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의정갈등 4월 해결, 20일 집회 참여 뜻 모아" 대선 영향력 행사 예고
전국의사대표자대회 '의개특위 해체·정부 사과·대화 테이블' 결의문 채택


손팻말 든 김택우 의협 회장
(서울=연합뉴스) 신현우 기자 = 김택우 대한의사협회 회장이 13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열린 전국의사대표자대회에 참석해 손팻말을 들고 있다. 2025.4.13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권지현 기자 = 대한의사협회(의협)가 13일 대선기획본부를 출범하는 등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본격화한 조기 대선 국면 대응에 나섰다.

두 달도 채 남지 않은 대선 과정에서 의정 갈등을 완화하는 한편 의료계에 유리한 상황을 조성하기 위해 영향력 행사를 예고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의협은 이날 오후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출범식을 개최했다. 민복기 대구광역시의사회 회장과 정경호 전라북도의사회 회장이 본부장을 맡았다.

민 본부장은 "의정 갈등의 여러 가지 문제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에서 4월 중으로 해결해야 한다"며 특히 "의대생, 전공의와 정부가 빠른 시간 내에 접점을 찾아 내년도 의대 정원(모집인원) 문제를 조속히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내후년 의대 정원에 대해서는 "우리(의료계)가 교육 가능한 숫자의 범위를 정해놓고 국회에서 협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앞서 의협은 윤 전 대통령 파면 직후 정부와 정치권에 논의의 장을 마련해달라고 요구하면서 대화를 공식 요청한 바 있다.

의협은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정부가 약속한 의정 갈등 전인 3천58명으로 조기 확정하고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의개특위) 중단을 강하게 요구했다.

특히 의정 갈등 상황을 새 정부가 출범하기 이전에 현 정부와 매듭을 지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등 윤 대통령 파면 이후 목소리를 키워가고 있다.

의협은 이날 대선기획본부 출범과 동시에 전국의사대표자대회를 열어 의개특위 해체와 의대 정원 조정 등을 요구하는 결의문을 발표했다.

전국 의사 대표자들은 결의문에서 "일선 의료현장은 일방적·비상식적 정책 추진의 결과로 황폐해졌으며 의학을 배우고자 하는 학생들은 학습권을 침해받고 있다"며 "정부의 보건의료 정책 추진 방식에 근본적인 결함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 의개특위 해체 ▲ 의대생·전공의에 대한 정부의 공식 사과 ▲ 교육 불가능 의대의 입학정원 조정 ▲ 정부·국회·의료계 논의 테이블 마련 등 의협의 기존 주장을 재차 요구했다.

김택우 의협회장은 "이번 탄핵 선고로 잘못된 의료정책 추진의 정당성이 소멸됐다"며 "정부는 그간의 과오를 인정하고 의료개악을 즉각 중단, 의료 정상화를 위한 합리적 의료정책을 펴야 한다"고 말했다.

구호 외치는 박단 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
(서울=연합뉴스) 신현우 기자 =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뒷줄 왼쪽)이 13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열린 전국의사대표자대회에 참석해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5.4.13 [email protected]


이어진 비공개 회의에서는 20일로 예정된 전국의사총궐기대회와 이후의 투쟁 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서 의대생·사직 전공의 대표들은 선배 의사들에게 궐기대회 적극 참여를 요구했다. 특히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대위원장은 "선배들이 무엇을 해 줄 수 있느냐"고 묻는 등 투쟁을 요구하며 "선배들이 움직이지 않는다면 전공의·의대생이 논의에 나서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회의에서 이 같은 강경 투쟁론에 호응한 이는 소수로, 개원가나 교수들 사이에서는 의대생 복귀와 함께 출구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라고 회의 참석자는 전했다.

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정부의 빠른 자세 변화를 요청하기 위해 휴진, 파업 등 행동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지만 여러 의견을 듣는 자리였고 결의한 것은 없다. 정부의 답을 들어보고 움직일 것"이라고 전했다.

김 대변인은 "20일 집회 참여에는 (대표자들이) 뜻을 같이했고, 집회 전이라도 정부가 전향적인 자세를 보이면 반응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의협은 집회에 5천∼1만명이 참석할 것으로 예상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843 권성동, 질문하는 기자 손목 잡아채 끌고 가 “지라시 취재는 거부” 랭크뉴스 2025.04.17
44842 "아프다" 시상식 불참한 90세 이순재, 일주일 뒤 반가운 소식 랭크뉴스 2025.04.17
44841 “사기 분양 고소당해 가족 살해” 용인 50대 가장, 경찰 진술 랭크뉴스 2025.04.17
44840 "술만 마시면 애들까지 때리는 남편, 이혼하자니 재산·양육비 포기하라네요" 랭크뉴스 2025.04.17
44839 한덕수 무리수가 자초한 대통령 권한대행 자격 논란 랭크뉴스 2025.04.17
44838 러, 우크라 침공받은 접경지 쿠르스크 전 주지사 체포 랭크뉴스 2025.04.17
44837 한강 작가 새 책, 다음주 나온다 랭크뉴스 2025.04.17
44836 "11년 지나도, 차가운 봄"‥한덕수·국민의힘 주자들은 불참 랭크뉴스 2025.04.17
44835 집에서 포경수술 했다가…생후 45일 아기, 과다출혈로 사망 랭크뉴스 2025.04.17
44834 법원, 뉴진스 ‘독자활동 금지’ 유지…멤버들 즉시항고해 2심 간다 랭크뉴스 2025.04.17
44833 이재명, 타임지 선정 '세계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 됐다 랭크뉴스 2025.04.17
44832 본안 판단은 언제?‥대선 넘기면 '새 대통령'이 지명 랭크뉴스 2025.04.17
44831 비상구 개방 두 차례 시도했지만 저지 실패‥"앞자리 승객이 제압" 랭크뉴스 2025.04.17
44830 독일 종전 80년 추모행사에 '불청객' 러 대사 헌화 랭크뉴스 2025.04.17
44829 美 뉴욕 증시, 장 초반 일제히 하락…엔비디아 등 반도체株 ‘파란불’ 랭크뉴스 2025.04.17
44828 "난 이기고 온거니 걱정말라" 尹, 파면당하고도 이랬던 내막 [尹의 1060일 ⑨] 랭크뉴스 2025.04.17
44827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서 실종자 숨진채 발견...사건 124시간만 (종합) 랭크뉴스 2025.04.17
44826 [사설] 누구도 우리 없이 '한반도 문제' 논의 안된다 랭크뉴스 2025.04.17
44825 뉴욕증시, 엔비디아 대중 수출 규제·무역전쟁 공포↑…하락 출발 랭크뉴스 2025.04.17
44824 "트럼프, 머스크가 국방부의 中전쟁계획 브리핑 못 듣게 차단"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