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그동안 세계 증시를 흔들던 ‘트럼프 리스크’가 정점을 통과하고 있다는 평가가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미국 국채 가격이 폭락하면서 고율의 관세를 무기로 무역 상대국을 위협하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칼 끝이 무뎌지고 있기 때문이다.

하루에만 5% 넘게 급등락하던 증시 등락폭도 작아지며 안정되는 모습이다. 물론 예측 불가한 트럼프 대통령이 언제든 또다른 카드를 꺼낼 가능성에는 유의해야 하지만, 증권가에서는 단기적으로 종목 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래픽=챗GPT

아직 미국의 관세 정책이 어떻게 확정될지는 더 지켜봐야 한다. 지난 14일(현지시각) 미국은 반도체 등 전자제품에 대한 품목별 관세 발표를 예고하기도 했다.

하지만 환율 및 금리 변동성이 커지면서 미국도 부담이 커졌다. 환율과 금리 변동성의 경우 트럼프의 정책 추진 과정에서 나타난 부작용이다. 미국 역시 달러화 약세 등의 상황을 인지하고 대비하는 부분이기에 변동성이 지금보다 확대되지 않도록 신경 쓸 가능성이 크다.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은행(연은) 총재는 지난 11일(현지시각) “최근 달러화 약세는 미국에 대한 투자자들의 선호도가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달러화가 ‘안전자산’으로 인식됐던 과거와 달라졌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중국이 자국을 압박하는 미국에 대항하기 위해 다른 국가와 협력할 가능성도 있다. 전문가들은 이 경우 미국의 관세 정책 강도가 지금보다 더 커지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 증시에서의 외국인 수급도 트럼프의 관세 리스크가 정점을 통과했다는 점을 시사한다. 외국인 투자자는 최근 2주간(3월 31일~4월 14일) 국내 주식을 10조원 넘게 팔았는데, 지난 3~7일 3거래일간 5조원 넘게 순매도한 것과 달리 최근 3거래일(9~11일)은 1조3000억원을 순매도하는 데 그쳤다.

최소한 3월 말에서 4월 초 보인 공격적인 매도세가 재개될 가능성은 제한적인 것이다. 향후 미 달러화 대비 원화(원·달러) 환율과 관세 불확실성이 완화하는 흐름에 따라 오히려 외국인의 수급이 순매수로 돌아설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온다.

매크로 불확실성이 정점을 통과했다는 것은 정책 리스크가 완화하면서 곧 종목장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이달 1분기 실적 발표 시즌, 기업별 이익 모멘텀(상승 여력)이 중요해질 수 있다.

정다운 LS증권 연구원은 “관세 정책 구체화 및 관련 실적 영향이 어느 정도일지 정해져야 하는데, 이는 시간이 좀 더 걸릴 수밖에 없다”며 “그전까지는 종목장이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정 연구원은 올해 1분기 실적 발표가 기대되는 10가지 종목으로 한화오션, 크래프톤, SK텔레콤, 포스코퓨처엠, 아모레퍼시픽, 파마리서치, 에이피알, 이마트, 한국콜마, 대우건설을 제시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748 소방당국 "광명 붕괴현장서 실종자 1명 발견…사망 추정" 랭크뉴스 2025.04.16
44747 "인사 쿠데타 사죄하라", "마은혁의 사법 보복"... '한덕수 지명 제동'에 엇갈린 희비 랭크뉴스 2025.04.16
44746 [속보] 소방 "붕괴현장 수색중 실종자 신체일부 확인…구조 2시간 예상" 랭크뉴스 2025.04.16
44745 [속보]소방당국 "광명 붕괴현장서 실종자 1명 발견"…124시간 만 랭크뉴스 2025.04.16
44744 “그날 이후, 봄은 멈췄습니다” 세월호 생존 학생이 전한 편지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16
44743 소방당국,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서 실종자 1명 발견...사건 124시간만 랭크뉴스 2025.04.16
44742 [단독] 경찰, 대통령실에 김성훈 경호차장 비위 통보 “관사 외부인 출입”…“사실과 달라” 랭크뉴스 2025.04.16
44741 [속보] 경기 광명 신안산선 붕괴 현장 실종자 발견…“사망 추정” 랭크뉴스 2025.04.16
44740 "국민쨩 나니가스키~"…공식 계정 맞아? 파격 홍보 나선 대선주자들 랭크뉴스 2025.04.16
44739 [속보] 신안선선 광명 지하터널 붕괴사고 실종자 숨진 채 발견 랭크뉴스 2025.04.16
44738 ‘어제는 광주, 오늘은 울산’… 한덕수, 대권 행보 본격화 랭크뉴스 2025.04.16
44737 “계엄 공세 방어 못하면 필패… 떳떳하게 싸울 후보는 나뿐” 랭크뉴스 2025.04.16
44736 ‘한덕수 재판관 지명’ 정지시킨 헌재···“헌법재판 신뢰 크게 훼손할 가능성” 랭크뉴스 2025.04.16
44735 사시 수석이 학원가 '1타 강사'…수천만원 수강료에 '둠강'도 유행 랭크뉴스 2025.04.16
44734 [속보] 소방당국 "광명 붕괴현장서 실종자 1명 발견" 랭크뉴스 2025.04.16
44733 방첩사 과장 "계엄 해제 임박하자 이재명·한동훈 우선 체포 지시" 랭크뉴스 2025.04.16
44732 헌재 '한덕수 재판관 지명' 효력정지…"임명권 없다면 혼란"(종합) 랭크뉴스 2025.04.16
44731 [속보] 소방청 "광명 붕괴 사고 현장에서 실종자 발견"‥사망 추정 랭크뉴스 2025.04.16
44730 '월권' 제동 걸린 한덕수, 민주 "즉각 지명 철회하고, 사퇴하라" 랭크뉴스 2025.04.16
44729 헌재 “한덕수 총리의 헌법재판관 2명 지명, 효력 정지” 랭크뉴스 2025.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