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의 1060일 ⑦ 한·일 관계
2023년 5월 7일 당시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회담에서 대화하는 모습. [사진 대통령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고집이 셌다. 이는 매우 잦은 빈도로 독선으로 발현됐다. 하지만 그의 고집은 가끔은 뚝심이기도 했다. 한·일 관계를 다룰 때가 그랬다.

한·일 관계 악화에는 과거사, 특히 문재인 정부 시절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로 인한 갈등이 자리 잡고 있다는 게 윤 전 대통령의 생각이었다.

#‘문희상 안’ 말고 ‘목영준 안’

그가 검찰총장직에서 사퇴한 뒤 대선 출사표를 던지기 전 ‘과외 공부’를 하다가 강제징용 문제를 토론 주제로 다룰 때 일이다. “그나마 현실적으로 검토됐던 게 문희상 안입니다.” “아니야. 문희상 안보다는 목영준 안이 현실적이지.”

문재인 정부 당시 문희상 전 국회의장은 한·일 기업(2)과 양국 정부(2), 국민(α)의 자발적 기부금을 통해 강제징용 피해자에게 위자료를 지급하자고 제안했는데, 제대로 추진되지는 못했다.

윤 전 대통령이 꺼낸 목영준 안은 추후 윤 정부가 공식 징용 해법으로 채택한 3자 변제안의 실마리가 됐다. 2023년 3월 발표된 3자 변제는 대법원에서 승소한 징용 피해자들에게 행정안전부 산하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 일본 전범 기업들(패소한 피고)을 대신해 판결금과 지연이자를 지급하는 방식이다.

#검사 윤석열 눈 멈춘 압수물

윤 전 대통령이 목영준 안을 인지한 건 서울중앙지검장일 때다. 2018년 여름 무렵 양승태 대법원 재판 거래 의혹을 수사하던 검찰이 외교부 본부를 압수수색했는데, 압수물 중 하나인 대외비 문서 ‘강제동원 피해자 문제 관련 목영준 전 헌재재판관 의견’을 보게 된 것.

제3자(재단)가 채무자(일본 전범 기업)와 합의하면 채권자(징용 피해자)의 승낙 없이도 채무를 인수할 수 있다는 민법 판례를 근거로 든 제안을 보고 윤 전 대통령은 명확한 법 규정에 따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

#“지들도 느끼겠지. 못 느껴도 상관없어”

일본은 처음엔 “우리는 아무것도 약속 못 해준다”며 뻗댔다. 그러나 그는 놀라지 않았다. “우리가 선의를 갖고 매듭을 풀면 지들도 느끼는 바가 있겠지. 하지만 느끼지 못한다고 해도 상관없다. 그건 결국 역사가 평가를 할 테니까.”

좌고우면은 없었다. 처음 압수물 목영준 안을 본 순간부터 2023년 3월 3자 변제안 발표 직후 방일해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와의 러브샷으로 한·일 관계의 새로운 출발을 기념한 순간까지, 모든 게 ‘윤석열의 뚝심’이었다.

#기대 저버린 ‘인간미 대통령’

한·일 관계를 풀기 위한 윤 전 대통령의 ‘탑-다운(top-down)’식 접근은 전례가 없을 정도로 과감했다. 바꿔 말하면 여기에 바텀(bottom)이 작용할 여지는 없었다.

참모들은 “인간미가 남다른 윤 대통령이 강제징용 피해자를 직접 만나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하지만 그는 끝내 움직이지 않았다. 일본 전범 기업의 직접 배상을 받지 못하게 된 피해자들의 상처를 어루만지는, 가장 중요한 ‘마음’이 부족했다.

대일 관계를 ‘기브 앤 테이크’로 끌고 가지 말자는 그의 결정은 대승적이었으나, 동시에 족쇄가 됐다. 라인 야후 사태 등 갈등 현안이 생기면 참모부터 실무 당국자들까지 일본에 세게 나갔다가 용산에 찍힐까 눈치를 봤다. ‘윤석열의 절대 레거시’인 한·일 관계 개선 기류에 흠이 가지 않도록 하는 게 불문의 우선순위가 돼 버렸다.

※ 이 기사의 전문은 더중앙플러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尹 “X팔리게, 美 도움 필요없어”…日징용해법 승부수 비화 ⑦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419

의대 증원에 건건이 “아니오”…尹, 40년지기 연락도 끊었다 ⑥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8182

"尹 술친구 자랑하던 그 의원, 한동안 찍혀 죽어 지냈다" 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709

"막내급 기자가 청담동 술자리 질문…尹, 그날 도어스테핑 좌절" ④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374

"비속어 썼으니" 참모들 제안…'바이든 날리면' 실상은 이랬다 ③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066

"내가 있어 지금의 尹 있다고…김건희, 술자리 때마다 말해" ②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6699

총선 출구조사에 격노한 尹 "그럴 리 없어! 당장 방송 막아!" 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6454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451 [인터뷰] 안철수 "반탄후보 지지, 李 대통령 찍는것…찬탄파와 힘 모아야" 랭크뉴스 2025.04.16
44450 백악관 "공은 중국에"‥"농산물 관세 버텨라" 랭크뉴스 2025.04.16
44449 美국무부 동아태 고위관리, 베트남·일본 등 순방…한국은 또 빠져 랭크뉴스 2025.04.16
44448 아직 놓지 못한 대권의 꿈…‘경선불참’ 유승민·김두관 막판 변수될까 랭크뉴스 2025.04.16
44447 종목 추천→30억 매수→정치 테마주 편입... 재미 본 경제전문가 선대인 랭크뉴스 2025.04.16
44446 “국민보다 국회의원이 더 혜택 봤다”…윤석열 정부 ‘종부세 완화’ [취재후] 랭크뉴스 2025.04.16
44445 트럼프 “공은 中 코트에…우리돈 가지려면 우리와 협상해야" 랭크뉴스 2025.04.16
44444 민주, 경선 TV토론 2회만 진행… 반발하는 비명계 “해도 너무해” 랭크뉴스 2025.04.16
44443 IPO 급한 메가존클라우드, 인터넷은행 도전장... “외연 확장하다 본업 무너질 수도” 랭크뉴스 2025.04.16
44442 잠적한 양육비 도망자? 쿠팡·배민이 흔적을 쫓는다 랭크뉴스 2025.04.16
44441 북한, '60년의 형제' 한국에 빼앗겼다[북한은 지금] 랭크뉴스 2025.04.16
44440 [영상] “미국 제품 나가!!”…중국서 번지는 미국산 불매운동 랭크뉴스 2025.04.16
44439 ⑤“세월호도 계엄도, 진실이 묻혀선 안 돼”…다시, 광장 지킨 유족 [광장에서 시민에게 듣는다] 랭크뉴스 2025.04.16
44438 만취 상태로 차 몰고 도주한 여성 체포…인천 부평역 앞 ‘땅꺼짐’ 랭크뉴스 2025.04.16
44437 "봄인줄 알고 나가더니…" 난데없는 폭설에 꿀벌 70% 사라졌다 랭크뉴스 2025.04.16
44436 함께 어린이날 보내고 나무 심고… 거리 좁히는 대한항공·아시아나 랭크뉴스 2025.04.16
44435 [단독] 제노스코, ‘복제 상장 논란’ 뚫고 재심 청구한다… FI 메리츠證 입김 영향 랭크뉴스 2025.04.16
44434 자녀 가방 녹음기로 교사 학대 알게 돼... 위법 증거인데 징계 적법 이유는 랭크뉴스 2025.04.16
44433 EU, 미국과 첫 협상…쟁점은 식품·디지털 규제 랭크뉴스 2025.04.16
44432 정치 테마주 소문 듣고 샀다가…대부분 '손실 폭탄' [이런국장 저런주식] 랭크뉴스 2025.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