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15일 경선 후보 등록을 마무리하면서, 6·3 대통령 선거를 향한 49일간의 레이스가 시작됐다.

더불어민주당의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 경선에 이재명 전 대표(왼쪽부터), 김동연 경기지사,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후보 등록을 마쳤다. 경선은 27일까지 네 차례에 걸쳐 권역별 순회 경선 방식으로 이뤄진다. 연합뉴스
민주당은 김경수·김동연·이재명 후보 간의 3파전으로 진행돼 네 차례의 권역별 순회경선을 거쳐 27일 본선 후보가 확정된다. 김대중 전 대통령이 당선된 1997년 대선 경선 이후 가장 적은 수의 후보가 등록했다. 그 정도로 ‘이재명 대세론’이 형성됐다는 반증이다. 이에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느냐가 관심이다.

국민의힘은 강성현·김문수·김민숙·나경원·안철수·양향자·유정복·이철우·정일권·한동훈·홍준표 등 11명의 후보가 출마했다. 1·2차 컷오프를 통해 후보를 4명(22일)→2명(29일)으로 압축한 뒤 5월 3일 최종 후보를 선출한다. 단계별 컷오프를 거치며 컨벤션 효과를 최대치로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이다. 다만 오세훈 서울시장과 유승민 전 의원 등의 출마 포기가 아쉬운 점으로 꼽힌다.
신재민 기자


①반명(反明) 빅텐트= 구(舊) 여권의 핵심 전략은 민주당 이재명 후보에 대한 반감을 끌어내 반명 연대를 최대한 넓게 구축하는 것이다. 국민의힘 후보가 확정된 이후 초(超)당적 연합군을 구성해 이 후보를 꺾겠다는 계산이다.

구체적인 연대 대상도 거론된다. 국민의힘 홍준표 후보는 15일 SBS 라디오에 출연해 “당의 후보가 탄생하면 그 사람 중심으로 개혁신당뿐 아니라 더불어민주당의 반이재명 세력도 같이해야 (이 후보를)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다른 후보들도 “이재명을 이기기 위해서는 어떤 경우든 힘을 합쳐야 한다”(김문수) “변해가는 정치 상황에 따라 늘 상상하고 준비해야 한다”(나경원), “원칙적으로 보수 진영의 많은 분과 연대해야 한다”(한동훈)며 연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한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오른쪽)과 이철우 경북지사가 15일 서울 박정희기념관에서 진행된 회동에 손을 잡고 들어서고 있다.연합뉴스
민주당을 탈당한 이낙연 새미래민주당 상임고문과 연대하자는 주장도 나온다. 이 경우 2002년 노무현 대통령이 보수 성향 정몽준 국민통합21 후보와 단일화했던 게 벤치마킹 모델이 된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이재명 정권이 출범하면 국회도 170석 여대야소(與大野小)가 돼 행정·입법 권력을 한손에 쥐게 된다”며 “이를 반대하는 책임 있는 정치인라면 생각이 달라도 얼마든지 모일 수 있지 않겠냐”고 말했다.

②‘어대명’과 내란 종식 = 민주당 경선은 이제 막 시작했지만, 안팎에선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분위기의 지속 여부가 관건이라는 평가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15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초동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대장동 배임 및 성남FC뇌물 1심 속행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뉴스1
지난 3년간 민주당 대표를 지낸 이 후보는 대통령 당선 시 5년 이내에 인공지능(AI) 분야에 100조원을 투자하겠다고 공언하는 등 ‘경제 성장’에 방점을 찍고 있다. “나라를 이끌 실력과 준비가 충분하다는 걸 보이려 한다”(캠프 관계자)는 설명이다.

다만 민주당은 국민의힘을 ‘내란 세력’으로 규정하는 선거 전략을 이어갈 방침이다. 역(逆) 결집을 막기 위한 전략이다. 박찬대 민주당 대표 직무대행은 15일 원내대책회의에서 “내란 종식과 대한민국 정상화를 위한 대통령 선거가 49일 앞으로 성큼 다가왔다”며 “6·3 대선은 헌정질서 수호 세력과 헌정질서 파괴 집단의 대결”이라고 말했다.

이런 인식은 다른 민주당 후보도 비슷하다. 김동연 후보는 “계엄·내란은 국민의힘이 후보를 내지 않아야 할 정도 사안”이라고 했고, 김경수 후보도 “압도적인 정권 교체가 중요하다. 내란은 지금도 지속되고 있다”고 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907 음주운전·불법숙박업 혐의 문다혜씨 오늘 1심 선고 랭크뉴스 2025.04.17
44906 “한화, 삼성 다 막혔는데 여긴 왜?” 이재명 테마株 속전속결 유증심사 통과 논란 랭크뉴스 2025.04.17
44905 파월 "관세로 물가 오르고 성장 둔화…정책목표 달성 힘들 수도" 랭크뉴스 2025.04.17
44904 대전협 박단 “결국 정부가 해결해야···필수의료 동료들 돌아갈 환경 조성이 중요” 랭크뉴스 2025.04.17
44903 불출마 뒤 몸값 뛰는 오세훈… 국힘 경선 주자들 문전성시 랭크뉴스 2025.04.17
44902 국가성평등지수 65.4점…양성평등의식 약화에 첫 '후퇴' 랭크뉴스 2025.04.17
44901 윤석열 11%? 40%? 여론조사 어디까지 믿어야 할까···제대로 보는 법 총정리 랭크뉴스 2025.04.17
44900 "반수 제한" 초강수 전국 로스쿨…'두자릿수 성장' 사교육은 급팽창 랭크뉴스 2025.04.17
44899 [단독] 인구 비슷한 TK와 호남, 경선 반영은 3배 차이... 국민의힘 여론조사 왜곡? 랭크뉴스 2025.04.17
44898 처자식 죽이고도 집유? 살인피해자의 31%인데 가중처벌 없다 랭크뉴스 2025.04.17
44897 홈플러스·발란·JDX 다음은 누구…기업들 돈줄이 말라붙었다 [돈줄 가뭄] 랭크뉴스 2025.04.17
44896 [이슈 In] '11年 담배소송' 항소심 내달 마지막 변론…누구 손 들어줄까 랭크뉴스 2025.04.17
44895 수업 도중 “싱싱할 때 애 낳아라”…서울시교육청, 성희롱 교사 징계 요구 랭크뉴스 2025.04.17
44894 [오늘의 운세] 4월 17일 목요일 랭크뉴스 2025.04.17
44893 이준석 "계엄 옹호세력과 빅텐트? 이재명 막는데 비효율" [대선주자 릴레이 인터뷰②] 랭크뉴스 2025.04.17
44892 '돈세탁 실형' 페루 前대통령 부인 망명…도피 논란 랭크뉴스 2025.04.17
44891 트럼프, 일본과 관세·방위비 패키지딜 시사…내주 한국에도 꺼내나 랭크뉴스 2025.04.17
44890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 오늘 발표…증원 前 '3천58명' 유력 랭크뉴스 2025.04.17
44889 [사설] 헌법재판관 지명 효력 정지… 한 대행, 국정 안정에 힘쓰길 랭크뉴스 2025.04.17
44888 커져가는 싱크홀 불안에 …서울시, 지하 조사 장비 추가로 들인다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