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탄핵 찬성·파면 수용 후보들

‘중도 확장 유리’ 강조할 듯


반대파는 표현 방식에 따라

메시지·아스팔트파로 분류

강성 지지층 소구할 가능성


국민의힘 6·3 대선 후보를 뽑는 당 경선에 나설 후보들은 10명 안팎으로 예상된다. 12·3 비상계엄과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에 대한 입장을 기준으로 보면 명확한 선을 긋자는 ‘절연파’, 탄핵소추는 인정한 ‘탄핵 용인파’, 탄핵 기각을 주장한 ‘메시지 반대파’와 ‘아스팔트 반대파’ 등으로 분류된다. 수적으로 탄핵 반대파가 많다.

13일 현재 국민의힘 경선 출마를 공식화한 이들은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과 한동훈 전 대표, 안철수·나경원·윤상현 의원, 양향자 전 의원, 홍준표 전 대구시장, 이철우 경북지사, 유정복 인천시장 등 9명이다. 후보 등록(14~15일)을 마치면 후보 규모가 확정된다.

이들 중 윤 전 대통령 탄핵에 찬성하고 헌법재판소의 파면 결정에 긍정적 입장을 밝힌 ‘절연파’는 3명이다. 한 전 대표와 안 의원, 양 전 의원이 해당한다. 한 전 대표는 비상계엄 선포 직후 ‘위헌·위법한 조치’라고 반발했고, 당내 탄핵소추 찬성 표결을 주도하다 축출됐다. 안 의원도 비상계엄을 “위헌적 친위 쿠데타”라며 강하게 비판했고, 1·2차 탄핵소추안 표결에 모두 찬성표를 던졌다. 양 전 의원은 SNS에서 비상계엄을 “민주주의를 파괴한 중대한 범죄”라고 비판했고, 파면 결정을 환영했다. 이들은 경선에서 자신들이 탄핵 찬성 여론이 높았던 중도층 표심을 얻기에 유리하다는 점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공식 메시지를 통해 탄핵소추와 파면에 반대한 ‘메시지 반대파’에는 김 전 장관과 홍 전 시장이 포함된다. 이들은 탄핵 반대 집회 등 전면에 나서지는 않았지만, SNS와 언론 인터뷰를 통해 윤 전 대통령 복귀를 촉구했다. 비상계엄은 “부적절하다”면서도 “계엄은 대통령 권한”이라며 탄핵에 반대하는 태도를 보였다. 이들은 최근 여론조사에서 국민의힘 주자 중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윤 전 대통령 복귀를 바랐던 강성 지지층이 결집한 결과로 해석된다. 경선에서 “헌법재판소 폐지”(홍 전 시장) 등 강경한 주장을 내세워 강성 지지층에 소구하려 할 것으로 예상된다.

탄핵 반대 집회에 직접 참여하며 강경 목소리를 낸 ‘아스팔트 반대파’ 중에서는 나·윤 의원과 이 지사가 경선 출마를 선언했다. 이들은 극우 인사인 전광훈 목사 등이 주최하는 집회에 참석해 계엄 선포를 두고 “고도의 통치 행위”(윤 의원), “민주당이 계엄 유발자”(나 의원)라고 했다.

이들은 최근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서 윤 전 대통령과 만나 그의 메시지를 외부로 전했다. 경선에서도 윤 전 대통령과 밀착하며 ‘아스팔트 우파’에 구애하는 행보를 이어갈 가능성이 있다.

윤 전 대통령 탄핵소추 필요성에 공감했으나 파면에는 뚜렷한 입장을 밝히지 않은 ‘탄핵 용인파’로는 유 시장이 있다. 유 시장은 지난해 12월 윤 전 대통령의 2차 대국민 담화 직후 “탄핵만은 피해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철회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후 언론 인터뷰에서 비상계엄 선포가 “야당 폭거에 대한 조치”라며 옹호하는 듯한 발언을 내놨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591 트럼프 또 오락가락…"안 봐준다"더니 하루 만에 "車업계 돕겠다" 랭크뉴스 2025.04.15
48590 국민의힘 해산은 왜 논의하지 않는가 [왜냐면] 랭크뉴스 2025.04.15
48589 구글, ‘트럼프 관세’ 등에 업고 韓 지도 데이터 요구하는데…“시장 잠식 우려”vs“세계 유일의 불허” 랭크뉴스 2025.04.15
48588 [속보] 최상목 "12조대 필수추경안 마련"…당초 발표보다 2조 증액 랭크뉴스 2025.04.15
48587 선배 가고 후배 오고…사외이사 ‘알박기’ 요지경 랭크뉴스 2025.04.15
48586 이준석 "월급쟁이 과잉과세 고리 끊을 것"... 근로소득세 개편 시사 랭크뉴스 2025.04.15
48585 ‘테슬라 매장 방화·머스크 비난 낙서’ 40대 기소…미 법무부 “형량 협상 없다” 랭크뉴스 2025.04.15
48584 트럼프 “자동차 회사들 시간 필요해”…관세 일시 유예 시사 랭크뉴스 2025.04.15
48583 이준석 "월급쟁이 과잉과세 고리 끊을 것"...근로소득세 개편 시사 랭크뉴스 2025.04.15
48582 미 재무장관 “한국과 내주 무역협상 예정···빠르게 진행될 것” 랭크뉴스 2025.04.15
48581 구글, ‘트럼프 관세’ 등에 업고 韓 지도 데이터 요구하는데…“시장 잠식 우려”vs“전 세계 유일의 불허” 랭크뉴스 2025.04.15
48580 "왜곡·조작됐다"‥헌재 판단도 모조리 '부정' 랭크뉴스 2025.04.15
48579 국회, 오늘 경제 분야 대정부질문…최상목 미국 국채 논란 다뤄질까 랭크뉴스 2025.04.15
48578 철 지난 장자승계, 법보다 앞설까…LG ‘2조 상속분쟁’ 판결 촉각 랭크뉴스 2025.04.15
48577 5개월 아기 뇌출혈에 온몸 멍 자국…학대 의심 부부 수사 랭크뉴스 2025.04.15
48576 "선거운동 해야하니 재판 빼달라"…대선 주자들 특권인가[현장에서] 랭크뉴스 2025.04.15
48575 [인터뷰] 홍준표 "정상적인 대선보다 쉬울 수도…이재명 잡을 사람은 나" 랭크뉴스 2025.04.15
48574 [투자노트] 트럼프 리스크 정점?… ‘종목 장세’는 이제 시작 랭크뉴스 2025.04.15
48573 “한 입 먹고 버리더라”…9,900원 빵 뷔페, 음식 낭비 논란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4.15
48572 이재명 첫 공약은 '인공지능'‥김두관 경선 '이탈'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