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미국 시간 15일 민감국가 발효
국장급 실무협의 등 교섭 진행 중
지정 해제의 긍정적 신호로 평가
45일 전에 승인 등 절차상 제약 발생
실질 협력 지장으로 이어질 가능성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지난달 24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민감국가’ 관련 현안 질의서 답변하고 있다. 박민규 선임기자


미국 에너지부가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조치가 15일 발효된다. 한국 정부는 미국 측과 협의를 진행하고 있지만 지정이 해제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입장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미국의 민감국가 분류 문제를 두고 “관계 부처와 함께 미국 에너지부와 국장급 실무협의 등 적극적인 교섭을 진행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앞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달 20일 미국 에너지부 장관과 만나 민감국가 문제를 절차에 따라 조속히 해결하기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한·미는 국장급 실무협의를 가동한 상태다.

정부는 미국이 실무협의에 응한 점을 민감국가 해제의 긍정적인 신호로 보고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다만 이 사안은 미국 측 내부 절차에 따라 진행되는 것으로 조금 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에 따라 민감국가 지정은 미국 시간으로 이날 자정부터 효력이 발생한다. 앞으로 한국 출신 연구자는 미국 연구소를 방문하기 최소 45일 전에 관련 자료를 제출하고 별도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미국 에너지부 직원이나 소속 연구자가 한국을 방문하거나 접촉할 때도 추가 보안 절차를 밟아야 한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미국 측이 민감국가 지정 배경은 외교정책상 문제가 아니라 미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에 대한 보안 관련 문제가 원인이라고 설명했다고 밝혔다. 또 미국 측이 한·미 간 공동연구 등 과학기술 협력에 새로운 제한은 없다는 점을 알렸다고 정부는 설명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도 “최근 양국 간 국장급 실무협의에서 미국 에너지부 측은 민감국가 지정이 현재 진행 중이거나 향후 추진하는 한·미 연구·개발(R&D) 협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재확인했다”고 전했다.

다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민감국가 지정 사실만으로도 대외 이미지가 손상될 수 있다. 또 절차상 제약이 실질 협력에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 국회입법조사처는 지난 3일 발간한 민감국가 관련 연구 보고서에서 “연구자 간 협력에 대한 심리적 불안감이 협력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라며 “미국 대학이나 연구기관 소속 연구자가 한국 출신 유학생, 박사후연구원, 방문연구자 등을 선발할 때 민감국가 출신이라는 점이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민감국가 지정 사유가 원자력 분야에 있다면 이 분야의 한·미 협력이 전반적으로 위축될 우려가 있다”고도 했다.

미국은 한국을 민감국가로 지정한 구체적인 사유는 밝히지 않고 있다. 그간 국내에서는 자체 핵무장론과 12·3 비상계엄 사태에 따른 정치적 불안정성 등이 이유로 거론돼왔다. 특히 민감국가 지정의 표면적인 이유는 보안 문제이지만, 기저에는 자체 핵무장론 등이 자리하고 있을 것이란 의견도 계속 나오고 있다.

미국 에너지부는 조 바이든 행정부 당시인 지난 1월 한국을 민감국가 목록 가운데 최하위 범주인 ‘기타 지정국’에 포함키로 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민감국가 문제를 한국과의 협상에서 일종의 카드로 쓸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726 헌재, '한덕수 재판관 지명' 효력정지… "대행이 임명권 있다고 단정 못해" 랭크뉴스 2025.04.16
44725 강남 한복판 테슬라 사이버트럭에 발길질…경찰, 용의자 추적 랭크뉴스 2025.04.16
44724 헌재 “권한대행 헌법재판관 임명, 국민 기본권 침해 여지” 랭크뉴스 2025.04.16
44723 국힘 ‘빅텐트론’ 펴보기도 전에 삐걱 랭크뉴스 2025.04.16
44722 [단독]윤석열 파면 7일간 관저서 쓴 수돗물만 228톤···2인 가구 한달 사용량 ‘16배’ 랭크뉴스 2025.04.16
44721 마약 집행유예 기간에 약물 운전... 검찰, 벽산그룹 3세 불구속 기소 랭크뉴스 2025.04.16
44720 나경원도 “윤석열 언급 그만”…‘내란 피고인’과 거리 두는 국힘 주자들 랭크뉴스 2025.04.16
44719 "안 그래도 1만원으로 먹을 게 없는데 '김밥' 가격은 또 왜 이래?" 랭크뉴스 2025.04.16
44718 헌재, 전원일치로 '헌법재판관 지명 효력정지' 인용 랭크뉴스 2025.04.16
44717 "백종원 회사, 생고기를 용달차 짐칸 바닥에" 신고 접수…경찰, 내사 착수 랭크뉴스 2025.04.16
44716 국힘 “헌재가 정치재판소로 전락…위험한 선례” 랭크뉴스 2025.04.16
44715 여전히 탄핵 찬반 ‘손가락질’ 국힘, 반이재명 빅텐트까지 까마득 랭크뉴스 2025.04.16
44714 방첩사 과장 “계엄날 국수본에 이재명 등 체포명단 전달” 랭크뉴스 2025.04.16
44713 헌재, '한덕수 재판관 지명' 효력정지 가처분 인용…총리실 "헌재 결정 존중" 랭크뉴스 2025.04.16
44712 '국민 아빠' 박해준 "'폭싹' 찍을 때 연기 슬럼프가 찾아왔다" 랭크뉴스 2025.04.16
44711 재산 44억 최상목 “미 국채 추천받아…난 부유하지 않아” 유체이탈 랭크뉴스 2025.04.16
44710 오세훈을 잡아라… 앞다퉈 달려간 국민의힘 대권 주자들 랭크뉴스 2025.04.16
44709 중국 AI, 미국과 단 0.3%p 차이...한국은 여전히 ‘변두리’ [비즈니스 포커스] 랭크뉴스 2025.04.16
44708 [속보] 헌재, '한덕수 헌법재판관 지명' 효력정지 가처분 인용 랭크뉴스 2025.04.16
44707 [속보] 헌재, '한덕수 재판관 지명 효력정지 가처분' 만장일치로 인용 랭크뉴스 2025.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