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尹 “평화적 대국민 메시지 개념” 입장 되풀이
체포명단 관여도 부인 “보도 보고 장관에게 들어”
오후 재판에서 모두 진술 재개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월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탄핵심판 4차 변론기일에 출석한 모습. 사진공동취재단

윤석열 전 대통령이 14일 내란 혐의 첫 공판에서 “몇 시간 만에 비폭력적으로 국회 해제 요구를 즉각 수용한 사건을 내란으로 구성했다는 것 자체가 법리에 맞지 않는다”며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또 계엄을 2024년부터 사전 모의했다는 검찰 주장에 대해 “좀 코미디 같은 얘기”라고 주장했다.

그는 검찰 공소사실에 대해 “수사 초기 겁먹은 사람들이 진술한 부분들이 검증 없이 많이 반영됐다”는 입장도 밝혔다. 군 지휘부 등의 진술이 사실과 다른 점이 많고, 평화적 계엄이라 내란이 아니라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 한 것이다.

윤 전 대통령은 서울중앙지법 형사25부(재판장 지귀연) 심리로 열린 첫 공판에 출석해 오전에만 약 42분간 직접 모두 진술을 하며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윤 전 대통령은 “과거에 저도 여러 사건 하면서 12·12나 5·18 내란 사건의 공소장과 판결문을 분석했지만 이렇게 국회 해제 요구를 즉각 수용한 사건을 내란으로 구성한 건 법리에 맞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윤 전 대통령은 우선 지난해 3월말~4월초 삼청동 안가 모임과 관련해 “내란 모의라고 구성하는 것은 말이 안 되는 것”이라며고 했다. 그는 당시 안가 모임에 대해 “문재인정부 시절 방첩사령부 베테랑 수사관을 쫓아내고 방산 정보 유출이 굉장히 취약한 상태가 됐다”며 “대통령 취임 후 방첩사령부 보강을 긴급 지시하고 국정원이 적극 지원하라고 했는데, 이날은 이 (논의) 자리였다”고 했다.

윤 전 대통령은 또 신원식 전 국방부 장관 후임으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임명한 것에 대해 계엄 준비 과정이 아니었다고 주장했다. 안보실 강화 차원에서 이명박·박근혜 정부 당시 국방장관이 안보실장으로 들어오는 관행에 따라 신 전 장관을 국가안보실장으로 임명했고, 정부 초기 국방장관으로 임명하려 했던 김 전 장관을 국방장관으로 임명했다는 것이다. 윤 전 대통령은 계엄과 관련해 준비 작업을 했다는 공소사실을 부인하면서 “계엄이라는 것은 어떤 상황을 예정해서 늘상 준비를 해야 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윤 전 대통령은 “이런 것을 사전 모의라고 해서 2024년 봄부터 그림을 쭉 그렸다는 것 자체가 좀 코미디 같은 얘기”라고 했다. 이어 “투입 병력이나 무장 병력 이러는데 저는 군인들은 실탄 지급 절대하지 말고 실무장 아닌 상태로 투입하되 민간인과 충돌 피하라고 지시했다”며 “평화적인 대국민 메시지 개념”이라고 주장했다.

“노상원이라는 사람 전혀 아는 바 없어”

윤 전 대통령은 선거관리위원회 장악을 모의한 혐의를 받는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에 대해서는 “전혀 아는 바가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계엄이란 건 대통령이 결정해야 하는 것”이라며 “김 전 장관에게 ‘한번 상황을 보고 감사원장 탄핵 발의를 안 하면 없었던 일로 하자’ 하면서 (계엄을) 준비시킨 것이라는 점 말씀드린다”고 덧붙였다.

윤 전 대통령은 선거관리위원회 군 투입에 대해서는 “정보사가 투입됐다는 건 보고받지 못했고 언론보도를 보고 알게 됐다”며 책임을 회피했다. 그는 “선관위 전산시스템이 어떻게 구성돼 있고 어떤 메커니즘으로 작동하는지 봐라 이렇게만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윤 전 대통령은 이른바 정치인 체포 명단에 대해서도 구체적 지시 여부를 부인했다. 그는 “보도가 나와서 장관에게 물어봤다”며 “방첩사령관이 누구를 체포해달라는 것이 아니라 수사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에 대한 위치파악이 가능하냐고 물어보면서 명단을 줬다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경찰청장이 검토해보겠다고 한 후 조금 이따 전화와서 영장 없이 할 수 없어 불가능하다고 통보했다는 걸 저도 장관에게 들었다”고 주장했다.

윤 전 대통령은 “계엄이 반나절에서 하루이상 지속될 수 없다고 봤다”며 “검경에서도 파견받고 방첩사에서 수사요원들 구성돼서 만들어져야 하는데 전혀 만들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몇시간 만에 계엄이 해제됐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고 주장했다.

윤 전 대통령의 오전 재판 모두 발언은 일단 중단됐고, 오후 재판에서 재개될 예정이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907 음주운전·불법숙박업 혐의 문다혜씨 오늘 1심 선고 랭크뉴스 2025.04.17
44906 “한화, 삼성 다 막혔는데 여긴 왜?” 이재명 테마株 속전속결 유증심사 통과 논란 랭크뉴스 2025.04.17
44905 파월 "관세로 물가 오르고 성장 둔화…정책목표 달성 힘들 수도" 랭크뉴스 2025.04.17
44904 대전협 박단 “결국 정부가 해결해야···필수의료 동료들 돌아갈 환경 조성이 중요” 랭크뉴스 2025.04.17
44903 불출마 뒤 몸값 뛰는 오세훈… 국힘 경선 주자들 문전성시 랭크뉴스 2025.04.17
44902 국가성평등지수 65.4점…양성평등의식 약화에 첫 '후퇴' 랭크뉴스 2025.04.17
44901 윤석열 11%? 40%? 여론조사 어디까지 믿어야 할까···제대로 보는 법 총정리 랭크뉴스 2025.04.17
44900 "반수 제한" 초강수 전국 로스쿨…'두자릿수 성장' 사교육은 급팽창 랭크뉴스 2025.04.17
44899 [단독] 인구 비슷한 TK와 호남, 경선 반영은 3배 차이... 국민의힘 여론조사 왜곡? 랭크뉴스 2025.04.17
44898 처자식 죽이고도 집유? 살인피해자의 31%인데 가중처벌 없다 랭크뉴스 2025.04.17
44897 홈플러스·발란·JDX 다음은 누구…기업들 돈줄이 말라붙었다 [돈줄 가뭄] 랭크뉴스 2025.04.17
44896 [이슈 In] '11年 담배소송' 항소심 내달 마지막 변론…누구 손 들어줄까 랭크뉴스 2025.04.17
44895 수업 도중 “싱싱할 때 애 낳아라”…서울시교육청, 성희롱 교사 징계 요구 랭크뉴스 2025.04.17
44894 [오늘의 운세] 4월 17일 목요일 랭크뉴스 2025.04.17
44893 이준석 "계엄 옹호세력과 빅텐트? 이재명 막는데 비효율" [대선주자 릴레이 인터뷰②] 랭크뉴스 2025.04.17
44892 '돈세탁 실형' 페루 前대통령 부인 망명…도피 논란 랭크뉴스 2025.04.17
44891 트럼프, 일본과 관세·방위비 패키지딜 시사…내주 한국에도 꺼내나 랭크뉴스 2025.04.17
44890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 오늘 발표…증원 前 '3천58명' 유력 랭크뉴스 2025.04.17
44889 [사설] 헌법재판관 지명 효력 정지… 한 대행, 국정 안정에 힘쓰길 랭크뉴스 2025.04.17
44888 커져가는 싱크홀 불안에 …서울시, 지하 조사 장비 추가로 들인다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