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크렘린궁 "전승절 함께 축하할 사람 모두 환영"
북중러 붉은광장 회동 가능성 제기…변수 많아


2024년 러시아 전승절 열병식
[타스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모스크바=연합뉴스) 최인영 특파원 = 러시아는 다음 달 9일 모스크바에서 열리는 제2차 세계대전 승리 기념 열병식에 20여개국 정상이 참석한다고 15일(현지시간) 밝혔다.

타스 통신에 따르면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함께 이날을 축하하기 위해 20명 이상의 국가·정부 정상이 이곳에 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러시아는 2차 대전을 '대조국전쟁'이라고 부르며 나치 독일에 대한 소련의 승리를 대대적으로 기념한다. 모스크바 붉은광장에서 열리는 열병식은 전승절 행사의 하이라이트다. 특히 올해는 승리 80주년을 맞아 성대한 행사를 준비 중이다.

3년 이상 우크라이나에서 '특별군사작전'을 벌이는 러시아는 현 우크라이나 정권을 신(新)나치로 칭하면서 올해 전승절 행사에 더욱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페스코프 대변인은 "매우 중요한 이날을 우리와 기념하고자 하는 사람은 누구나 받아들일 준비가 됐다"며 "이는 나치즘이 유럽에 다시 자리 잡고 유럽이 이를 근절하려는 단일 열망을 보이지 않는 지금 특히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북한은 러시아의 특별군사작전을 전폭 지지하는 만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도 이번 행사에 참석할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우크라이나는 북한이 러시아 쿠르스크 전장에 군을 파병했다고 비판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6월 평양을 방문한 푸틴 대통령에게 모스크바 방문 초대를 받았는데 다음 달 전승절이 유력한 방문 시점으로 꼽힌다.

최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김 위원장이 전승절에 모스크바를 방문할 가능성이 있다며 이 경우 푸틴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함께 북중러 정상이 한자리에 모임으로써 서방에 강력한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고 전했다.

시 주석은 올해 전승절의 주요 귀빈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 1일 러시아를 방문한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외교부장 겸임)을 만나 시 주석의 전승절 방문을 예상한다며 "주요 손님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시 주석에게 스포트라이트가 집중될 수 있는 상황은 김 위원장의 전승절 참석에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김 위원장은 다자 무대 경험이 없는 데다 자신의 존재감을 완전히 드러내는 양자 회담을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하지만 오히려 세계 여러 정상과 어깨를 나란히 함으로써 고립된 지도자 이미지를 탈피하고 정상 국가 지도자처럼 보이려고 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북중러의 미묘한 관계도 변수로 거론된다. 중국은 러시아의 우방이지만 북한과 달리 우크라이나 작전을 지원하기보다는 중재하려는 입장이다. 또 북한과 러시아의 밀착을 견제한다는 분석이 나온 만큼 시 주석이 김 위원장과 모스크바에 나란히 서는 것을 반기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최근 미국이 중국을 상대로 관세 전쟁을 벌이고 있어 중국이 북중러 회동으로 미국에 경고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는 예상도 있다.

러시아 언론들에 따르면 이번 전승절에는 카자흐스탄, 벨라루스, 타지키스탄 등 옛 소련 국가 정상과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 니콜 파시냔 아르메니아 총리 등이 참석을 예고했다.

유럽의 친러시아 지도자인 로베르트 피초 슬로바키아 총리와 알렉산다르 부치치 세르비아 대통령도 참석 의향을 내비쳤다. 슬로바키아는 EU 회원국이고 세르비아는 EU 가입을 희망하고 있다.

카야 칼라스 유럽연합(EU) 외교안보 고위대표는 유럽 지도자들에게 "러시아가 유럽에서 실질적인 전면전을 벌이는 점을 고려해 회원국이 모스크바에서 열리는 열병식이나 축하 행사에 참여하는 것을 가볍게 여기지 않을 것"이라며 EU 가입 후보국의 행사 참여도 원하지 않는다고 경고했다고 폴리티코가 보도했다.

이에 대해 페스코프 대변인은 "가혹하다"며 유럽의 주권 국가들이 이러한 위협을 자체적으로 평가해야 한다면서도 "우리가 볼 때 유럽에는 이러한 수사를 받아들이지 않는 국가들이 있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867 구치소서 교도관 얼굴에 침 '퉤퉤'…결국 징역 1년 더 살게 된 30대 랭크뉴스 2025.04.17
44866 "3년 뒤면 327억이 사라진다"…더 내고 못 돌려받은 건보료 환급금 '증발 위기' 랭크뉴스 2025.04.17
44865 쫄았지? 쫄았잖아? [그림판] 랭크뉴스 2025.04.17
44864 '연금 개악' 복지부 질타한 김재섭... "정부가 기금운용 수익률 통계 조작" 랭크뉴스 2025.04.17
44863 [이슈플러스] 투기 수요·풍선 효과 원천 차단… 토허구역 혼란 수습 올인 랭크뉴스 2025.04.17
44862 "처남 몫, 행정관 뽑혀"…건진법사 폰 속, 인사개입 정황 포착 랭크뉴스 2025.04.17
44861 한국, ‘종주국’ 미국에 연구용 원자로 설계 첫 수출...66년 만에 새 역사 썼다 랭크뉴스 2025.04.17
44860 현대차 '호프 온 휠스' 북미 전역 확대…지역상생 실천 랭크뉴스 2025.04.17
44859 고부가 늘리거나 현지서 만들거나…타이어 빅3 ‘관세 전략’ 랭크뉴스 2025.04.17
44858 연구용 원자로 설계 기술 첫 미국 수출... 민감국가 지정 우려 해소 기대 랭크뉴스 2025.04.17
44857 의대 증원 원점으로…내년도 정원 3058명, 정부 오늘 발표 랭크뉴스 2025.04.17
44856 미국과 관세협상 ‘3가지 조건’ 마련한 중국 랭크뉴스 2025.04.17
44855 "비행기서 만취승객 막았다"…나영석 PD, 훈훈한 미담 화제 랭크뉴스 2025.04.17
44854 이스라엘 "일시·영구적 상황따라 가자지구에 군 주둔" 랭크뉴스 2025.04.17
44853 韓, 위험 1~2등급 中·北과 달리 최하위… 영향 미미할 듯 랭크뉴스 2025.04.17
44852 트럼프 “미·일 관세 협상 자리에 직접 갈 것” 랭크뉴스 2025.04.17
44851 경찰, 일가족 5명 살해 50대 구속영장 신청 랭크뉴스 2025.04.17
44850 인도·파키스탄 벌써 49도…2050년 ‘생존 불가능 온도’ 될 수도 랭크뉴스 2025.04.17
44849 타임지 ‘올해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에 이재명·로제 선정 랭크뉴스 2025.04.17
44848 최상목 ‘마은혁 미임명’ 한덕수 탓…“전임자 존중”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