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13일 세종시청에서 제21대 대통령선거 출마를 선언했다. [뉴스1]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13일 세종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행정수도를 세종시로 완전히 이전하겠다”는 공약을 내걸며 21대 대통령선거 출마를 선언했다. 김 전 지사는 재임 당시 행정수도 이전 등 지방 분권을 추진했던 노무현 전 대통령의 비서관 출신이다. 김 전 지사는 “수도권 일극이 아니라 전국을 5대 권역으로 나눠 5개의 성장축을 만들어야 한다”며 “연방제 수준의 지방자치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전 지사는 “대선 이후 400일간의 사회적 공론화와 숙의를 거쳐 다음 (내년) 지방선거에서 개헌이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다만 “개헌은 헌정 수호 세력의 단단한 연대와 연합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전 지사의 출마 선언으로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경선은 이재명 전 대표, 김동연 경기지사, 김두관 전 의원, 김 전 지사 4파전이 됐다. 전재수 의원은 이날 “정권 교체에 제 역할을 다하겠다”며 불출마를 선언했다. 앞서 김부겸 전 국무총리와 박용진 전 의원도 불출마 뜻을 밝혔다.

민주당 경선 대진표가 마무리되고 있는 가운데 민주당 대선특별당규 준비위원회는 지난 12일 권리당원(최근 6개월 이상 당비 납부) 투표 50%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로 대선후보를 선출하는 특별당규를 제정하기로 했다. 당원 주권 강화와 역선택 방지를 위해서다. 권리당원이 아니면 민주당 경선에서 직접 투표권을 행사할 수 없는데, 15대 대선(1997년) 이후 처음이다.

민주당은 18~20대 대선 경선 땐 완전국민경선제를 택했다. 당원과 일반 유권자 상관없이 경선 선거인단에 참여할 수 있는 제도로, 당원의 1표가 일반 유권자 1표와 같은 가치를 갖는다. 당원 중심주의를 훼손한다는 비판도 있지만, 국민의 의사를 반영할 수 있고 경선 흥행도 노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선택된 제도다.

그러나 이재명 전 대표는 완전국민경선 때문에 일격을 당한 경험이 있다. 2021년 대선 경선 당시 이낙연 후보를 넉넉히 앞서다 10월 10일 3차 경선에선 이낙연 후보(62.37%)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득표율(28.30%)을 기록했다. 당시 이 전 대표 측은 “특정 종교집단이 완전국민경선에 개입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경선 룰 변경에 비명계 후보들은 반발했다. 김동연 지사는 13일 “들러리 경선, 의미 없는 경선으로 가는 것 같아 대단히 유감”이라고 밝혔다. 김경수 전 지사는 출마 선언 직후 “좀 더 많은 민주당 당원들이 경선에 참여할 수 있도록 고려해 달라는 의견을 당에 전달했었다”고 말했다. 김두관 전 의원도 전날 “일방적인 결정”이라며 반발했다. 하지만 친명계 초선의원은 “역선택 논란 등 경선 과정 잡음이 없는 게 본선에 더 낫다”고 설명했다. 경선 룰은 14일 당 최고위원회 의결 등을 통해 확정될 예정이다.

한편 조국혁신당은 13일 “내란 완전 종식과 민주 헌정 수호 세력의 압도적 정권 교체를 위해 독자 후보를 선출하지 않고 야권 유력 후보를 총력 지원하는 선거연대를 의결했다”고 밝혔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985 “한 입 먹고 버리더라”…9,900원 빵 뷔페, 음식 낭비 논란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4.15
43984 이재명 첫 공약은 '인공지능'‥김두관 경선 '이탈' 랭크뉴스 2025.04.15
43983 박수영 "국힘 의원 54명 한덕수 출마 촉구 확인... 분위기 달라져" 랭크뉴스 2025.04.15
43982 “자동차 미국 생산에 시간 걸려”…트럼프, 이번엔 차 부품 관세 뒤집나 랭크뉴스 2025.04.15
43981 [속보]美재무 "한국과 내주 무역 협상…먼저 합의하는 국가가 유리" 랭크뉴스 2025.04.15
43980 관식의 헌신적 사랑, 현실에서 가능할까... 오히려 자녀에겐 독 랭크뉴스 2025.04.15
43979 “여직원들 끌어안고” 폭로에…고창군의원 “사과했다”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4.15
43978 "외투기업 알맹이 빼먹기에 당했다"···464일째 고공농성 중인 두 여성의 사연 랭크뉴스 2025.04.15
43977 美재무 "한국과 내주 무역 협상…먼저 합의하는 국가가 유리"(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15
43976 5년치 보은 몰아치려니…몰락한 내란 정권의 ‘알박기’ 금도 넘었다 랭크뉴스 2025.04.15
43975 [100세 과학] “디지털 치매는 오해”…스마트폰이 인지기능 보호한다 랭크뉴스 2025.04.15
43974 “7세 고시는 학대, 아이 뇌 망가트려”··· 소아정신과 교수의 단호한 조언 랭크뉴스 2025.04.15
43973 中·日 투매설에 폭락한 美 국채… 일생일대 투자 기회? 랭크뉴스 2025.04.15
43972 트럼프 또 후퇴…"안 봐준다"더니 하루 만에 "車업계 돕겠다" 랭크뉴스 2025.04.15
43971 “장제원 공소권 없음과 수사 중지는 달라” 성폭력 사건 피해자 측 김재련 변호사[인터뷰] 랭크뉴스 2025.04.15
43970 美, 5개국과 무역 협상 우선추진…韓도 포함 랭크뉴스 2025.04.15
43969 우크라, 생포 중국인 기자회견…트럼프 “곧 좋은 제안 있을 것” 랭크뉴스 2025.04.15
43968 당신의 걸음걸이는 안녕하십니까… 느려졌다면 파킨슨 의심 랭크뉴스 2025.04.15
43967 자동차 부품도 유예 조치?‥"나는 유연한 사람" 랭크뉴스 2025.04.15
43966 [단독] 20년 믿고 맡긴 경리의 배신... "회삿돈 22억으로 명품 사고 호화 여행"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