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국산 화장지·물티슈 쟁여두기 현상
코로나19 이후 국산 휴지 인기 급증
선크림 등 'K-뷰티' 품목도 사재기 대상
식품 관련해서도 조미김 등 수요 늘어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크리넥스.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 뉴스1

[서울경제]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한 제조 업체에서 근무하고 있는 40대 김 모 씨는 최근 미국 내 한인 단체 채팅방에서 ‘상호관세로 인해 한국산 휴지 가격이 오를 수 있으니 미리 사둬야 한다’는 글을 발견하고 곧장 한인 마트로 달려갔다. 하지만 평소 매대를 가득 채우고 있던 30개들이 두루마리 휴지는 단 한 세트만이 덩그러니 남아 있었다. 김 씨는 “최근 코스트코에 장을 보러 갔는데 모든 고객들이 카트에 휴지 하나씩은 담고 있을 정도로 미국 전역에 휴지 대란이 벌어지고 있다”며 “한인들 사이에서도 한국산 화장지를 미리 쟁여놓아야 하는 것 아니냐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 국가를 상대로 상호관세를 부과한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미국 유학생들과 교포들 사이에서 가격 상승을 우려해 한국산 화장지나 물티슈 등을 미리 구매해야 한다는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화장지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제조된 선크림이나 건조 김 등 다양한 품목들에 대한 사재기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 교포들의 전언이다.

국산 화장지에 대한 미국 내 수요가 대폭 늘어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20년 코로나19 당시 전 세계적으로 면역과 위생 상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휴지 대란’이 한 차례 일어나 우리나라 제품에 대한 수요도 덩달아 늘어난 바 있다. 당시 1년 만에 대미 화장지 수출 금액이 전년 대비 329% 늘어났으며 점유율 역시 이례적으로 40%를 돌파했다.

안 그래도 코로나19 이후 우리나라의 대미 화장지 수출액은 해를 거듭할수록 늘어나는 추세였다. KOTRA의 국산 화장지 대미 수출 금액 통계에 따르면 2021년 134만 7375달러(약 19억 2445만 원)였던 수출 금액은 2022년 163만 3592달러, 2023년 187만 5039달러로 늘었다. 지난해에는 219만 9976달러를 기록하며 3년 만에 200만 달러 고지를 밟았다. 전체 화장지 수출국 중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 또한 2021년 21.4%에서 2024년 31.2%로 10%포인트가량 늘어났다.

화장지 사재기에 나선 것은 우리나라 유학생뿐만이 아니다. 미국인들도 가격 상승을 우려해 화장지와 키친타월을 쟁여두는 분위기다. 미국이 화장지 주요 수출국인 캐나다의 연질 목재에 대해 당초 14%였던 수입세를 52%로 올리겠다 예고했기 때문이다. 미국에서 유통되는 화장지나 키친타월 성분의 대부분은 캐나다산 펄프가 차지하고 있다. 미국이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 대해 90일간 상호관세 부과를 유예하겠다고 밝혔지만 가격 상승에 대한 불안감은 이미 팽배해진 상황이다.

가격 상승 우려에 미국에서 사재기 현상이 벌어지는 국산 제품은 화장지뿐만이 아니다. 최근 외국에서 기능을 인정받아 ‘K뷰티’라는 이름이 붙을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는 국산 화장품 또한 미국 소비자들의 사재기 대상이 되고 있다. 외신에 따르면 각종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나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중심으로 미국인들이 상호관세 부과로 사재기에 나선 미국 내 수입품 목록 중 한국산 선크림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경우 자외선 차단제를 의약용품으로 분류하고 있어 해당 기능이 기본적으로 포함돼 있는 한국산 선크림에 대한 수요가 최근 들어 높아지던 와중에 가격 상승 우려까지 겹치며 사재기 현상이 발생한 것이다.

지난해 미국 수출액만 1398만 달러를 기록한 건조 김도 마찬가지다. 미국이 관세를 부과하면서 가격 상승을 피할 수 없게 되자 유학생들은 물론 자영업자들까지 김 사들이기에 나선 상황이다. 미국 내 일식당에서 근무하고 있는 30대 강 모 씨는 “일식에서 김은 필수인데 건조 김의 경우 손님들에게 인기가 좋은 한국산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며 “김은 유통기한이 길다 보니까 사장님이 가격이 오르기 전에 미리 수개월 치를 미리 구매하자고 의견을 제시해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미국의 상호관세 여파로 가격 조정이 가시권에 들어올 때까지 적어도 6개월가량 이러한 재난 형태의 소비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659 "하루 2만원 벌면 운좋은 날"…센 척하지만 중국도 아프다 랭크뉴스 2025.04.16
44658 경찰 실내사격장에서 총기 오발 사고…20대 순경 숨져 랭크뉴스 2025.04.16
44657 한덕수 “재판관 ‘발표’ 했을 뿐, 공권력 행사 아냐” 헌재에 황당 답변 랭크뉴스 2025.04.16
44656 내년 의대 모집인원 '3천58명' 유력…정부 내일 발표 예정(종합) 랭크뉴스 2025.04.16
44655 김건희 여사 명예훼손 혐의 등 진혜원 검사 2심도 무죄 랭크뉴스 2025.04.16
44654 러브샷 5단계에 성희롱까지…조선대 신입생 MT 말썽 랭크뉴스 2025.04.16
44653 [속보] 전국 의대 총장들, '내년도 모집인원 3058명 동결' 정부에 건의 랭크뉴스 2025.04.16
44652 방첩사 과장 “‘누구를 체포하냐’ 경찰 질문에 ‘이재명, 한동훈’ 답해” 랭크뉴스 2025.04.16
44651 10억달러짜리 결혼선물?…여성만 탑승한 블루오리진 '뒷말' 무성 랭크뉴스 2025.04.16
44650 [단독] 한덕수 "발표만 했으니 각하해달라" 주장 랭크뉴스 2025.04.16
44649 자녀들 살해·살인미수, 망상장애 질환 40대 친모 항소심도 실형 랭크뉴스 2025.04.16
44648 그새 또 올랐어?…백악관 “중국 관세 최대 245%”에 중 매체 “웃긴 일” 랭크뉴스 2025.04.16
44647 '파도 파도 또' 논란 반복된 '더본코리아'···경찰, 내사 착수 랭크뉴스 2025.04.16
44646 경호처, 대통령실 압수수색 불허…5시간째 대치 중 랭크뉴스 2025.04.16
44645 총구를 얼굴 쪽 돌렸을때 '탕'…임용 1년 순경 총기훈련 참극 랭크뉴스 2025.04.16
44644 부산경찰기동대 사격훈련 중 오발 사고…대원 1명 중태 랭크뉴스 2025.04.16
44643 부산경찰청 사격 훈련중 총기 사고…머리 다친 순경 1명 중태(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16
44642 경호처, 대통령실 압수수색 불허…경찰과 5시간째 대치 중 랭크뉴스 2025.04.16
44641 “5400만원 에르메스백, 사실 원가는 200만원”… 중국발 폭로전 잇따라 랭크뉴스 2025.04.16
44640 스테이블코인, 관세전쟁 선포한 미국의 마지막 달러 방어선[비트코인 A to Z] 랭크뉴스 2025.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