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헌재 탄핵심판 인정 사실들도 반박
군 지휘관 ‘의원 끌어내라’ 잇단 증언
김형기 “군 일부, 정치 이용에 회의감”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기소된 윤석열 전 대통령이 14일 경호차량 뒷좌석에 탄 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으로 들어서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은 지하 통로를 통해 법정으로 들어갔다. 연합뉴스

12·3 비상계엄 선포 당시 국회에 투입된 군 현장 지휘관들이 윤석열 전 대통령 첫 형사재판에서 상부의 ‘의원 끌어내라’ 지시가 있었다는 증언을 잇달아 내놨다. 반면 윤 전 대통령은 “비폭력적으로 국회 해제 요구를 수용한 몇 시간의 사건을 내란으로 구성한 자체가 법리에 맞지 않는다”며 계엄은 평화적 대국민 메시지였다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헌법재판소가 탄핵심판 과정에서 인정한 주요 사실관계들을 또다시 부인한 것이다.

서울중앙지법 형사25부(재판장 지귀연)는 14일 윤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첫 공판에서 조성현 육군 수도방위사령부 제1경비단장과 김형기 특수전사령부 제1특전대대장의 증인신문을 진행했다.


조 단장은 ‘이진우 전 수방사령관으로부터 국회의원들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받은 것이 맞느냐’는 검찰 질문에 “맞다”고 답했다. 그는 “(이 전 사령관이) 안에 특전사 요원들이 들어갔기 때문에 이들이 인원들을 끌고 나오면 밖에서 길을 터주는 역할을 하라고 말씀하셨다”고 했다. ‘인원’이 국회의원이라는 점도 재확인했다. 윤 전 대통령은 발언 기회를 얻고 “헌재에서 이미 다 신문한 사람을, 자기들 유리하게 굳이 나오게 한 건 (검찰에) 다분히 정치적 의도가 있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김 대대장도 비슷한 취지로 진술했다. 김 대대장은 “이상현 특전사 1공수여단장으로부터 ‘담을 넘어라, 그다음에 본청 가서 의원을 끌어내라’ 지시를 받았다”며 “부하들에게 임무를 부여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김 대대장은 “이 단장이 ‘대통령님이 문을 부수고서라도 끄집어내 오래’라고 했느냐”는 검찰 질문에도 “네”라고 답했다. 단전 지시를 받았으나 실제 단전을 하지 않은 것에 대해선 “(지시를) 누가 했는지 모르겠으나 영화를 너무 많이 본 것 같다”고 말했고, 방청석에선 웃음이 터지기도 했다. 김 대대장은 “일부 부대원은 군 생활에 회의감을 느끼고 있다. 정치적 수단으로 이용됐다고 생각한다”는 검찰 진술도 맞는다고 확인했다. 그러면서 “병력이 ‘물러서라, 참아라, 때리지 말라’는 지시를 잘 이행했기 때문에 이 자리에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은 79분간 모두진술을 하면서 “평화적인 대국민 메시지용 계엄이었다”는 주장을 반복했다. 그는 “계엄은 길어야 반나절, 하루밖에 될 수 없었다”며 야당의 감사원장 등 줄탄핵 시도가 계엄선포 원인이었다고 했다. 또 윤 전 대통령은 “실탄 지급을 절대 하지 말고 민간인과 충돌을 피하라고 지시했다”고도 했다.

하지만 이는 헌재가 지난 4일 윤 전 대통령 파면 결정을 선고하면서 이미 배척한 주장이다. 헌재는 “윤 전 대통령이 병력 투입으로 국회 계엄 해제요구권 행사를 방해해 계엄 효력을 상당 기간 지속시키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헌재는 또 실탄 지급을 절대 하지 말라고 했다는 윤 전 대통령 주장에 대해서는 “실탄 지급을 금한 건 군인들의 자체적 결정이라고 판단했다.

윤 전 대통령은 “(헌재에서) 초기 내란몰이 과정에서 겁을 먹은 사람들이 수사기관 유도에 따라 진술한 부분들이 검증 없이 반영됐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또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 등 진술 신빙성도 재차 문제 삼았다. 윤 전 대통령은 “홍 전 차장에게 누굴 체포하라고 얘기했다는 건 새빨간 거짓말”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곽 전 사령관의 진술에 대해서는 “처음부터 민주당 의원들에 의해 조작·왜곡된 것”이라고 했다.

윤 전 대통령이 군 관계자들과 배치되는 주장을 반복하는 태도가 법정에서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임지봉 서강대 로스쿨 교수는 “윤 전 대통령의 주장이 증거나 증언으로 배척되면 법원이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판단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225 ‘노아의 방주’ 찾을까…튀르키예 아라라트산서 발굴 추진 랭크뉴스 2025.04.15
44224 “누군가의 봄이 되길”…경주서 익명의 기부자 폐지 판 돈 기부 [아살세] 랭크뉴스 2025.04.15
44223 [속보] 김성훈 경호차장 “4월 말 사퇴”…초유의 연판장에 백기 랭크뉴스 2025.04.15
44222 [속보] “中, 자국 항공사에 美보잉 항공기 인도 중단 명령” 랭크뉴스 2025.04.15
44221 중국 인플루언서, 미국인에게 “차라리 중국 와서 물건 사” 랭크뉴스 2025.04.15
44220 [속보] 김성훈 경호차장 “사퇴하겠다”···직원들 연판장에 백기 랭크뉴스 2025.04.15
44219 김성훈 경호처 차장, 내부반발에 "이달 내 사퇴" 랭크뉴스 2025.04.15
44218 최상목 "52시간 예외, 근로자 건강권 침해해 돈 벌겠단 것 아냐"(종합) 랭크뉴스 2025.04.15
44217 '소비기한 경과' 게맛살, '국내산 둔갑' 수입 고기... 못 믿을 배달 음식 랭크뉴스 2025.04.15
44216 가뜩이나 공보의 부족한데…의정갈등에 의대생 군입대 10배 늘었다 랭크뉴스 2025.04.15
44215 나경원 “드럼통 정치에 굴복 안해”···이재명 겨냥 악의적 풍자 동원 랭크뉴스 2025.04.15
44214 격화되는 美·中 관세 갈등… 반도체업계 공급망 재편 속도 랭크뉴스 2025.04.15
44213 中, 자국 항공사에 "美보잉 항공기 인도 중단" 지시 랭크뉴스 2025.04.15
44212 용인 아파트서 부모·처자식 일가족 5명 살해한 50대 가장 체포(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15
44211 中, 자국 항공사에 "美보잉 항공기 인수 중단" 지시 랭크뉴스 2025.04.15
44210 홍준표, 유승민 행보 묻자 “몰상식한 질문”…또 기자 면박 주기 랭크뉴스 2025.04.15
44209 부모·아내·두 딸까지 5명 살해…용인 50대 남성 체포 랭크뉴스 2025.04.15
44208 “일베나 알까”…‘이재명 드럼통’ 극우 언어 퍼나르는 나경원 랭크뉴스 2025.04.15
44207 이국종 작심발언 "입만 터는 문과X들이 해먹는 나라…탈조선해라" 랭크뉴스 2025.04.15
44206 백종원의 더본코리아 ‘생고기 방치 의혹’도 경찰 고발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