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서울경제]

주말간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반도체·스마트폰 등에 대한 관세가 ‘일단 유예’되며 14일(현지 시간) 뉴욕 증시 3대 지수는 모두 상승 마감했다. 다만 미 상무부가 반도체·전자제품 등에 관한 관세 확정을 위한 구체적 행보를 보이며 상승세에 제약이 붙었다.

미국 뉴욕 뉴욕증권거래소에서 한 트레이더가 업무를 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78% 오른 4만524.79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0.79% 상승한 5405.97에, 기술주 중심 나스닥종합지수는 0.64% 오른 1만6831.48에 마감했다.

주말 들려온 반도체·전자기기에 대한 상호관세 제외 소식이 반등을 이끌었다는 분석이 따른다.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은 지난 12일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를 공지했다. 반도체와 제조 장비,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등이 목록에 올랐다. 이에 미국 반도체 업계는 물론, 상호관세로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평가에 주가가 폭락하던 애플 등의 수혜가 기대됐다.

소식에 이날 매그니피센트7(M7) 종목 중 메타가 2.22%, 아마존은 1.49%, 마이크로소프트(MS)는 0.16%, 엔비디아는 0.2% 각각 내린 가운데 애플은 2.21% 상승세를 보이며 시가총액 3조 달러에 복귀했다. 구글(알파벳)은 1.3% 올랐고, 테슬라는 0.016% 소폭 상승하는 데 그쳤다.

애플을 제외한 빅테크 약세 배경에는 전자제품 관세가 단순히 유예됐을 뿐이라는 점을 암시하는 트럼프 행정부의 행보가 자리한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는 CBP 발표 이후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이 제품들은 중국에 대한 기존의 20% 펜타닐 관세를 적용받으며 다른 관세 범주로 옮겨지고 있다"고 썼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도 “면세는 영구적인 것이 아니고 한두달 내 구체적인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고 밝혔고, 이어 미 상무부는 이날 공식적으로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조사에 착수했음을 알렸다. 반도체와 제조장비 등 전자제품과 의약품이 미국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해 별도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트럼프는 이미 같은 조항을 근거로 철강과 알루미늄, 자동차 등에 대한 25%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트럼프의 종잡을 수 없는 행보에 시장은 불안감을 지우지 못하고 있다. 이날 S&P500는 장중 100포인트가량 급변동하며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다. 모건스탠리는 이날 '한 번 속으면 네 탓, 두 번 속으면 내 탓'이라는 제목의 메모를 내고 "투자자들은 앞으로도 여러 차례 시장에 속을 준비를 해야 한다"고 썼다. 데이브 세케라 모닝스타 미국 시장 수석 전략가는 "많은 투자자가 궁금해하는 질문은 '이게 끝인가? 바닥인가?'이지만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관세 영향에 물가가 높아질 것이라는 관측이 이어진다. 뉴욕 연방준비은행의 소비자기대설문(SCE) 조사에선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이 3.6%로 나타났다. 3월 3.1%에서 0.5%포인트 뛰어 2023년 10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물가를 잡기 위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높은 수준의 금리를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도 우세해지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6월 말까지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은 전날 마감 무렵 24.3%로 올라갔다. 반면 50bp 인하 확률은 13.7%에서 11.4%로 내렸다.

동시에 경기 침체에 대응하기 위해 금리 인하가 이뤄질 것이라는 기대도 나온다. 이날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인플레이션이 상당히 높아질 것으로 분명히 예상하지만 기대 인플레이션이 잘 고정돼 있다면 2026년에 보다 완만한 수준으로 돌아올 것"이라며 "둔화가 상당하고 경기침체마저 위협한다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더 빠르고 큰 폭으로 금리를 내리는 것을 선호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666 미국 ‘민감국가’ 지정 발효…정부 “해제 위해선 시간 더 필요” 랭크뉴스 2025.04.15
48665 엔비디아, 美서 700조원 투자해 AI 인프라 구축 계획 랭크뉴스 2025.04.15
48664 5년치 일감 쌓은 K방산…상위 투자자 순매수 1위 [주식 초고수는 지금] 랭크뉴스 2025.04.15
48663 이재명, 후원금 모집 시작 "국민 덕분에 검은돈 유혹 없이 정치" 랭크뉴스 2025.04.15
48662 현 고1부터 ‘9모’ 아닌 ‘8모’… 수시원서 9월 중순으로 랭크뉴스 2025.04.15
48661 민주, 한덕수 출마론에 "자신 있으면 나오라…양파 벗기듯 검증" 랭크뉴스 2025.04.15
48660 생후 5개월 아기 뇌출혈에 몸 곳곳 멍자국… '학대 의심' 부부 수사 랭크뉴스 2025.04.15
48659 국회 운영위, 이완규·함상훈 지명철회 촉구 결의안 가결…국민의힘 불참 랭크뉴스 2025.04.15
48658 참치캔 1위 회사에 무슨일이?...동원F&B 상폐 결정 랭크뉴스 2025.04.15
48657 윤석열만 뒷쪽 피고인석에…전직 대통령들 다 첫째 줄인데 랭크뉴스 2025.04.15
48656 "폐소공포증 답답해" 제주공항 활주로서 항공기 비상문 연 승객(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15
48655 "폐소공포증에 답답" 비상구 연 승객…202명 탄 에어서울 '아찔' 랭크뉴스 2025.04.15
48654 용인 아파트서 '일가족 추정 5명 살해' 혐의 50대 남성 검거 랭크뉴스 2025.04.15
48653 김문수, 한덕수 출마론 커지자 "경선하는 사람 입장에서 조금 맥이 빠진다" 랭크뉴스 2025.04.15
48652 중국 경찰 “미 NSA 요원 3명 수배…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 기간 사이버 공격” 랭크뉴스 2025.04.15
48651 안철수 "한동훈, 이재명에게 가장 쉬운 상대‥스스로 물러나야" 랭크뉴스 2025.04.15
48650 홍준표, 빅텐트 재차 언급 “反이재명 연대 만들어야" 랭크뉴스 2025.04.15
48649 붕괴된 신안산선 공사현장, 작년말 하루 1천600t 지하수 빼며 작업 랭크뉴스 2025.04.15
48648 "케이티 페리부터 베이조스 약혼녀까지"…여성만 탑승한 우주선 '무사 귀환' 랭크뉴스 2025.04.15
48647 권성동 “한덕수, 국힘 경선 불출마”…대선 출마 여부는 언급 안 해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