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남동 관저 인근 주민·상인에게 불편 준 시위대, 서초동으로 이동

윤석열 전 대통령 첫 공판이 진행된 지난 14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 앞에서 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이 'YOON AGAIN'이라고 적힌 손팻말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완전히 죽을 맛이죠 뭐. 윤석열 전 대통령이 서초동으로 돌아오고 나서 매일 시위가 벌어져 매출이 60% 줄었어요. 시위가 있는 날엔 바깥에 돌아다니는 사람 자체가 확 줄어요. 시위를 너무 시끄럽게 해서 주변 가게들이 모여서 대책을 찾아보려 했었는데, 뾰족한 방법도 없더라고요.”

윤 전 대통령이 ‘내란 우두머리’ 혐의에 대한 첫 재판을 받기 위해 서울중앙지법에 출석한 지난 14일 오후 1시쯤 법원 청사 앞 건물에서 냉면집을 운영하는 A씨가 한 말이다. 점심시간이었지만 이 식당 테이블 10개 중 7개 정도는 손님이 없었다. 매장 문이 닫혀 있었지만 바깥에서 윤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시위대가 외치는 구호는 따라서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잘 들렸다. 시위대가 부는 나팔 소리도 매장 안에서 울렸다.

윤 전 대통령이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를 떠나 지난 11일 서초구 서초동 아크로비스타 자택으로 돌아오자, 윤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시위대도 따라서 이동했다. 이들은 ‘윤 어게인(Yoon Again)’ 등이 적힌 팻말을 들고 활동하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구호인 ‘MAGA(Make America Great Again)’를 바꾼 ‘MKGA(Make Korea Great Again)’가 적힌 빨간 모자를 쓰기도 한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첫 공판이 진행된 지난 14일 서울중앙지법 서문 앞 '윤 어게인' 집회 현장. /김관래 기자

앞서 경찰은 서울중앙지법 100m 이내에서 집회를 열지 못하도록 제한 통고를 했다. 이 범위에 들어가는 윤 전 대통령의 자택인 아크로비스타 아파트도 집회를 열 수 없지만, 지지자들은 1인 시위를 한다며 나타나 몰려다니며 구호를 외치는 등 사실상의 집회를 열고 있다. 이런 방식으로 14일 오전 서울중앙지법 동문과 정문, 아크로비스타, 지하철 교대역 인근에서 약 100명이 시위를 벌였다. 경찰은 “이곳은 집회 금지 장소”라고 경고하지만, 이들을 통제하는 데 애를 먹었다.

이 때문에 서초동 상인들은 영업 피해를 호소한다. 서울중앙지법 인근에서 고깃집을 운영하는 70대 박모씨는 “보통 평일 점심에 100만원은 팔리는데 시위가 있는 날이면 매출액이 60만~70만원밖에 되지 않는다”며 “오늘도 예약이 3건 취소됐다. 사람 수로는 28명”이라고 말했다.

중식당을 운영하는 B씨는 “여기는 원래 점심시간이나 퇴근시간대에는 손님들이 바글바글한 곳”이라면서 “직장인들이 시위대를 피해 오지 않는 것 같다”고 했다. 이곳은 오후 1시쯤 좌석이 반 넘게 비어 있었다.

12일 오전 윤 전 대통령의 사저 서울 서초구 서초동 아크로비스타 앞에 지지자들이 모여 있는 모습. /뉴스1

윤 전 대통령은 전날 오후 6시20분 공판이 끝나자 차량을 타고 자택으로 돌아갔다. 곧이어 시위대도 해산했다. 그러나 상인들은 저녁 장사도 피해를 봤다고 말했다. 한정식집을 운영하는 C씨는 “저녁 매출이 60% 줄었다. 교대역 쪽에서 시위하니까 아예 이 가게는 예약 잡지 말자는 말이 나온 것 같다”고 했다. 국수집을 운영하는 최모(56)씨는 “오늘은 평소보다 매출이 40만~50만원 줄었다. 집회 때문인 것 같다”고 말했다.

많은 보수 성향 유튜버들은 윤 전 대통령 지지 시위대 사이에 섞여서 활동하고 있다. 아크로비스타 인근에서 편의점을 운영하는 30대 D씨는 “셀카봉에 휴대전화를 끼우고 생중계를 하고 있는 유튜버들이 매장에 들어와서는 다른 손님 얼굴을 그대로 내보낸다”면서 고객들이 불쾌해한다고 전했다.

소음 공해가 심각하다고 말하는 상인도 있다. 서울중앙지법 서문에서 60m쯤 떨어진 곳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유모(50)씨는 “손님들이 집회 소음 때문에 귀가 아프다고 말한다”고 했다. 시위대 옆을 지나친 직장인 김모(43)씨는 “너무 시끄러워서 한숨만 나온다”고 했다. 이때 경찰이 소음측정기에서는 소음도가 경찰이 통제하는 한도(80 ㏈)를 훌쩍 넘은 97.3 ㏈이었다. 90㏈는 시끄러운 공장 안 수준이다.


윤 전 대통령이 거주하는 아크로비스타 아파트 주민들이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대학생 오모(24)씨는 “교대역에서도 시위가 있고 고속터미널 방향에서도 시위가 있다. 양쪽에서 시위 소음이 다 들려 정신이 하나도 없다”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50대 주민은 “주말이 더 시끄럽다. 집에서 휴식을 취할 수 없어 밖에 나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이 자택으로 돌아오기 전 관저 인근 한남동 일대에서도 상인과 주민들이 시위대 때문에 불편을 겪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523 최대 수요처 中 주문 ‘뚝’… 美 보잉, 무역 전쟁 직격탄 랭크뉴스 2025.04.16
44522 속 타는 MG손해보험 가입자... 국민청원에 집회까지 랭크뉴스 2025.04.16
44521 [속보]경찰, 대통령실·한남동 공관촌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4.16
44520 “건보료 더 냈다고?” 주인 못찾은 환급금 무려 327억 랭크뉴스 2025.04.16
44519 “5시간 체류·장관이 직접 운전”…비밀리에 성사된 시리아 수교 전말 랭크뉴스 2025.04.16
44518 [속보] 경찰, 대통령실·공관촌 압수수색‥비화폰 서버·집무실 CCTV 확보 시도 랭크뉴스 2025.04.16
44517 [속보] 경찰, 대통령실·한남동 공관촌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4.16
44516 [속보] 경찰 “윤 전 대통령·김성훈 차장·이상민 전 장관 관련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4.16
44515 안철수 "당, 민심과 멀어져‥수혈 아닌 반성과 혁신 필요" 랭크뉴스 2025.04.16
44514 [속보] 홍콩, 美 소액소포 면세 폐지 반발…“미국행 우편접수 중단” 랭크뉴스 2025.04.16
44513 이재명, 세월호 11주기 추모‥"어떤 이익도 안전·생명 못 앞서" 랭크뉴스 2025.04.16
44512 경찰, 대통령실·한남동 공관촌 압수수색…체포저지 관련 랭크뉴스 2025.04.16
44511 3년 지나면 327억 사라진다…내 건보료 환급금 확인하는 법 랭크뉴스 2025.04.16
44510 트럼프 ‘관세 폭탄’ 혼돈의 장세에서 월스트리트는 웃었다 랭크뉴스 2025.04.16
44509 “역시 이자 장사가 최고” 은행권 중심 금융지주 순이익 역대 최고 기록 랭크뉴스 2025.04.16
44508 美, 엔비디아 ‘H20 칩 中 수출’ 제한 통보… “1분기 7.8조원 가량 손실” 랭크뉴스 2025.04.16
44507 [단독] '고성국TV' '뉴스공장' 편 가르기 여론조사 뚝딱…극단의 진영 스피커 ‘유튜브’ 랭크뉴스 2025.04.16
44506 李, 세월호 11주기에 "열한번째 봄, 국민안전 국가책임 바로세워야" 랭크뉴스 2025.04.16
44505 [단독] 여자화장실에 몰래카메라‥아동센터 20대 남자 직원 입건 랭크뉴스 2025.04.16
44504 또 고개 숙인 백종원 "다 바꾸겠다... 위생관리 등 전면 쇄신" 랭크뉴스 2025.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