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15일 경선 후보 등록을 마무리하면서, 6·3 대통령 선거를 향한 49일간의 레이스가 시작됐다.

더불어민주당의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 경선에 이재명 전 대표(왼쪽부터), 김동연 경기지사,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후보 등록을 마쳤다. 경선은 27일까지 네 차례에 걸쳐 권역별 순회 경선 방식으로 이뤄진다. 연합뉴스
민주당은 김경수·김동연·이재명 후보 간의 3파전으로 진행돼 네 차례의 권역별 순회경선을 거쳐 27일 본선 후보가 확정된다. 김대중 전 대통령이 당선된 1997년 대선 경선 이후 가장 적은 수의 후보가 등록했다. 그 정도로 ‘이재명 대세론’이 형성됐다는 반증이다. 이에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느냐가 관심이다.

국민의힘은 강성현·김문수·김민숙·나경원·안철수·양향자·유정복·이철우·정일권·한동훈·홍준표 등 11명의 후보가 출마했다. 1·2차 컷오프를 통해 후보를 4명(22일)→2명(29일)으로 압축한 뒤 5월 3일 최종 후보를 선출한다. 단계별 컷오프를 거치며 컨벤션 효과를 최대치로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이다. 다만 오세훈 서울시장과 유승민 전 의원 등의 출마 포기가 아쉬운 점으로 꼽힌다.
신재민 기자


①반명(反明) 빅텐트= 구(舊) 여권의 핵심 전략은 민주당 이재명 후보에 대한 반감을 끌어내 반명 연대를 최대한 넓게 구축하는 것이다. 국민의힘 후보가 확정된 이후 초(超)당적 연합군을 구성해 이 후보를 꺾겠다는 계산이다.

구체적인 연대 대상도 거론된다. 국민의힘 홍준표 후보는 15일 SBS 라디오에 출연해 “당의 후보가 탄생하면 그 사람 중심으로 개혁신당뿐 아니라 더불어민주당의 반이재명 세력도 같이해야 (이 후보를)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다른 후보들도 “이재명을 이기기 위해서는 어떤 경우든 힘을 합쳐야 한다”(김문수) “변해가는 정치 상황에 따라 늘 상상하고 준비해야 한다”(나경원), “원칙적으로 보수 진영의 많은 분과 연대해야 한다”(한동훈)며 연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한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오른쪽)과 이철우 경북지사가 15일 서울 박정희기념관에서 진행된 회동에 손을 잡고 들어서고 있다.연합뉴스
민주당을 탈당한 이낙연 새미래민주당 상임고문과 연대하자는 주장도 나온다. 이 경우 2002년 노무현 대통령이 보수 성향 정몽준 국민통합21 후보와 단일화했던 게 벤치마킹 모델이 된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이재명 정권이 출범하면 국회도 170석 여대야소(與大野小)가 돼 행정·입법 권력을 한손에 쥐게 된다”며 “이를 반대하는 책임 있는 정치인라면 생각이 달라도 얼마든지 모일 수 있지 않겠냐”고 말했다.

②‘어대명’과 내란 종식 = 민주당 경선은 이제 막 시작했지만, 안팎에선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분위기의 지속 여부가 관건이라는 평가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15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초동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대장동 배임 및 성남FC뇌물 1심 속행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뉴스1
지난 3년간 민주당 대표를 지낸 이 후보는 대통령 당선 시 5년 이내에 인공지능(AI) 분야에 100조원을 투자하겠다고 공언하는 등 ‘경제 성장’에 방점을 찍고 있다. “나라를 이끌 실력과 준비가 충분하다는 걸 보이려 한다”(캠프 관계자)는 설명이다.

다만 민주당은 국민의힘을 ‘내란 세력’으로 규정하는 선거 전략을 이어갈 방침이다. 역(逆) 결집을 막기 위한 전략이다. 박찬대 민주당 대표 직무대행은 15일 원내대책회의에서 “내란 종식과 대한민국 정상화를 위한 대통령 선거가 49일 앞으로 성큼 다가왔다”며 “6·3 대선은 헌정질서 수호 세력과 헌정질서 파괴 집단의 대결”이라고 말했다.

이런 인식은 다른 민주당 후보도 비슷하다. 김동연 후보는 “계엄·내란은 국민의힘이 후보를 내지 않아야 할 정도 사안”이라고 했고, 김경수 후보도 “압도적인 정권 교체가 중요하다. 내란은 지금도 지속되고 있다”고 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001 금통위 "韓 올 성장률 1.5% 하회할 것" 랭크뉴스 2025.04.17
45000 유영재 "한순간 잘못된 판단"…선우은숙 친언니 강제추행 인정 랭크뉴스 2025.04.17
44999 [샷!] "지브리 프사, 예술에 대한 모욕처럼 느껴져" 랭크뉴스 2025.04.17
44998 "당직 중 술 마신 적 없는데"…경찰서장을 명예훼손 고소한 경감 랭크뉴스 2025.04.17
44997 광주의 우려 "이재명 밀어야제…근디 무조건 파랑은 아니랑께" [진보심장 르포] 랭크뉴스 2025.04.17
44996 미국 자동차 가격 5월이 마지노선?…"포드, 올여름 인상" 랭크뉴스 2025.04.17
44995 한은 총재도 최상목 미 국채 2억 두고 “부적절…의심 살 만하다” 랭크뉴스 2025.04.17
44994 日 "미일, 관세 조기합의에 의견일치…美, 90일내 마무리 원해"(종합) 랭크뉴스 2025.04.17
44993 [금융뒷담] ‘키움 먹통’ 늦어지는 보상에 뿔난 개미들 랭크뉴스 2025.04.17
44992 경북산불 산림피해 9만ha, 산림청 발표 '2배'…"기본부터 엉터리"(종합) 랭크뉴스 2025.04.17
44991 “경제 성장 둔화·인플레 우려” 파월 의장 경고 랭크뉴스 2025.04.17
44990 [속보] 한은, 기준금리 2.75% 동결… 대내외 불확실성에 ‘속도조절’ 랭크뉴스 2025.04.17
44989 출근길 노들로서 전복된 SUV… 30대 운전자 음주 입건 랭크뉴스 2025.04.17
44988 이재명 "충청을 행정·과학수도로…임기내 세종 대통령집무실 건립" 랭크뉴스 2025.04.17
44987 경북 산불 산림피해 9만여ha…산림청 발표의 '2배' 랭크뉴스 2025.04.17
44986 “너무 가려워요” 대학 기숙사에서 ‘옴’ 발생해 학생 귀가 랭크뉴스 2025.04.17
44985 [속보] 한은, 기준금리 2.75%로 동결 랭크뉴스 2025.04.17
44984 [단독] 박성재 격노 뒤 출입국본부장 돌연 사직…‘윤 출국금지 공개’ 탓? 랭크뉴스 2025.04.17
44983 [속보] 한은 기준금리 동결…연 2.75% 유지 랭크뉴스 2025.04.17
44982 이재명 “임기 내 세종 대통령 집무실·국회의사당 건립”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