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제21대 대통령선거 경선에 출마하는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14일 문재인 전 대통령을 예방했다. 대선 출마 선언 후 첫 번째 공식 일정이다. 문 전 대통령은 김 전 지사에게 “민주 세력과 힘을 합쳐 반드시 정권 교체를 이루고, 이후 국정도 연대의 힘으로 운영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文 “민주세력과 힘 합쳐야” 金 “빛의 연정”
‘친문(친문재인) 적자’로 꼽히는 김 전 지사는 이날 고(故)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한 뒤, 경남 양산 평산마을로 내려가 문 전 대통령을 만났다. 김 전 지사는 문 전 대통령 예방 직후 기자들과 만나 “경선에서 힘을 잘 모아 달라는 말씀을 주셨다”고 전했다.
김 전 지사는 “문재인 정부 당시 탄핵에 참여한 정치세력이 내각에 함께 참여하는 연정을 실현했으면 좋겠다는 아쉬움을 말씀 드렸다”면서 “문 전 대통령 역시 그런 방향으로 연정을 추진했으면 좋았겠다는 생각에 공감하셨다”고 했다. 그러면서 “제가 말한 ‘빛의 연정’도 그런 맥락”이라고 했다.
민주당 경선에 불참키로 한 김두관 전 의원 관련 입장도 냈다. 김 전 지사는 “당 차원에서 이런 일이 생기지 않도록 잘 관리해 줬으면 좋았을 것”이라면서도 “이번 대선의 시대 정신은 모든 민주 세력이 힘을 합쳐 압도적 정권 교체와 내란 종식, 개헌을 포함해 추진하는 것”이라고 했다. 김 전 지사는 룰 확정에 절차적 문제를 제기하면서도, 경선에는 참여키로 했다
앞서 민주당은 이날 ‘권리당원 투표 50%,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를 합산해 대선 후보를 선출하는 방식을 확정했다. 비명계 주자들이 “이재명 전 대표에게만 유리한 방식”이라며 반발했으나, 예비후보 간 공식 협상 없이 당 자체적으로 결정했다. 그간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선거인단을 모집해 투표권을 줬던 반면, ‘이재명 팬덤’으로 분류되는 권리당원에게만 50% 투표권을 우선 배정하는 셈이다.
김 전 지사는 선거 캠프 구성과 관련해 “현역 의원 줄세우기 방식을 지양하겠다”고 했다.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당을 장악한 상황에서 현역 의원의 캠프 참여를 기대하기 어려운 점 등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김경수 캠프는 현역 의원 없이 30~40대 실무진 약 70명으로 꾸려졌다.
李 ‘사법리스크’ ‘비호감’ 여전… 비명계 표심 기대
정치권은 범야권 비주류의 움직임을 주목하고 있다. ‘친문 적자’ 김 전 지사가 비명계 구심점이 될 수 있느냐 여부다. 지난 총선 공천을 거치며 비명계는 당에서 사실상 축출했다. 이 과정에서 ‘친명 대 찐명’ 구도의 충성 경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그만큼 이 전 대표의 장악력이 막강하다는 뜻이다.
다만 이 전 대표의 사법 리스크가 여전하고, 중도층의 ‘이재명 포비아’도 적지 않다. 의회 권력을 독점한 이 전 대표가 행정·사법권까지 거머쥐는 것에 대한 우려다. 김 전 지사 측은 이런 여론이 경선 과정에서 비명계로 향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현재 비명계에선 김 전 지사와 김동연 경기지사가 민주당 경선 참여 의사를 밝혔다.
대선 출마를 선언한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14일 오후 경남 양산시 하북면 평산마을 문재인 전 대통령 사저를 예방한 뒤 문 전 대통령과 사저를 나서며 대화하고 있다. /뉴스1
文 “민주세력과 힘 합쳐야” 金 “빛의 연정”
‘친문(친문재인) 적자’로 꼽히는 김 전 지사는 이날 고(故)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한 뒤, 경남 양산 평산마을로 내려가 문 전 대통령을 만났다. 김 전 지사는 문 전 대통령 예방 직후 기자들과 만나 “경선에서 힘을 잘 모아 달라는 말씀을 주셨다”고 전했다.
김 전 지사는 “문재인 정부 당시 탄핵에 참여한 정치세력이 내각에 함께 참여하는 연정을 실현했으면 좋겠다는 아쉬움을 말씀 드렸다”면서 “문 전 대통령 역시 그런 방향으로 연정을 추진했으면 좋았겠다는 생각에 공감하셨다”고 했다. 그러면서 “제가 말한 ‘빛의 연정’도 그런 맥락”이라고 했다.
민주당 경선에 불참키로 한 김두관 전 의원 관련 입장도 냈다. 김 전 지사는 “당 차원에서 이런 일이 생기지 않도록 잘 관리해 줬으면 좋았을 것”이라면서도 “이번 대선의 시대 정신은 모든 민주 세력이 힘을 합쳐 압도적 정권 교체와 내란 종식, 개헌을 포함해 추진하는 것”이라고 했다. 김 전 지사는 룰 확정에 절차적 문제를 제기하면서도, 경선에는 참여키로 했다
앞서 민주당은 이날 ‘권리당원 투표 50%,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를 합산해 대선 후보를 선출하는 방식을 확정했다. 비명계 주자들이 “이재명 전 대표에게만 유리한 방식”이라며 반발했으나, 예비후보 간 공식 협상 없이 당 자체적으로 결정했다. 그간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선거인단을 모집해 투표권을 줬던 반면, ‘이재명 팬덤’으로 분류되는 권리당원에게만 50% 투표권을 우선 배정하는 셈이다.
더불어민주당 대권 주자인 김경수 전 경남지사(오른쪽)가 14일 오후 경남 양산시 하북면 평산마을 문재인 전 대통령 사저에서 문 전 대통령과 환담하고 있다. /김경수 전 지사 측 제공
김 전 지사는 선거 캠프 구성과 관련해 “현역 의원 줄세우기 방식을 지양하겠다”고 했다.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당을 장악한 상황에서 현역 의원의 캠프 참여를 기대하기 어려운 점 등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김경수 캠프는 현역 의원 없이 30~40대 실무진 약 70명으로 꾸려졌다.
李 ‘사법리스크’ ‘비호감’ 여전… 비명계 표심 기대
정치권은 범야권 비주류의 움직임을 주목하고 있다. ‘친문 적자’ 김 전 지사가 비명계 구심점이 될 수 있느냐 여부다. 지난 총선 공천을 거치며 비명계는 당에서 사실상 축출했다. 이 과정에서 ‘친명 대 찐명’ 구도의 충성 경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그만큼 이 전 대표의 장악력이 막강하다는 뜻이다.
다만 이 전 대표의 사법 리스크가 여전하고, 중도층의 ‘이재명 포비아’도 적지 않다. 의회 권력을 독점한 이 전 대표가 행정·사법권까지 거머쥐는 것에 대한 우려다. 김 전 지사 측은 이런 여론이 경선 과정에서 비명계로 향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현재 비명계에선 김 전 지사와 김동연 경기지사가 민주당 경선 참여 의사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