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6년까지 500억 규모… 성장 가능성 커
방사청, 성능 중심 평가 방식 적용하고도
최고성능 검증 기준 명시 안 해 갈등 야기
실물 평가서 서류 상 성능 초과해도 미반영
"실물 평가 왜 하나" vs "법에 기준 명시"
3월 12일 경기 파주시 무건리 훈련장에서 2025 자유의 방패(FS) 연합연습의 일환으로 실시된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활용 한미연합 대량살상무기(WMD) 제거훈련에서, 25사단 장병들과 다목적 무인차량이 장애물을 개척하며 전진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500억 원 규모의 '다목적 무인차량' 사업이 시작부터 공정성 시비에 휘말렸다. 최고 성능을 조건으로 내걸었던 방위사업청이 입찰 도중 "실물 평가보다 서류 평가를 우선하겠다"고 통보하면서다. 방사청은 애초 명확한 평가방식을 제시하지 않았다. K방산 미래 경쟁력의 시금석으로 꼽혀온 지상무인체계의 첫 단계부터 논란을 자초했다.

방사청은 지난해 4월 사업을 발주하며 목표시한을 2026년으로 잡았다. 다목적 무인차량은 군인 대신 감시·정찰·전투·물자이송의 다양한 작전을 수행하는 플랫폼으로, 육군이 처음 전력화하는 무인체계다. 첫 양산규모는 500억이지만, 후속사업과 해외시장까지 고려하면 파급력이 상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방사청은 '가격'보다 '성능'에 초점을 맞췄다. 통상 군이 요구하는 최소 성능만 충족하면 가격이 저렴한 쪽을 택하지만, 이번에는 성능이 좋은 쪽에 가점을 주도록 했다. 과거 흑역사를 감안한 조치다. 2020년 이 무기체계의 시범업체를 정하는 과정에서 최소 요건을 갖춘 두 업체가 입찰가로 모두 '0원'을 써내 사업자를 '가위바위보'로 정한 전례가 있다.

하지만 방사청이 '최고 성능' 검증 방법을 명시하지 않아 혼선을 빚었다. 국내 방산업체 A, B사는 각각 다른 환경과 조건에서 성능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제안서에 담았다. 제안서 평가 이후 '실물 평가'를 통해 속도, 탑재 중량 등 6개 항목을 실제로 검증하는 단계가 남았기 때문에 별문제가 없을 줄 알았다.

그런데 실물 평가 기준을 제시하지 않았던 방사청은 지난달 말 돌연 서류 평가를 우선한다고 밝혔다. 실물 평가를 하되 기존 제안서에 담긴 내용보다 성능이 안 좋게 나올 경우에만 반영하겠다는 것이다. 가령, 제안서에 최고 시속 40㎞라고 기재된 제품의 성능을 실제로 측정해 최고 시속 60㎞가 나와도 인정하지 않겠다는 논리다. '성능'을 강조한 이번 사업의 성격에 부합하지 않는 방식이다. 제안서상 수치는 A사가 높게 나왔는데, 이는 더 유리한 환경에서 측정한 영향이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애당초 경쟁 자체가 공정하지 않았다고 볼만한 대목이다.

한 방산업계 관계자는 13일 "방사청 주장대로라면 최고 성능 확인을 위한 실물 평가를 왜 하는지 모르겠다"며 "애초에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지 않은 방사청이 협상을 앞두고 특정 업체에 유리한 평가 방식을 일방적으로 통보하는 것은 본래 사업 취지에 역행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반면 A사는 "법령상에 '현장 확인 결과가 제안서 내용보다 높은 수준일 경우 제안서 내용을 기준으로 평가한다'고 명시돼 있다"며 "오히려 제안서 제출 마감 후 내용 변경을 엄금하고 있는 취지를 고려하면, 특정 업체에 유리하도록 절차를 바꿀 경우 국방 획득 사업 전반에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엄효식 국방안보포럼 사무총장은 "이번 문제는 방사청이 애초에 평가 방식과 기준을 명확히 하지 않아 촉발된 것"이라며 "어느 한 쪽이 패하면 큰 법적 다툼으로 번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같은 논란에 대해 방사청은 "공정한 평가가 될 수 있도록 기준과 방법, 절차 등을 심도 있게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942 내년 의대 모집인원 '3058명 동결' 유력…교육부 오늘 발표 랭크뉴스 2025.04.17
44941 英대법 “법적 ‘여성’은 생물학적 여성으로 태어난 사람” 랭크뉴스 2025.04.17
44940 민주당, 오늘 명태균 특검법·내란 특검법·상법 개정안 등 재표결 시도 랭크뉴스 2025.04.17
44939 ‘韓 재판관 지명’ 헌재가 직접 제동… 대선 차출론에도 영향? 랭크뉴스 2025.04.17
44938 [인터뷰] 나경원 "韓대행은 결국 용병…대권 욕심에 국익 망쳐선 안돼" 랭크뉴스 2025.04.17
44937 ‘한덕수 대망론’ 커지는데…재판관 지명 효력정지에 당혹스러운 국민의힘 랭크뉴스 2025.04.17
44936 한국 컨소시엄, '원자력 종주국' 美에 연구용 원자로 설계 첫 수출 랭크뉴스 2025.04.17
44935 트럼프, 일본 관세담당 각료 면담‥본협상 하기도 전에 "큰 진전" 랭크뉴스 2025.04.17
44934 17㎞ '롱 비치' 몽땅 내것 된다…나트랑 옆 숨은 보석의 발견 랭크뉴스 2025.04.17
44933 엔비디아 '700조 읍소'에도 中수출 막았다…트럼프 안봐준 이유 랭크뉴스 2025.04.17
44932 [속보] “협상 큰 진전” 트럼프, 일본 관세협상단 만나 랭크뉴스 2025.04.17
44931 러브버그·팅커벨은 착한 곤충···'사람 불편'하다고 잡다가 생태계 무너질라 [위기의 도심동물들] 랭크뉴스 2025.04.17
44930 트럼프 "일본 통상대표단과 회담…큰 진전있었다" 랭크뉴스 2025.04.17
44929 트럼프, 일본과 본격 협상도 전에 “큰 진전”···일 대표단 면담 랭크뉴스 2025.04.17
44928 [속보] 트럼프, 美·日 관세 협상에 “큰 진전” 랭크뉴스 2025.04.17
44927 나이 탓 아니었다…숨차고 오래 가는 기침, 알고보니 ‘이 병’[헬시타임] 랭크뉴스 2025.04.17
44926 [속보] 미일 관세 협상 시작…트럼프 "큰 진전이다" 랭크뉴스 2025.04.17
44925 ‘간첩을 간첩이라 못 부르는’ 형법…전투기 무단 촬영에도 간첩죄 적용 ‘불가’[이현호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4.17
44924 트럼프, 日관세담당 각료와 면담…본협상 하기도 전에 "큰 진전" 랭크뉴스 2025.04.17
44923 "가장 폭력적인 사람은?" ①이재명 ②김문수...편향 질문 판쳐도 "심의 대상 아냐"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