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나경원 “젊은 사람들한테 이재명 드럼통으로 불려” 주장
와이티엔(YTN) ‘뉴스퀘어 10AM’ 갈무리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이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겨냥해 “드럼통에 들어갈지언정 굴복하지 않는다”고 밝힌 데 대해 거센 비판이 나오고 있다. 극히 일부만 악의적으로 사용하는 ‘극우의 언어’를 공론장에 퍼뜨리며 ‘공포 정치’를 한다는 것이다.

박경미 민주당 대변인은 15일 “나경원 의원의 ‘드럼통’에서 연상되는 건 ‘영현백’이다”라는 제목의 논평에서 “(나 의원의) 민주당에 대한 악마화가 인내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영현백은 전사자나 순직자 유해를 수습해 운반하는 특수가방이다.

그는 “나 의원은 ‘드럼통에 사람 하나 묻어버린다고 진실까지 묻힐 거라 생각하지 말라’고 주장했다”며 “야당 인사들을 수거해 영현백에 담아 처리하려던 것은 내란 수괴 윤석열”이라고 비판했다.

박 대변인은 “더욱이 나경원 의원(실 관계자)은 기자단 단톡방에 공공임대 주택을 드럼통처럼 묘사한 그림을 올리며 이재명 후보를 조롱하고 공공임대 주택 거주자를 비하했다”며 “드럼통 공포 정치로 협박하지 말라”고 덧붙였다.

나 의원은 이날 인스타그램에 “드럼통에 들어갈지언정 굴복하지 않는다”고 적힌 팻말을 들고 드럼통에 들어간 자신의 모습이 담긴 사진을 올렸다. 그는 “영화를 영화로만 볼 수 없는 현실, ‘드럼통 정치’에 많은 국민이 공포에 떨고 있다”며 “진실을 향한 목소리를 내기 위해서는 목숨을 걸어야 하는 비정상적인 사회를 바로잡겠다. 드럼통에 사람 하나 묻어버린다고 진실까지 묻힐 거라 생각하지 마시라”고 썼다. 나 의원 쪽 관계자는 이날 기자단 단톡방에 국민행복주택을 드럼통으로 묘사한 그림을 올리기도 했다.

이후 나 의원은 이날 와이티엔(YTN) ‘뉴스퀘어 10AM’에 출연해 “젊은 사람들한테는 이재명 전 대표가 드럼통으로 불린다”며 “드럼통이 공포를 얘기하는 거고요. 이 전 대표와 관련된 사건에서 많은 분들이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을 보통 그렇게 비교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래서 공포 정치를 말하는데, 저는 사실, 그런 얘기가 있지 않냐. ‘드럼통에 파묻혀도 진실은 파묻히지 않는다’는 얘기가 있다. 사실은 그러한, 어떠한, 뭐 상상에 맡기겠다”라고 덧붙였다.

일간베스트 갈무리
나 의원이 언급한 ‘드럼통’은 극우 커뮤니티 일간베스트(일베) 등에서 이재명 전 대표를 악의적으로 비하할 때 쓰는 표현이다. 드럼통은 2013년 개봉한 영화 ‘신세계’ 등에서 조직폭력배들이 시신을 유기할 때 등장하는데, 이 내용을 차용한 것으로 보인다. 나 의원 쪽에서 단톡방에 올린 국민임대주택 비하 그림 역시 일베에서 발견할 수 있다.

대선 출마 선언을 한 나 의원이 ‘극우의 언어’를 퍼뜨리는 데 대한 비판도 나온다. 성경환 전 케이티브이(KTV) 원장은 이날 페이스북에 “나 의원이 드럼통 안에 들어가 있는 사진을 올렸다. 무슨 뜻인지 이해하겠냐? 자신과 측근들만 이해할 수 있는 메시지 아닐까?”라고 썼다. 그는 “(나 의원이) 조폭영화를 즐기나 보다”라며 “대중 정치인은 대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소통해야지”라고 덧붙였다.

나경원 의원 인스타그램 갈무리. 나경원 의원실 제공
최근 나 의원은 극우 발언을 이어가고 있다. 나 의원은 이날 배승희 변호사가 진행하는 유튜브 방송에 나와 “(우리 당 후보가) 대통령이 되면 거대야당이 또 탄핵을 하지 않겠나. 조기 퇴진을 이야기하고 북한 지령문이 또 나올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나 의원은 또 “서울대에는 시진핑 자료실이 있고 연세대는 차하얼 학회가 있다”며 “중국이 자본으로 많은 공자학원을 만들고 오피니언 리더의 여론을 바꾸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나 의원은 이날 오후 서울 관악구 서울대 캠퍼스를 찾아 ‘시진핑 자료실 폐쇄’ 촉구 기자회견에 참여하기도 했다.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이 15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 앞에서 ‘시진핑 자료실 폐쇄’ 촉구 기자회견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편, 나 의원은 이날 대선 캠프 인선을 발표했는데, 수석 대변인으로 김민전 국민의힘 의원을 임명했다. 김 의원은 지난 1월 독재정권의 국가 폭력을 상징하는 ‘백골단’을 자처한 극우 청년조직에 국회 기자회견을 주선해 논란이 된 바 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866 "3년 뒤면 327억이 사라진다"…더 내고 못 돌려받은 건보료 환급금 '증발 위기' 랭크뉴스 2025.04.17
44865 쫄았지? 쫄았잖아? [그림판] 랭크뉴스 2025.04.17
44864 '연금 개악' 복지부 질타한 김재섭... "정부가 기금운용 수익률 통계 조작" 랭크뉴스 2025.04.17
44863 [이슈플러스] 투기 수요·풍선 효과 원천 차단… 토허구역 혼란 수습 올인 랭크뉴스 2025.04.17
44862 "처남 몫, 행정관 뽑혀"…건진법사 폰 속, 인사개입 정황 포착 랭크뉴스 2025.04.17
44861 한국, ‘종주국’ 미국에 연구용 원자로 설계 첫 수출...66년 만에 새 역사 썼다 랭크뉴스 2025.04.17
44860 현대차 '호프 온 휠스' 북미 전역 확대…지역상생 실천 랭크뉴스 2025.04.17
44859 고부가 늘리거나 현지서 만들거나…타이어 빅3 ‘관세 전략’ 랭크뉴스 2025.04.17
44858 연구용 원자로 설계 기술 첫 미국 수출... 민감국가 지정 우려 해소 기대 랭크뉴스 2025.04.17
44857 의대 증원 원점으로…내년도 정원 3058명, 정부 오늘 발표 랭크뉴스 2025.04.17
44856 미국과 관세협상 ‘3가지 조건’ 마련한 중국 랭크뉴스 2025.04.17
44855 "비행기서 만취승객 막았다"…나영석 PD, 훈훈한 미담 화제 랭크뉴스 2025.04.17
44854 이스라엘 "일시·영구적 상황따라 가자지구에 군 주둔" 랭크뉴스 2025.04.17
44853 韓, 위험 1~2등급 中·北과 달리 최하위… 영향 미미할 듯 랭크뉴스 2025.04.17
44852 트럼프 “미·일 관세 협상 자리에 직접 갈 것” 랭크뉴스 2025.04.17
44851 경찰, 일가족 5명 살해 50대 구속영장 신청 랭크뉴스 2025.04.17
44850 인도·파키스탄 벌써 49도…2050년 ‘생존 불가능 온도’ 될 수도 랭크뉴스 2025.04.17
44849 타임지 ‘올해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에 이재명·로제 선정 랭크뉴스 2025.04.17
44848 최상목 ‘마은혁 미임명’ 한덕수 탓…“전임자 존중” 랭크뉴스 2025.04.17
44847 '광명 붕괴' 실종자 숨진채 발견…찌그러진 컨테이너에 매몰됐다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