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경선 시작도 전에
‘노무현·정몽준처럼’
인물·상황 다른데
‘희망 회로’만 돌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가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김창길 기자 [email protected]


한덕수 출마도 안 밝혔는데

‘결선 때 총리 사퇴설’도 돌아

“심판이 선수로 뛰나” 비판


홍준표 “몇몇 중진들 설쳐”

한동훈 “경선 김 빼는 행위”

같은 당 대선 주자들은 반발


국민의힘에서 6·3 대선 후보를 뽑는 경선을 시작하기도 전에 자당 후보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사진)의 후속 단일화가 거론되고 있다. 2002년 노무현 전 대통령과 정몽준 당시 무소속 후보의 단일화로 정권 연장에 성공한 사례가 언급된다. 하지만 지금의 국민의힘과 한 권한대행은 당시 성공 조건과 반대의 길을 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민의힘은 14일 차기 대선 후보를 뽑는 경선을 진행하려 후보 등록을 시작했지만 친윤석열계를 비롯한 다수 의원의 관심은 이미 경선 너머에 가 있었다. 영남 지역의 한 의원은 기자와 만나 “특정 후보를 돕기보다 한 권한대행이 출마할 때까지 관망하는 의원 비율이 가장 높다”고 말했다.

지난 주말 의원 50~60명이 한 권한대행 출마에 긍정적인 의사를 표시하는 기자회견을 하려다 지도부의 저지로 실패했다. 당내 경선 결선이 진행될 때쯤 한 권한대행이 사퇴하고, 결선 주자들에게 TV토론에서 후속 단일화 약속을 받는 시나리오도 거론된다.

한 권한대행을 미는 의원들은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과 홍준표 전 대구시장 등 당내 후보들로는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꺾기 힘들다고 판단한다. 그러면서 경제·통상 전문가, 호남 출신, 김대중·노무현 정부에서 일한 경험, 안정감 등을 한 권한대행의 강점으로 내세운다.

당내에선 윤석열 전 대통령이 정진석 대통령비서실장 등을 통해 한 권한대행을 측면 지원한다는 소문이 파다하다. 윤 전 대통령과 가까운 윤상현 의원이 이날 경선 불참을 선언하며 “반(이재)명 연대의 물꼬를 트는 고난한 길을 가겠다”고 밝힌 것도 ‘윤심’(윤 전 대통령 의중)에 따라 경선 후 단일화 추진 시나리오에 의한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한 권한대행은 출마 여부를 명확히 밝히지 않고 있다. 이날 국무회의를 주재할 때 미국 정부와의 협상을 언급하며 “제게 부여된 마지막 소명을 다하겠다”고 말한 것을 두고도 출마와 불출마 해석이 모두 나왔다. 리얼미터가 지난 9~11일 18세 이상 1506명에게 물은 차기 대선 주자 선호도 조사에서 한 권한대행은 8.6%로 이재명 전 대표(48.8%), 김문수 전 장관(10.9%)에 이어 3위에 올랐다.

국민의힘 후보와 한 권한대행의 단일화가 추진되더라도 2002년 노무현·정몽준의 성공 사례처럼 되긴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후보도, 당도, 대통령도 그때와 반대에 가깝기 때문이다. 당시의 성공은 완전국민경선이라는 혁신적인 규칙하에서 미국과 현직 대통령에게 소신 발언을 한 노 전 대통령의 역전 드라마가 바탕이 됐다. 여기에 2002년 월드컵 4강 신화를 이끈 정 후보의 인기가 더해졌다. 김대중 당시 대통령은 외환위기를 극복하고 남북 화해를 이끌어 임기 말에도 지지도가 낮지 않았고 차기 주자들에게 자신에 대한 비판을 용인했다.

그러나 지금의 국민의힘은 군대를 국회에 보낸 사상 초유의 비상계엄으로 파면된 대통령과 선을 긋지 않고 있다. 오히려 이번 대선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것이 윤심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국민의힘은 당원투표 50%에 역선택을 막는 여론조사 50%를 적용하고 결선투표를 도입하면서 ‘탄핵반대파’ 후보를 뽑기 위한 경선 규칙이란 비판을 받았다. 한 권한대행은 윤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과 윤석열 정부의 실패를 막지 못한 이인자인 데다 대선에 나온다면 심판을 보다 선수로 나온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당내 주자들도 이날 반발했다.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CBS 라디오에서 “대선을 중립적으로 관리할 분을 출마시키는 건 상식에 반하는 정치 행태”라며 “몇몇 철딱서니 없는 중진 의원들이 설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동훈 전 대표는 한 권한대행을 지지하는 의원들의 움직임에 “경선의 김을 빼는 해당 행위”라고 밝혔다.

김성태 전 원내대표는 이날 BBS 라디오에서 “노무현·정몽준의 기억을 더듬어 희망회로를 돌리는데, 돌린다고 되는 게 아니다”라며 “중도 성향이 높은 합리적인 국민에게 어필하는 방식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지호 전 전략기획부총장은 채널A 유튜브에서 한 권한대행과의 단일화 주장을 “삼류기획”이라며 “여론조사를 위해 안심번호를 선관위에 열흘 전에 신고해야 한다는데 실현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지적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961 "입에서 입 '러브샷' 시켰다"... 조선대 신입생 MT 성희롱 논란 랭크뉴스 2025.04.17
44960 “100일도 안 돼 이렇게 망가졌어” 바이든, 트럼프 행정부 정면 비판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17
44959 영·호남 오간 한덕수, 헌법재판관 제동에 ‘대선 차출론’도 힘 빠져 랭크뉴스 2025.04.17
44958 “장기적 피해 줄 것”…파월 의장, 트럼프 ‘오락가락’ 관세 경고 랭크뉴스 2025.04.17
44957 민주당 “공직자다워!”…‘윤석열 사단’ 이복현 응원한 이유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17
44956 이재명 비꼰 서지영 “전국 도련님들께…5월은 가정의 달”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17
44955 부자들 “올해는 부동산보다 예금·금·채권” 랭크뉴스 2025.04.17
44954 봄의 실종?…낮 최고기온 27도, 당분간 평년보다 따뜻 랭크뉴스 2025.04.17
44953 캘리포니아 "트럼프 관세는 불법"… 주정부 최초로 관세소송 제기 랭크뉴스 2025.04.17
44952 유럽은 미국 대신 중국과 손을 잡을까? [특파원 리포트] 랭크뉴스 2025.04.17
44951 트럼프, 美·日 관세 협상 시작…“큰 진전” 랭크뉴스 2025.04.17
44950 일본 관세 협상단 트럼프 예방으로 협상 일정 시작…트럼프 “큰 진전” 랭크뉴스 2025.04.17
44949 [금융뒷담] “키움 먹통, 보상도 전에 무료 이벤트?” 뿔난 개미들 랭크뉴스 2025.04.17
44948 부모·처자식 등 일가족 5명 살해한 50대 오늘 오후 구속심사 랭크뉴스 2025.04.17
44947 “꽃샘추위 물러나니 초여름 날씨 찾아 오네” 랭크뉴스 2025.04.17
44946 선착순 1.6만명 벌써 마감…신한銀 '이 계좌' 뭐길래 [S머니-플러스] 랭크뉴스 2025.04.17
44945 미일 관세 협상 개시... 일본 대표단 만난 트럼프 "큰 진전" 랭크뉴스 2025.04.17
44944 축제장서 도시락·떡 먹은 103명 식중독 의심 증세···19명 입원 랭크뉴스 2025.04.17
44943 이재명, 타임지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 선정 랭크뉴스 2025.04.17
44942 내년 의대 모집인원 '3058명 동결' 유력…교육부 오늘 발표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