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글로벌 Z세대가 술과 약물 소비를 줄이고, 대체 식품으로 기능성 버섯을 즐기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현지 시각) 뉴스위크, 인디100 등 외신은 “Z세대가 술과 약물을 중단하고 웰빙에 집중하고 있다”면서 “기능성 버섯이 새로운 대체 식품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의 대표 음악 축제인 코첼라에서도 맥주 캔 대신 버섯 음료가 등장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이 같은 흐름은 ‘소버 라이프(Sober Life)’ 문화 확산과 맞물려 있다. 건강한 생활을 추구하는 분위기가 퍼지면서 술과 약물을 멀리하는 Z세대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미시간대 연구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서 약물 사용을 중단한 학생 비율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알코올, 마리화나, 니코틴 사용 감소가 두드러졌다.
글로벌 주류시장 조사기관 IWSR(International Wine & Spirit Record)가 지난해 7월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미국 Z세대 성인의 64%가 5월 기준 직전 6개월 동안 술을 마시지 않았다고 답했다.
이 같은 변화는 웰빙 대체 식품, 특히 영지버섯·차가버섯·동충하초 등 기능성 버섯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뉴호프 네트워크의 ‘영양 사업 저널’에 따르면, 지난해 4월 8,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37%가 버섯이 첨가된 음식과 음료를 섭취했고, 27%는 버섯 보충제를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Z세대는 다른 세대보다 기능성 버섯 섭취 비율이 10% 이상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틱톡 내 '버섯커피' 게시글 갈무리
이들은 버섯 차와 커피, 젤리 형태의 제품뿐 아니라 캡슐과 분말 형태의 혼합물을 다양한 음료에 타서 섭취하기도 한다. 특히 버섯 가루와 커피를 섞어 마시는 ‘버섯 커피’는 틱톡 등 소셜미디어(SNS)에서 인기를 끌며 빠르게 확산 중이다.
이 같은 수요 확산에 시장도 함께 성장하고 있다. 자이언 마켓 리서치는 기능성 버섯 시장 규모가 2022년 153억 달러에서 2030년에는 233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성인음료대안연합(CABA) 다이애나 에버리인 의장은 뉴스위크에 “이제 소비자들은 자신의 몸에 들어가는 것을 그 어느 때보다 신중하게 선택한다”며 “건강 및 웰빙 트렌드는 단기 유행이 아니라 장기 흐름”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Z세대에게 기능성 음료는 더 이상 트렌드가 아닌 표준”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