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윤운식 선임기자 [email protected]

국민의힘이 유연근무제를 활용한 주 4.5일 근무제와 주 52시간 노동상한제(주 52시간제) 폐지를 대선 공약에 반영하겠다고 14일 밝혔다. 하지만 국민의힘이 제시한 주 4.5일제는 현행 제도로도 가능한데다, 일·생활 균형을 말하면서도 장시간 노동을 유발할 수 있는 ‘주 52시간제 폐지’까지 공약해 모순이라는 비판이 인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 “유연근무제를 활용한 주 4.5일제를 정책으로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월~목 하루 8시간 기본 근무 외에 1시간씩 더 일하고, 금요일에 4시간 일하고 퇴근하는” 울산 중구청 사례를 소개하며 “기존 주 5일 근무 체제를 유지하면서도 유연한 시간 배분을 통해 주 4.5일제의 실질적인 워라밸(일과 생활의 균형) 개선 효과를 가져오는 현실적인 대안이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권 비대위원장이 밝힌 ‘주 4.5일제’는 근로기준법의 선택적근로시간제(선택근로제)를 통해 현재도 할 수 있다. 통상 한달인 정산 기간을 평균해 주 40시간만 일하면 출근과 퇴근 시간을 노동자가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는 제도로, 이를 활용하면 노사 합의를 바탕으로 주 4.5일제뿐 아니라 주 4일제도 가능하다. 다만 노동시간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없는 제조업 생산직이나 인사시스템이 갖춰지지 않은 중소기업에서는 활용이 힘들다는 한계가 있다.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를 보면, 지난해 8월 기준 선택근로제를 활용하는 임금노동자는 84만6천명으로 전체의 3.8%에 불과하다. 정부가 그동안 유연근무제 도입을 적극 장려했음에도 2023년 4.1%(90만8천명)보다 오히려 줄었다. 선택근로제나 재택·원격 근무제 등 전체 유연근무제 활용률도 2021년 16.8%에서 지난해 15.0%로 감소했다. 사업장 규모별 격차도 크다. 2022년 유연근무제 도입률은 100인 이상 사업장이 46.6%인 반면 5~9인 사업장은 18.1%에 그쳤다(일·가정 양립 실태조사). 결국 노동자의 ‘시간주권’을 보장하기 위한 유연근무제 확대를 위한 제도적 방안 없이 ‘주 4.5일제’만 강조한 셈이다.

더욱이 권 비대위원장은 “주 4.5일제 도입 검토와 함께 다양한 형태의 유연근무를 방해하는 주 52시간 근로 규제 폐지도 함께 추진하겠다”고도 말했다. 하지만 주 52시간제 폐지 공약은 윤석열 정부가 추진하다 여론의 거센 역풍을 맞아 포기한 연장근로 관리단위 개편과 유사하다. 2022년 정부는 주 52시간제의 ‘경직성’을 문제 삼으며 연장근로 관리단위를 현행 1주에서 월·분기·반기·연 등으로 확대하려다 ‘주 69시간제’라는 비판에 추진을 중단한 바 있다.

이에 대해 김종진 ‘주 4일제 네트워크’ 간사(사단법인 유니온센터 이사장)는 “국민의힘의 주 4.5일제는 금요일 4시간이라는 밑돌을 빼 월~목요일 8시간에 얹겠다는 것으로, 노동시간 단축형이 아니라 노동시간 유지형”이라며 “주 4.5일제를 하겠다면서 주 52시간제를 폐지한다는 것은 모순으로 국민을 호도하는 행태”라고 밝혔다. 또 이지현 한국노총 대변인은 “유연근로제를 확대하면서 주 52시간제를 풀겠다는 것은 장시간·압축 노동을 조장하겠다는 꼼수”라고 밝혔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479 “마지막 소명” 언급한 한덕수…전략적 모호성 유지하며 출마 저울질 랭크뉴스 2025.04.15
48478 [여론조사③] 중도층 66% "윤석열, 부정적 영향 클 것" 랭크뉴스 2025.04.15
48477 美백악관, 中의 희토류 수출 통제에 "우려…모든 옵션 검토 중" 랭크뉴스 2025.04.15
48476 62년 만에 여성만 탄 우주선 비행했다 랭크뉴스 2025.04.15
48475 [사설] 中 희토류 수출 중단, 공급망 다변화로 자원전쟁 대비해야 랭크뉴스 2025.04.15
48474 EU, 美와 관세협상 당일 '보복관세 90일 보류' 확정 랭크뉴스 2025.04.15
48473 뉴욕증시, 스마트폰·컴퓨터 관세 유보 조치에 고무…급상승 출발 랭크뉴스 2025.04.15
48472 "많은 사람 구속해봤지만‥이게 왜 내란?" 큰소리 랭크뉴스 2025.04.15
48471 유엔 "미얀마 강진 잔해 트럭 12만5천대 분량" 랭크뉴스 2025.04.15
48470 [사설] ‘평화 계엄’ 주장한 尹… 여전한 궤변과 책임 떠넘기기 랭크뉴스 2025.04.15
48469 “10년 내 세상 바꿀 양자컴퓨팅 리더 찾아라” 미 DARPA, 옥석 가리기 프로젝트 랭크뉴스 2025.04.15
48468 쿠르스크 주민들 "우린 지옥에 살았다"...조국 러시아 원망 랭크뉴스 2025.04.15
48467 블루 오리진, 여성만 탑승한 우주선 발사…1963년 이후 처음 랭크뉴스 2025.04.15
48466 누적 부채 21조에 'KTX 교체' 임박…적자구조 개선 논의 필요 랭크뉴스 2025.04.15
48465 비상계엄 당시 ‘상관 지시 거부’한 군 지휘관 “항명죄로 징역형 구형 박정훈 대령 떠올랐다” 랭크뉴스 2025.04.14
48464 지하 공사장 인근 땅이 꺼진다…서울·부산 계속되는 '발밑 공포' 랭크뉴스 2025.04.14
48463 오늘·바로·지금…‘새벽’으론 부족한 배달 경쟁 랭크뉴스 2025.04.14
48462 [Who] 트럼프 관세 정책 핵심… 경제 책사 ‘스티븐 미란’ 랭크뉴스 2025.04.14
48461 폐기될 샌드위치 노숙자 나눠줬다가 해고된 프랑스인 랭크뉴스 2025.04.14
48460 "2년 전 지반 불량 지적했는데‥" 위험 신호 무시했다가 피해 커졌나? 랭크뉴스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