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효 예정’ 엔진·변속기 등 부품 관세
자동차값 급등 우려 커지며 유예 저울질
반도체·의약품 관세 부과 위한 조사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동차 관세 일부 면제 가능성을 내비쳤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날 반도체와 의약품 수입에 대해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해 국가안보 영향을 판단하기 위한 조사도 개시했다.자동차값 급등 우려 커지며 유예 저울질
반도체·의약품 관세 부과 위한 조사도
트럼프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나이브 부켈레 엘살바도르 대통령과의 회담에 앞서 관세 면제를 고려 중인 특정 물품이 있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나는 일부 자동차 기업들을 도와줄 수 있는 무언가를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자동차 기업들이 생산시설을 미국으로 이전하기까지 시간이 걸린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동차 기업들은)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생산되던 부품을 미국에서 만들기 위해 전환하고 있다. 그러려면 시간이 좀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3일부터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엔진, 변속기, 파워트레인 등 핵심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는 다음달 3일 이전에 발효될 예정이다
앞서 그는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 부과 계획 발표 당시 “영구적”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관세로 인해 자동차 가격이 급등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일부 자동차 부품에 대해 관세 유예를 저울질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애플 제품이나 스마트폰에 대한 관세 예외 가능성에 대해 “내 마음을 바꾸지는 않았지만 나는 매우 유연한 사람”이라며 “어쩌면 뭔가 나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와 대화하고 있다면서 “나는 최근에 그를 도왔다. 나는 아무에게도 해를 끼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품목별 관세를 예고한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한 조사 절차도 이날 시작됐다.
상무부는 연방 관보에 게시한 공지에서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반도체와 반도체 제조장비 및 파생상품 수입이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사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상무부는 또 의약품과 그 원료에 대해서도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조사를 개시한다고 밝혔다. 무역확장법 232조는 수입 제품이 국가안보에 위협을 제기한다고 판단할 경우 대통령이 관세 등을 통해 수입을 제한할 긴급 조치를 할 권한을 부여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4일(현지시간) 백악관 사우스론에서 2025 대학풋볼 내셔널리그 챔피언인 오하이오주립대 풋볼팀 선수들과 기념 행사를 하고 있다. AP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