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중국 상하이 항구의 모습/사진=연합뉴스


중국의 지난달 수출이 예상을 깨고 12.4%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경제학자 전망치 4.4%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다만 이번 수출 급증은 일시적 현상으로, 4월부터는 트럼프발 관세폭탄의 영향을 받아 감소세로 돌아설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중국 세관 당국인 해관총서는 지난 3월 수출액이 작년 동월 대비 12.4% 증가한 3139억1000만달러(약 448조2000억원)로 집계됐다고 14일 발표했다.

반면 3월 수입액은 작년 동월 대비 4.3% 감소한 2112억7000만달러(약 301조6000억원)로 집계됐다.

1분기로는 상품 수출입액이 1조4343억7000만달러(약 2047조5000억원)로, 작년 동기 대비 0.2% 늘었다. 이 가운데 수출은 8536억7000만달러(약1218조6000억원)로 작년 1분기 대비 5.8% 증가했고, 수입은 5807달러(약 828조9000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7.0% 감소했다.

중국의 대미 무역흑자는 지난달 276달러(약 39조3000억원)였으며, 대미 수출도 4.5% 증가했다.

중국의 수출 증가는 미중 양국 수출입 업체들이 관세 전쟁이 더 격화되기 전, 물량을 대거 확보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캐피탈이코노믹스의 줄리언 에번스 프리차드 이코노미스트는 “제조업체들이 서두르며 중국의 3월 수출 성장이 가속화됐다”며 “더 높은 관세가 예상되면서 3월 미국 수입업자들의 수요가 잘 유지됐다”고 밝혔다.

덧붙여 ‘미국의 관세로 수출이 현재 수준으로 회복되기까지 수년이 걸릴 수 있다’며 ‘이미 베트남과 태국의 수출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본격적인 관세 인상 효과는 이달 수출부터 반영될 전망이다. 뤼다량 해관총서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중국의 수출은 현재 복잡하고 엄중한 외부 상황에 직면해 있지만, 하늘이 무너지지는 않는다”라고 말했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941 英대법 “법적 ‘여성’은 생물학적 여성으로 태어난 사람” 랭크뉴스 2025.04.17
44940 민주당, 오늘 명태균 특검법·내란 특검법·상법 개정안 등 재표결 시도 랭크뉴스 2025.04.17
44939 ‘韓 재판관 지명’ 헌재가 직접 제동… 대선 차출론에도 영향? 랭크뉴스 2025.04.17
44938 [인터뷰] 나경원 "韓대행은 결국 용병…대권 욕심에 국익 망쳐선 안돼" 랭크뉴스 2025.04.17
44937 ‘한덕수 대망론’ 커지는데…재판관 지명 효력정지에 당혹스러운 국민의힘 랭크뉴스 2025.04.17
44936 한국 컨소시엄, '원자력 종주국' 美에 연구용 원자로 설계 첫 수출 랭크뉴스 2025.04.17
44935 트럼프, 일본 관세담당 각료 면담‥본협상 하기도 전에 "큰 진전" 랭크뉴스 2025.04.17
44934 17㎞ '롱 비치' 몽땅 내것 된다…나트랑 옆 숨은 보석의 발견 랭크뉴스 2025.04.17
44933 엔비디아 '700조 읍소'에도 中수출 막았다…트럼프 안봐준 이유 랭크뉴스 2025.04.17
44932 [속보] “협상 큰 진전” 트럼프, 일본 관세협상단 만나 랭크뉴스 2025.04.17
44931 러브버그·팅커벨은 착한 곤충···'사람 불편'하다고 잡다가 생태계 무너질라 [위기의 도심동물들] 랭크뉴스 2025.04.17
44930 트럼프 "일본 통상대표단과 회담…큰 진전있었다" 랭크뉴스 2025.04.17
44929 트럼프, 일본과 본격 협상도 전에 “큰 진전”···일 대표단 면담 랭크뉴스 2025.04.17
44928 [속보] 트럼프, 美·日 관세 협상에 “큰 진전” 랭크뉴스 2025.04.17
44927 나이 탓 아니었다…숨차고 오래 가는 기침, 알고보니 ‘이 병’[헬시타임] 랭크뉴스 2025.04.17
44926 [속보] 미일 관세 협상 시작…트럼프 "큰 진전이다" 랭크뉴스 2025.04.17
44925 ‘간첩을 간첩이라 못 부르는’ 형법…전투기 무단 촬영에도 간첩죄 적용 ‘불가’[이현호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4.17
44924 트럼프, 日관세담당 각료와 면담…본협상 하기도 전에 "큰 진전" 랭크뉴스 2025.04.17
44923 "가장 폭력적인 사람은?" ①이재명 ②김문수...편향 질문 판쳐도 "심의 대상 아냐" 랭크뉴스 2025.04.17
44922 파킨슨병 줄기세포 치료 잇따라 성공…안전·효능 확인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