘미국산(産)’ 기조에 맞추는 것이다.
최근 미국 애리조나 공장을 가동하기 시작한 대만 TSMC는 물론, 폭스콘·위스트론·SPIL 같은 대만 조립·패키징 회사들도 줄줄이 일감을 얻게 됐다.
14일 엔비디아는 공식 성명을 통해 “제조 협력사들과 함께 미국에서 AI 슈퍼컴퓨터를 만들 공장을 짓고 있다”라며 “4년 내 5000억 달러(약 712조원) 규모의 AI 인프라를 미국에서 생산하겠다”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미국 애리조나주 피닉스의 TSMC 공장에서 이미 AI 가속기 ‘블랙웰’ 칩을 생산하고 있으며, 서버 제조사인 폭스콘·위스트론과 함께 텍사스에 짓는 슈퍼컴퓨터 공장은 앞으로 12~15개월 안에 대량 양산을 시작할 거라고 밝혔다. 칩 패키징과 테스트는 애리조나의 앰코, SPIL과 협력한다. 제조, 패키징, 조립, 테스트까지 모두 미국에서 한다는 얘기다.
성명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전 세계 AI 인프라의 엔진이 처음으로 미국에서 구축되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발표 직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트루스소셜 계정은 엔비디아 성명서를 공유했다.
업계에서는 ‘애플과 동일한 전략’이라는 평이 나온다. 지난 2월 애플은 미국 내 5000억 달러 투자 계획을 발표했는데, 예정된 투자 계획을 싹 긁어모은 재탕이었다.
━
TSMC 쏠린‘미국 생산기지’…대만 협력사, 일감 늘어
이날 엔비디아가 언급한 공장들 역시 대부분 기존에 발표된 것들이다. 엔비디아가 언급한 5000억 달러에 대해 블룸버그는 “대형 클라우드 기업에 판매하는 수십만 대의 AI용 서버 등 상품 가치를 다 합한 것”이라고 했다. AMD도 이날 밤 미국 내 칩 생산 계획을 발표했다. 내년 출시되는 차세대 중앙처리장치(CPU)를 TSMC의 2나노미터(㎚·1㎚=10억분의 1m) 공정으로 제조하며, 올 2분기 출하하는 5세대 CPU는 TSMC 애리조나 공장 제조를 위한 검증을 마쳤다는 것.
두 회사의 발표는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에 관세 부과를 예고한 가운데 나왔다. 인건비가 비싸고 숙련도가 낮은 미국에서 반도체 제조가 가능할 지에 대한 업계·시장의 우려는 여전한데, 엔비디아는 반도체 공정 중 상대적으로 노동력이 많이 드는 패키징·테스트와 서버 조립까지 미국에서 하겠다는 거다. 엔비디아는 이런 지적을 의식한 듯 “디지털 트윈과 제조 로봇 구축용 AI 기술 등을 활용해 (미국 내) 생산 시설을 운영하겠다”고 성명서에 덧붙였다.
반도체 기업들이 ‘미국 생산 기지’로 죄다 TSMC 공장을 택하면서, 미국에 파운드리 공장을 둔 삼성전자와 인텔이 급해지게 됐다. TSMC의 첨단 패키징 용량이 꽉 찼는데도 삼성·인텔에 대한 주문은 늘어나지 않고, 대신 패키징 전문기업인 미국 앰코와 대만 SPIL이 넘치는 물량을 넘겨 받고 있어서다. 조립 회사인 대만 폭스콘과 위스트론도 엔비디아 덕분에 고부가가치 AI 서버 기업으로 수혜를 톡톡히 누리고 있다.
인텔은 첨단 파운드리에 집중하기 위한 전열 정비에 나섰다. 이날 인텔은 반도체 기업 알테라 지분 51%를 44억6000만 달러(약 6조3600억원)에 사모펀드 실버레이크에 매각한다고 발표했다. 10년 전 인수가치의 반값 수준이다.
최근 미국 애리조나 공장을 가동하기 시작한 대만 TSMC는 물론, 폭스콘·위스트론·SPIL 같은 대만 조립·패키징 회사들도 줄줄이 일감을 얻게 됐다.
14일 엔비디아는 공식 성명을 통해 “제조 협력사들과 함께 미국에서 AI 슈퍼컴퓨터를 만들 공장을 짓고 있다”라며 “4년 내 5000억 달러(약 712조원) 규모의 AI 인프라를 미국에서 생산하겠다”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미국 애리조나주 피닉스의 TSMC 공장에서 이미 AI 가속기 ‘블랙웰’ 칩을 생산하고 있으며, 서버 제조사인 폭스콘·위스트론과 함께 텍사스에 짓는 슈퍼컴퓨터 공장은 앞으로 12~15개월 안에 대량 양산을 시작할 거라고 밝혔다. 칩 패키징과 테스트는 애리조나의 앰코, SPIL과 협력한다. 제조, 패키징, 조립, 테스트까지 모두 미국에서 한다는 얘기다.
성명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전 세계 AI 인프라의 엔진이 처음으로 미국에서 구축되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발표 직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트루스소셜 계정은 엔비디아 성명서를 공유했다.
업계에서는 ‘애플과 동일한 전략’이라는 평이 나온다. 지난 2월 애플은 미국 내 5000억 달러 투자 계획을 발표했는데, 예정된 투자 계획을 싹 긁어모은 재탕이었다.
━
TSMC 쏠린‘미국 생산기지’…대만 협력사, 일감 늘어
이날 엔비디아가 언급한 공장들 역시 대부분 기존에 발표된 것들이다. 엔비디아가 언급한 5000억 달러에 대해 블룸버그는 “대형 클라우드 기업에 판매하는 수십만 대의 AI용 서버 등 상품 가치를 다 합한 것”이라고 했다. AMD도 이날 밤 미국 내 칩 생산 계획을 발표했다. 내년 출시되는 차세대 중앙처리장치(CPU)를 TSMC의 2나노미터(㎚·1㎚=10억분의 1m) 공정으로 제조하며, 올 2분기 출하하는 5세대 CPU는 TSMC 애리조나 공장 제조를 위한 검증을 마쳤다는 것.
두 회사의 발표는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에 관세 부과를 예고한 가운데 나왔다. 인건비가 비싸고 숙련도가 낮은 미국에서 반도체 제조가 가능할 지에 대한 업계·시장의 우려는 여전한데, 엔비디아는 반도체 공정 중 상대적으로 노동력이 많이 드는 패키징·테스트와 서버 조립까지 미국에서 하겠다는 거다. 엔비디아는 이런 지적을 의식한 듯 “디지털 트윈과 제조 로봇 구축용 AI 기술 등을 활용해 (미국 내) 생산 시설을 운영하겠다”고 성명서에 덧붙였다.
반도체 기업들이 ‘미국 생산 기지’로 죄다 TSMC 공장을 택하면서, 미국에 파운드리 공장을 둔 삼성전자와 인텔이 급해지게 됐다. TSMC의 첨단 패키징 용량이 꽉 찼는데도 삼성·인텔에 대한 주문은 늘어나지 않고, 대신 패키징 전문기업인 미국 앰코와 대만 SPIL이 넘치는 물량을 넘겨 받고 있어서다. 조립 회사인 대만 폭스콘과 위스트론도 엔비디아 덕분에 고부가가치 AI 서버 기업으로 수혜를 톡톡히 누리고 있다.
인텔은 첨단 파운드리에 집중하기 위한 전열 정비에 나섰다. 이날 인텔은 반도체 기업 알테라 지분 51%를 44억6000만 달러(약 6조3600억원)에 사모펀드 실버레이크에 매각한다고 발표했다. 10년 전 인수가치의 반값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