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해양생물을 넘어 인간까지 위협하는 바닷속 '죽음의 덫' 폐어구.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폐어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특단의 대책을 시행합니다.

해양수산부는 오늘(14일) 폐어구 예방 대책을 담은 수산업법 일부 개정안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9월 한덕수 국무총리가 폐어구 예방 정책을 발표한 지 7개월 만에 이뤄진 후속 조치입니다.

제주 바다에 있는 가시수지맨드라미가 버려진 어구에 걸려 있는 모습

■ 수산업법 개정안에 담긴 내용은?

먼저 불법 어구를 즉시 치울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됐습니다.

바다에 방치된 불법 어구는 소유주를 알 수 없어 곧바로 철거할 수 없었습니다. 행정대집행법 절차를 지켜야 해서 수거하는 데 수개월이 걸리고, 이 과정에서 어구가 조류에 의해 유실되는 악순환이 잇따랐습니다.

해수부는 행정대집행법상 특례제도를 통해 불법 방치 어구를 현장에서 즉시 철거할 수 있도록 제도를 보완했습니다. 어구실명제를 지키지 않거나 조업 금지 구역에 설치된 어구 등도 철거 대상에 포함됩니다.

또 앞으로 통발이나 자망, 안강망 등 폐어구 발생량이 많은 특정 어업 종사자의 어구 사용 기록도 의무화됩니다. 어구를 해상에 불법 투기하거나 육상에 무단 방치되는 폐어구를 막기 위한 조치입니다.

이에 따라 해당 어업 종사자는 어구의 사용과 보관, 폐기와 유실 현황을 기록한 '어구관리기록부'를 작성해야 하고, 이를 어선에 두고 최소 3년간 보관해야 합니다.

우리나라 앞바다에서 조업하는 연근해 주요 업종의 연간 어구 사용량은 16만 9,000여 톤에 이른다. 유실률은 24.8%. 어구 4개 중 하나는 바닷속으로 사라지고 있다.

일정 규모 이상의 어구를 잃어버렸을 때 신고를 의무화하는 '유실어구 신고제'도 시행됩니다.

예를 들어 통발 10개 이상, 그물 20m 이상 등 일정 기준이 넘는 어구를 잃어버렸을 때 어업인은 반드시 해수부・지자체 또는 해양경찰청장에게 신고해야 합니다. 이는 바닷속 침적 폐어구를 예방하고 효율적인 수거를 위한 대책입니다.

어구관리기록과 유실어구 신고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엔 1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개정된 수산업법은 공포 후 1년 이후 본격적으로 시행될 예정입니다.

강동양 해수부 어구순환정책과장은 "앞으로 어업인 등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기준을 정하고, 교육과 홍보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해수부, 수협중앙회는 다음 달 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대학생과 전문가, 지자체와 어업인, 어구 생산업체 등 200여 명을 대상으로 새롭게 마련된 어구관리정책 등을 설명하는 자리도 마련합니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개정된 법률이 원활하게 시행될 수 있도록 하위법령을 적기에 마련해 불법 어구 문제를 더욱 적극적으로 해결할 것"이라며 "해양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수산업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2023년 11월 제주 해상에서 발견된 새끼 남방큰돌고래의 모습. 여러 구조 시도 끝에 어구 일부를 제거했지만, 1년 반이 흐른 지금도 여전히 폐어구가 달린 채 고통받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버려진 어구에 걸려 죽는 이른바 '유령어업'으로 인한 피해는 연간 4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최근 5년간 어선과 선박에 어구가 걸리는 등의 부유물 감김 사고도 1,800건에 이르는 등 폐어구는 해양생물을 넘어 인간의 생명까지 위협하는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폐어구 관련 다큐멘터리 다시 보기]

[시사기획 창] 죽음의 바당 1부 ‘숨’ (2024.09.10)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8056543

[시사기획 창] 죽음의 바당 2부 ‘덫’ (2024.09.24)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8066342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133 방언 터진 김문수 “박정희 땐 누가 죽진 않았잖아…광화문에 동상 세워야” 랭크뉴스 2025.04.15
44132 경찰, '남양주 초등생 뺑소니' 50대 남성 음주 운전 정황 포착 랭크뉴스 2025.04.15
44131 ‘관세 주도’ 미국 재무장관 “한국도 다음주 협상…이득은 타결순” 랭크뉴스 2025.04.15
44130 '불출석 패소' 권경애 "기사화했으니 각서 무효"‥유족 측 "조건 없었다" 랭크뉴스 2025.04.15
44129 용인 아파트서 일가족 추정 5명 살해 혐의 50대 검거 랭크뉴스 2025.04.15
44128 박지원 “한덕수, 온실 속 난초같이 자란 사람…땜빵 주자 될 듯” 랭크뉴스 2025.04.15
44127 [속보] 트럼프2기 美전략폭격기 한반도 두번째 전개…한미 연합공중훈련 랭크뉴스 2025.04.15
44126 '일가족 추정 5명 살해 혐의' 50대 남성 검거‥남성의 누나가 119 신고 랭크뉴스 2025.04.15
44125 음주운전 현장서 피의자 대신 동료 팔 꺾은 경찰관 고소당해 랭크뉴스 2025.04.15
44124 용인 아파트서 '일가족 5명 살해' 혐의 50대男 검거 랭크뉴스 2025.04.15
44123 "외국인이 몰래 음식물 내다 버려" 악취 진동하는 이 동네, 뭔일 랭크뉴스 2025.04.15
44122 국힘 주자들, 저마다 '반명 빅텐트'…각론서 주도권 신경전 랭크뉴스 2025.04.15
44121 100번째 신통기획 주인공은 '둘리' 배경 쌍문동…1900세대 탈바꿈[집슐랭] 랭크뉴스 2025.04.15
44120 '시신 지문으로 대출'... 김천 오피스텔 살인범 양정렬, 1심서 무기징역 랭크뉴스 2025.04.15
44119 용인 아파트서 일가족 추정 5명 '타살' 정황…50대 용의자 검거 랭크뉴스 2025.04.15
44118 지라시에 떠는 다주택자…탄핵 이후 부동산 향방은?[비즈니스 포커스] 랭크뉴스 2025.04.15
44117 이륙 직전 항공기에서 승객이 비상구 열어 ‘아찔’ 랭크뉴스 2025.04.15
44116 국민의힘 “민생만 생각할 때… 민주당, 12兆 추경안 협력해야” 랭크뉴스 2025.04.15
44115 [단독]이번엔 중랑구청 근처에 싱크홀…“정확한 원인 파악중” 랭크뉴스 2025.04.15
44114 용인 아파트서 ‘5명 살해’ 혐의 50대 남성 검거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