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재명 전 대표, 유시민·김용옥과 대담
정치 보복 두고 "보복은 피곤, 내란은 처벌해야"
검찰개혁 "공소청과 수사청으로 분리, 상호 견제"
한중 관계 "중국 경제 제재에도 책임 있어"
더불어민주당 대권주자인 이재명 전 대표가 알릴레오 특집대담 '위기의 대한민국, 새 정부의 과제는?'에 출연해 도올 김용옥, 유시민 작가와 대담하는 영상이 15일 공개됐다.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제공. 뉴스1


6·3 대선 출마를 선언한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15일 “저는 인생사에서 누가 저를 괴롭혔다고 보복한 적이 한번도 없다”고 밝혔다. 보수진영이 제기하는 ‘정치 보복’ 우려를 일축한 것이다. 한중 갈등을 두고는 “중국의 책임도 있다”고 했다. 검찰 개혁에 대해서는 수사와 기소를 분리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주자인 이재명(왼쪽) 전 대표가 유시민 작가, 도올 김용옥 선생과 새 정부의 과제 등을 주제로 대담한 영상이 15일 '사람사는 세상 노무현 재단'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개됐다.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제공. 연합뉴스


"부처님 눈에는 부처님만 보여"



이 전 대표는 이날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유시민 작가, 도올 김용옥 한신대 석좌교수와 함께 대담을 진행했다. 이 전 대표는 ‘국민의힘이 왜 이 전 대표를 무서워한다고 생각하나’라는 질문에 “본인들은 ‘첫째, 엄청나게 이재명을 괴롭혔다. 둘째, 이렇게 되면 반드시 보복한다’인 것 같다”며 “부처님 눈에는 부처님만 보이는 것”이라고 했다.

이 전 대표는 “설득은 포기했고 보여줘야 된다. 보여주려면 대통령이 돼야 한다”며 “보복은 피곤하고 괴롭다. 거기에 에너지를 쓰는 게 아깝고, 짧은 (대통령 임기) 5년 귀한 시간에 보복을 쫓아다니는 건 낭비”라고 했다. “저는 제가 무언가를 해서 사람들이 행복해하는 것을 보면 행복하다”라며 보복보다는 정책 성과에 집중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다만 ‘내란 사태’를 두고는 처벌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그는 “통합과 봉합은 다르다. 진상을 가리고 책임 질 부분은 책임지게 해야 한다”며 “(쿠데타에) '성공하면 좋고 못 해도 살아난다’라고 하면 쿠데타가 6개월에 한 번씩 일어난다”고 했다. “국가를 위기에 빠트리는 일은 다시 벌어지지 않게 완벽한 대응책을 강구해야 한다”고도 했다.

검찰개혁과 관련해서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를 대폭 강화하고 국가수사본부도 독립성과 역량을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검찰에 대해서는 “공소청과 수사청으로 분리해 수사기관끼리 상호 견제하고 서로 수사하게 해야 한다”고 했다. 검찰에 집중된 권력을 분산시키겠다는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주자인 이재명(왼쪽) 전 대표가 유시민 작가, 도올 김용옥 선생과 새 정부의 과제 등을 주제로 대담한 영상이 15일 '사람사는 세상 노무현 재단'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개됐다. 사람사는 세상 노무현 재단 제공. 연합뉴스


"한중 문제, 중국 책임도"



외교에 대한 생각도 밝혔다. 한중 관계를 두고 “적대적이 된 계기 중 하나가 중국의 안 보이는 경제제재”라며 “한중 관계 문제는 중국 책임도 있다”고 했다. 한미 관계에 대해서는 “한미협력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남북관계를 두고는 “미국은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러시아와 손잡기로 한 것 같고, 북미 관계를 개선하려 할 것”이라며 “우리에게는 남북관계를 개선할 기회”라고 평가했다.

이 전 대표는 “’경제는 보수가 잘한다’는 것은 가짜 전설”이라고도 했다. 그는 “내란 사태 이후 소비가 엄청 줄어서 정부가 역할을 해야 한다”라며 “정부가 손을 떼니까 지출이 줄고 성장률이 떨어지는데, 이걸 교정만 해줘도 상당부분 개선될 것”이라고 했다. 정부 지출을 늘리는 ‘큰정부’ 구상으로 보인다.

내란 사태를 두고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제 생각 이상의 과격한 반응을 보였지만 우리 국민은 신속하고 품격 있게 대응해 결국 이겨냈다”고 평가했다. 다만 “여전히 내란 사태는 진행 중”이라며 개혁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 전 대표는 또 넷플릭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를 보고 “엄청 울었다”라며 “이것이 우리 문화의 힘”이라고 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902 국가성평등지수 65.4점…양성평등의식 약화에 첫 '후퇴' 랭크뉴스 2025.04.17
44901 윤석열 11%? 40%? 여론조사 어디까지 믿어야 할까···제대로 보는 법 총정리 랭크뉴스 2025.04.17
44900 "반수 제한" 초강수 전국 로스쿨…'두자릿수 성장' 사교육은 급팽창 랭크뉴스 2025.04.17
44899 [단독] 인구 비슷한 TK와 호남, 경선 반영은 3배 차이... 국민의힘 여론조사 왜곡? 랭크뉴스 2025.04.17
44898 처자식 죽이고도 집유? 살인피해자의 31%인데 가중처벌 없다 랭크뉴스 2025.04.17
44897 홈플러스·발란·JDX 다음은 누구…기업들 돈줄이 말라붙었다 [돈줄 가뭄] 랭크뉴스 2025.04.17
44896 [이슈 In] '11年 담배소송' 항소심 내달 마지막 변론…누구 손 들어줄까 랭크뉴스 2025.04.17
44895 수업 도중 “싱싱할 때 애 낳아라”…서울시교육청, 성희롱 교사 징계 요구 랭크뉴스 2025.04.17
44894 [오늘의 운세] 4월 17일 목요일 랭크뉴스 2025.04.17
44893 이준석 "계엄 옹호세력과 빅텐트? 이재명 막는데 비효율" [대선주자 릴레이 인터뷰②] 랭크뉴스 2025.04.17
44892 '돈세탁 실형' 페루 前대통령 부인 망명…도피 논란 랭크뉴스 2025.04.17
44891 트럼프, 일본과 관세·방위비 패키지딜 시사…내주 한국에도 꺼내나 랭크뉴스 2025.04.17
44890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 오늘 발표…증원 前 '3천58명' 유력 랭크뉴스 2025.04.17
44889 [사설] 헌법재판관 지명 효력 정지… 한 대행, 국정 안정에 힘쓰길 랭크뉴스 2025.04.17
44888 커져가는 싱크홀 불안에 …서울시, 지하 조사 장비 추가로 들인다 랭크뉴스 2025.04.17
44887 일격 맞은 '한덕수 차출론'... 단일화 외쳤던 김문수 '머쓱' 랭크뉴스 2025.04.17
44886 광주의 우려 “이재명 밀어야제…근디 무조건 파랑은 아니랑께”[진보심장 르포] 랭크뉴스 2025.04.17
44885 美관세대응 보폭 늘리는 현대차…무뇨스 "중장기 사업전략 재검토" 랭크뉴스 2025.04.17
44884 파월 "관세로 물가↑·성장↓…연준 양대 목표 달성 힘들 수도"(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17
44883 지갑 닫은 소비자… 콧대 꺾인 다이슨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