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러트닉 장관 美 ABC 방송 인터뷰에서 밝혀
"전자제품 예외 일시적… 반도체 관세에 포함"
반도체 관세 부과 시점엔 "한두 달 내 발표"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이 9일 워싱턴 백악관 서관 밖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워싱턴=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당초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한 전자제품에 대해 13일(현지시간)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라고 방침을 바꿨다. 스마트폰, 노트북 등에 부과되는 관세를 반도체 품목별 관세에 포함시키겠다는 것이다. 시점은 한 달 후로 못박았다.

상호관세에서 빠진 전자기기, 반도체 관세에 포함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ABC 방송 '디스 위크'와 인터뷰에서 스마트폰, 컴퓨터 등 전자제품과 관련 "이러한 모든 제품은 반도체 제품에 속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같은 제품들이 안심하고 사용될 수 있도록 특별하게 집중된 유형의 관세가 적용될 것"이라며 "우리는 반도체, 칩, 평면 패널을 필요로 하며 이런 것들은 미국에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도체가 활용되는 첨단 전자제품의 경우 조만간 발표할 반도체 품목 관세에 포함시켜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얘기다.

러트닉 장관은 '컴퓨터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에 대한 관세가 일시적으로 면제되지만, 한 달 정도 후에 다른 형태로 부과될 것인가'라는 질문에 "맞다. 반도체와 의약품은 미국 내 생산을 장려하기 위한 관세 모델이 적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반도체 관세는 한 달 정도 후, 의약품 관세는 한두 달 내에 적용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앞서 11일 수입품 통관절차를 담당하는 미 관세국경보호국(CBP)은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라는 공지를 통해 스마트폰과 노트북 컴퓨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칩, 반도체 제조 장비 등을 상호관세 부과 대상 품목에서 제외한다고 발표했다. 상호관세가 부과될 경우 애플 아이폰 등의 미국 소비자 가격이 두 배 넘게 폭등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다만 일각에서는 반도체 품목별 관세 부과를 위한 사전조치라는 관측도 나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3일 미국 플로리다주 웨스트팜비치로 이동하는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원에 탑승해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팜비치=로이터 연합뉴스


반도체·의약품 관세, 국가 안보 차원… "협상 없다"



러트닉 장관은 미국으로 반도체 산업과 제약 산업의 이전을 장려하기 위한 관세 모델을 시행할 것이라며 "우리가 필요로 하는 기본적인 것들을 외국에 의존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건 영구적 면제 조항과 다르다. 각국이 협상할 수 있는 게 아니라는 걸 분명히 하고 있다"며 "미국에서 만들어야 하는 국가 안보와 관련된 것들"이라고 강조했다. 국가별로 협상에 들어가겠다고 밝혔던 상호관세와 달리 반도체와 의약품 관세에는 협상 여지가 없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 또한 반도체 관세 부과를 예고했다. 그는 12일 마이애미로 이동하는 대통령 전용기(에어포스원)에서 반도체 품목별 관세에 대해 "우리는 매우 구체적일 것"이라며 "월요일(14일)에 그에 대한 답을 주겠다"고 밝혔다.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 또한 같은 날 발표한 성명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공정하고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자동차, 철강, 의약품, 반도체 등은 특정한 (다른) 관세에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에 대한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 결과를 곧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무역확장법 232조는 외국산 수입 제품이 미국의 국가 안보에 위협을 끼칠 경우 긴급하게 조치할 수 있는 권한을 대통령에게 부여한다.

문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미국 기술 기업들의 불확실성을 증폭시킬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애플 주가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일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한 이후 11일까지 약 19% 떨어졌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는 "관세 발표는 일련의 반전을 겪었으며, 지난주에는 29조 달러(약 4경1,363조 원) 규모의 미국 국채 시장에서 대규모 매도가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365 尹 첫 형사재판 출석한 군 지휘관들 "의원 끌어내라 지시받아"(종합) 랭크뉴스 2025.04.14
48364 "내란 정당" "야 조용히 해!"…말싸움·몸싸움, 국회 아수라장 랭크뉴스 2025.04.14
48363 한덕수, 보수주자 2위 ‘성큼’… 다른 후보들 견제 본격화 랭크뉴스 2025.04.14
48362 ‘농촌 총각 이주 여성에 장가 보내기’ 지원 조례 모두 폐지…인권위 “환영” 랭크뉴스 2025.04.14
48361 연병장 100바퀴 도는 무인기?…이국종 원장이 본 군 의료체계 랭크뉴스 2025.04.14
48360 치료제도, 백신도 없다…381명 목숨 앗아간 정체가[헬시타임] 랭크뉴스 2025.04.14
48359 서울 삼성동 재개발구역 도로서 균열 발생… 이동 통제 랭크뉴스 2025.04.14
48358 검찰, '공직선거법 위반' 김혜경 항소심도 벌금 300만 원 구형 랭크뉴스 2025.04.14
48357 美 관세에 中 희토류 수출 중단… 엎친데 덮친 車 업계 랭크뉴스 2025.04.14
48356 “피고인 직업은 전직 대통령”···26년 검사 했던 윤석열의 첫 재판 랭크뉴스 2025.04.14
48355 'SNL 출연' 홍준표... "최저임금 너무 많아" "이재명은 양XX" 랭크뉴스 2025.04.14
48354 노화라고 생각했는데 알고 보니 파킨슨병··· 이런 증세 있다면 의심 랭크뉴스 2025.04.14
48353 서울 관악구 재개발지역 ‘지반침하’ 신고…주변 통제 중 랭크뉴스 2025.04.14
48352 "야 조용히해" "자신있어?"…'내란' 이 말에 국회 '벤치클리어링' 랭크뉴스 2025.04.14
48351 尹 사과 없이 82분간 변명만... "비폭력 계엄인데, 어떤 논리로 내란죄냐" 랭크뉴스 2025.04.14
48350 한덕수 ‘마지막 소명’에 대한 국민의힘 대선주자들 생각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14
48349 ‘캣타워’·‘사적 만찬’ 질의에 법무장관 답변이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14
48348 서울 관악구 삼성동 재개발구역서 지반침하…공사 중 도로 균열 랭크뉴스 2025.04.14
48347 윤, 79분 ‘폭풍 진술’…재판부 “5분 내 정리 좀”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14
48346 "과매도 구간 진입"…美증시 반등론 힘실린다 [인베스팅 인사이트] 랭크뉴스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