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국토안전관리원, 장심도 장비 도입 검토
현 장비로는 지하 탐지 범위 2m뿐
장심도 장비 성능 검증 되지 않아
대형 싱크홀 예방 장비 전혀 없어

지난달 28일 서울시 강동구 명일동 싱크홀 사고 현장./연합뉴스

지반침하(싱크홀) 사고를 예방하는 역할을 하는 국토안전관리원이 올해 최대 20m 깊이의 지하까지 탐지할 수 있는 ‘장심도 장비’ 도입을 검토했으나 무산된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국토안전관리원이 가진 장비로 탐지할 수 있는 땅 속 깊이는 2m에 불과하다. 최근 서울시 강동구 등 대형 싱크홀 발생이 늘어나고 있지만 현 장비로는 이 같은 싱크홀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14일 조선비즈가 입수한 국토안전관리원의 2025년 국회 업무보고 자료에 따르면 이 공사는 올해 초 지반 탐사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장심도 도로지반조사 장비를 도입한다는 내용을 주요 추진 업무계획에 포함했다.

기존 도로지반조사 장비의 투과 범위는 2m다. 그러나 장심도 장비는 투과 범위가 2~20m에 달해 보다 깊은 땅 속 공간을 사전에 탐지할 수 있다. 장심도 장비를 도입하면 기존에는 발견하지 못했던 깊이의 싱크홀을 사전에 탐지할 수 있게 된다.

국토안전관리원은 해마다 싱크홀 사고가 발생하자 지하공간의 안전 관리를 강화하기 위한 차원에서 이러한 장비 도입을 검토했다.

국토안전관리원의 2025년 국회 업무보고 중 주요 업무 추진계획.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그러나 국토안전관리원이 계획한 장심도 장비 도입은 무산됐다. 국토안전관리원 관계자는 “올해 초 분석 결과 장심도 장비를 도입하기 어렵다는 판단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국토안전관리원은 장심도 장비가 어렵게 된 이유에 대해 따로 설명하지 않았다.

다만, 국토안전관리원의 이 같은 결정은 장심도 장비 자체의 성능 검증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장심도 장비 자체가 성능 검증이 안 된 상태로 알고 있다”며 “장비 도입의 필요성을 검토하는 게 우선이지만, 기술적으로도 검토할 부분이 많아 (장비 도입까진)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했다.

장심도 장비 도입이 장기화되면서 대형 싱크홀에 대한 사전 예방도 한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국토안전관리원이 보유 중인 GPR(지표투과레이더) 장비는 단 10대 뿐이다. 이 장비가 탐사할 수 있는 땅 속 깊이도 2m에 그친다. 대형 싱크홀에 대한 사전 탐지 장비는 없는 상황이다. 그러다 보니 지난달 24일 서울시 강동구 명일동에서 발생한 대형 싱크홀 역시 3개월 전 사전 탐사가 진행됐지만, 이상 징후는 확인되지 않았다. 명일동 싱크홀의 규모는 가로 18m, 세로 20m, 깊이 18m였다.

더불어민주당 장철민 의원실에 따르면 국토안전관리원이 운용 중인 장비는 10대 중 차량형 장비는 탐사 깊이 1.5~1.8m, 보도용은 0.6~1.5m, 수동형 장비는 0.1m 내외에 그친다. 싱크홀은 2023~2024년 전국적으로 264건 발생했다.

그러다 보니 국토안전관리원이 지자체의 점검 요청에도 점검을 완료하는 데까지 걸리는 기간도 평균 4개월에 달한다. 2023년 평균 점검 소요 기간은 157일, 2024년에도 120일이 걸렸다.

한편, 국토안전관리원은 ‘국토안전실증센터’ 설립을 추진해 싱크홀 예방 등에 필요한 진단장비의 신뢰성을 확보할 예정이다. 국토안전실증센터에서 장심도 장비에 대한 성능 검증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국토안전관리원은 올해 국토안전실증센터 건립을 위한 작업에 돌입했다. 올해 하반기까지 국토안전실증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고도화에 대한 용역을 추진할 계획이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106 안철수 "조선제일검 한동훈, 이재명에 가장 쉬운 상대" 왜 랭크뉴스 2025.04.15
44105 대선 경선 레이스 돌입…주자들 각축전 속 잰걸음 랭크뉴스 2025.04.15
44104 ‘방첩사 계엄 문건’ 알고 보니 北해킹 메일…120명 털렸다 랭크뉴스 2025.04.15
44103 中 3월 수출 12.4%↑…”관세 부과 전 주문으로 일시적 급등” 랭크뉴스 2025.04.15
44102 '불출석 패소' 권경애 변호사 "기사화했으니 각서 무효"‥유족 측 "조건 없었다" 랭크뉴스 2025.04.15
44101 "미국에 700조 투자"...엔비디아 '반도체 1위' 굳힌다 랭크뉴스 2025.04.15
44100 美 민감국가 지정 못 피한 정부 "교섭 지속…시간 필요할 듯" 랭크뉴스 2025.04.15
44099 美 '韓 포함 민감국가 리스트' 발효…과학·산업협력 차질 우려 랭크뉴스 2025.04.15
44098 ‘이완규·함상훈 지명철회 촉구 결의안’ 국회 운영위 통과 랭크뉴스 2025.04.15
44097 [속보] 용인 아파트서 일가족 추정 5명 살해 혐의 50대 검거 랭크뉴스 2025.04.15
44096 尹 ‘다 이기고 돌아왔다’ 발언에 전한길 “예수님 같다” 랭크뉴스 2025.04.15
44095 용인 아파트서 일가족 추정 5명 숨진 채 발견…살인 혐의 50대 체포 랭크뉴스 2025.04.15
44094 [단독] '청부 민원' 류희림, 계엄 뒤 휴대폰 2번 교체‥'왜 바꿨냐' 물었더니 랭크뉴스 2025.04.15
44093 “이재명 땡큐”… 주가 2배 뛰자 딱 45억원어치만 주식 판 코나아이 대표 랭크뉴스 2025.04.15
44092 "얼마나 맛있길래"…1억개 팔린 이장우 호두과자, '성심당 본진' 진출 랭크뉴스 2025.04.15
44091 “이재명은 실용주의자, 한동훈과 달라” 윤 멘토 신평의 변심? 랭크뉴스 2025.04.15
44090 한동훈 "성장하는 중산층 시대 만들 것… AI 200조 투자 제안" 랭크뉴스 2025.04.15
44089 "공보의 대신 군대 간 의대생 1천900명…의정갈등 중 입대 10배" 랭크뉴스 2025.04.15
44088 박지원 "김두관 경선 불참, 김경수 때문… 한덕수 땜빵론은 '윤건희' 작품" 랭크뉴스 2025.04.15
44087 이륙 준비 중 승객이 갑자기 비상문을…제주공항서 항공기 결항, 100여명 불편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