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명일동, 아현동, 부산사상 등에서 싱크홀
고도화·지상공간 포화로 굴착공사 늘어
시민 80% "싱크홀 피해자 될 수 있어"
전문가 "지반굴착 기술 등 고도화해야"
30대 오토바이 운전자의 목숨을 앗아간 대형 싱크홀이 발생한 서울 강동구 명일동은 2년 전 서울시 용역 보고서에서 '요주의 지역'으로 꼽힌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서울시민의 절반 이상이 싱크홀에 대해 ‘매우 불안하다’고 우려했다. 그냥 ‘불안하다’고 응답한 비율까지 합하면 서울시민의 95% 이상이 싱크홀을 일상의 재난으로 받아들이고 있어 이에 대한 대비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4일 주요 지자체에 따르면 지난달 24일 서울 강동구 명일동에 가로 18m, 세로 20m, 깊이 18m의 싱크홀이 발생한 것을 비롯해 최근 20여일 사이에 발생한 싱크홀만 여럿이다.

실제 이달 13일 오전에는 부산 사상구 학장동 도시철도 공사 현장에서 가로 5m, 세로 3m, 깊이 4.5m의 싱크홀이 발생했으며 같은 날 서울 마포구 아현동 애오개역 2번 출구 근처에서는 깊이 1.3m의 싱크홀이 발견됐다. 이달 11일 경기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 현장이 붕괴된 것 또한 지반 침하에 따른 싱크홀과 관련이 깊어 싱크홀 피해 사례가 늘고 있는 추세다.

소방청에 따르면 이 같은 싱크홀 사고는 얼었던 땅이 녹으며 지반이 약해지는 2~3월에 집중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해가 갈수록 늘고 있다. 2~3월에 발생한 지반약화 사고는 2022년 15건에서 2023년 33건, 2024년 46건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이 같은 싱크홀 발생 이유에 대해 난립하는 도심 지하 개발을 이유로 꼽는다. 연구원 측은 보고서를 통해 “도심지 포화로 전세계적으로 지하공간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굴착공사는 지상 및 지하의 굴착 인접 구조물에 의한 다양한 굴착공법으로 시공이 주로 이뤄지고 있다”며 “이러한 굴착공사 중 시공 부주의나 시공기술 미흡, 지하수 유출, 급격한 지층의 변화에 대응 실패, 토류 시스템 구성품의 문제 등으로 인해 각종 지반함몰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시민들의 불안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경기개발연구원이 몇년 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시민의 94.8%가 이 같은 싱크홀에 대해 ‘불안’ 또는 ‘매우 불안’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싱크홀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는 응답자 비중은 무려 96.8%에 달했으며 79.8%는 본인이 싱크홀의 피해자가 될 수 있다 우려했다. 우리 사회의 가장 위협이 되는 재난으로는 홍수 및 태풍(38.9%)에 이어 싱크홀(29.6%)이 2위를 기록하는 등 싱크홀이 기존 재난 보다 일상을 더욱 위협하는 모습이다. 무엇보다 최근 몇년새 싱크홀 사례가 더욱 늘어났다는 점에서 싱크홀에 대한 시민들의 우려는 더욱 커졌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싱크홀 관련 우려는 해외에서도 종종 보고된다. 미국 휴스턴에서는 지하수 사용량 급증으로 약 830만㎡에 걸쳐 30cm 이상 지반 침하가 발생했다. 일본의 경우 도시용수로 지하수를 상당부분 이용해 도쿄, 오사카 등에서 연간 5cm 이상 지반 침하 발생이 보고 중이다. 일본 전국으로 확대해 봐도 7개 지역에서 2㎢에 걸쳐 연간 2㎝ 이상 지반침하가 발생하는 등 싱크홀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결국 싱크홀 발생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굴착 공사 등을 보다 안전하고 규정에 맞게 진행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보고서는 “소규모 지반함몰은 상하수도 등 시설물 유지관리가 주된 원인이나 대규모 지반함몰은 굴착공사가 큰 원인”이라며 “도심지 고도화와 지상 공간 포화로 지하공간 개발은 필수이나 지반함몰 현상 등으로 국민 안전이 심각히 우려된다”고 밝혔다.

이어 “도심지 지반굴착에 따른 피해를 줄이기 위해 관련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위험성을 예측 및 평가하기 위한 요소기술의 개발 외에 관련 설계 및 시공기준 정립이 요구된다”며 “주변 지반 거동과 지하매설물을 고려한 굴착공법이 요구되는 한편 도심지 지하굴착 공사 현장에서 발생하는 지하수 유입을 미연에 차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굴착공사 및 지중구조물의 노후화에 기인한 지반함몰이나 소규모 공동 발생을 방지하는 보수보강 기술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302 한덕수, ‘천원 백반' 식당에 편지·식재료 후원 랭크뉴스 2025.04.15
44301 '연판장 사퇴' 요구받은 김성훈 경호처 차장 사의 랭크뉴스 2025.04.15
44300 이재명 "정치보복 안 할 것"‥민주당 3파전 속 27일 최종 후보 선출 랭크뉴스 2025.04.15
44299 미국이 짠 협상판, 덥석 문 한덕수…실익 없는 졸속 협상 우려 랭크뉴스 2025.04.15
44298 한덕수 차출론에 이어 '빅텐트론'‥경선 시작부터 자중지란? 랭크뉴스 2025.04.15
44297 국민의힘 대선 경선 11인 뛰어들었다… 한덕수 불참 랭크뉴스 2025.04.15
44296 일가족 5명 살해 50대 용인으로 호송…범행동기 수사 랭크뉴스 2025.04.15
44295 중국식 돼지빌딩 추진 충남도에···"전염병 돌면 대학살의 공간" 동물단체 전면 폐지 촉구 랭크뉴스 2025.04.15
44294 코 푼 휴지 1장에 딱 걸렸다…"평택 폭파" 간첩단 왕재산 계획 랭크뉴스 2025.04.15
44293 이재명 “인생사에 보복한 적 없어… 단 계엄 책임은 물어야” 랭크뉴스 2025.04.15
44292 [단독] 고용부, ‘광명 붕괴 사고’ 8시간 전에 ‘작업중지 권고’ 랭크뉴스 2025.04.15
44291 베란다 문 잠겨 18시간 갇힌 할머니…'필사의 SOS' 알아챈 경찰 랭크뉴스 2025.04.15
44290 다음 주 통상 협상 테이블 앉는 韓美 사전회의 착수… ‘알래스카 LNG’ 수입으로 상호관세 낮출까 랭크뉴스 2025.04.15
44289 “인류애 충전 완료”…가게 앞 무거운 택배 옮겨준 중학생 [이슈클릭] 랭크뉴스 2025.04.15
44288 민주당 ‘3파전’ 국힘 ‘5파전’ 경선 대진표 완성 랭크뉴스 2025.04.15
44287 “나라 다쳐 마음 아파” 캄보디아 이주민들, 축제 대신 산불 성금 랭크뉴스 2025.04.15
44286 이재용, 中 출장 효과…세계 1위 전기차 BYD 핵심부품 뚫었다 랭크뉴스 2025.04.15
44285 일본, 미국에 "한반도·남동중국해 '하나의 전쟁구역'으로" 제안 랭크뉴스 2025.04.15
44284 나라 경제야 어떻게 되든 말든…[그림판] 랭크뉴스 2025.04.15
44283 증명서 떼러 경찰서 갔다가…살인미수 피의자 16년 만에 덜미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