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4일부터 업주에 포장 주문 건당 6.8% 부과
12일 자영업자 커뮤니티인 ‘아프니까 사장이다’에 올라온 게시글. 이 게시글에는 입점 업주가 주문 안내란에 공지할 때 “수수료”라는 단어를 사용할 수 없게끔 설정돼 있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아프니까 사장이다 갈무리


국내 1위 배달 플랫폼 배달의민족(배민)은 14일부터 포장주문을 통한 주문에 1건당 ‘포장주문 중개 이용료(포장수수료) 6.8%를 부과한다. 고객이 직접 식당에 음식을 가지러 가는 포장주문을 배민 앱(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하면 업주에 포장수수료가 부과된다.

업주들은 새로 부과되는 포장수수료를 음식 가격에 반영할 수 밖에 없다. 그런데 정작 ‘주문 안내’에는 ‘수수료’라는 말을 쓸 수 없다. 가격을 올리면서 가장 큰 이유를 손님들에게 설명할 수 없는 셈이다. 서울 강동구에서 외식업을 하는 윤모씨(47)는 “고객들한테는 저희만 나쁜 사람이죠”라고 말했다. 이어 “아는 분들은 이해해주는데, 가격이 갑자기 비싸졌다는 분들도 있다”며 “포장용기를 주는 것도 아니고 수수료를 도대체 왜 받아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13일 경향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배민 운영사인 우아한형제들은 앱 주문 안내란에 ‘수수료’를 금지 단어로 설정해 놓고 있다. 업주들은 포장수수료로 인한 가격 정보 변경·할인 쿠폰 종료 등을 고객들에게 알릴 수 없다고 하소연한다. 전문가들은 “고객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려는 업주들 노력조차 가로막는 것”이라고 말했다.

자영업자 온라인 커뮤니티인 ‘아프니까 사장이다’에는 지난 12일 ‘배민 공지사항에 수수료를 못 적게 한다’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글쓴이는 캡처 사진과 함께 “포장 수수료(가) 업주 부담이라 종료 안내차 공지(를) 쓰는 데 수수료라고 쓰질 못한다”고 적었다. 사진을 보면 “수수료” 단어가 들어가니 “‘수수료’은(는) 입력할 수 없어요”라는 적색 안내 글이 붙었다.

지난 11일 자영업자 온라인 커뮤니티인 아프니까 사장이다에는 배달의민족 측의 포장 수수료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아프니까 사장이다 갈무리


댓글에는 “수.수.료”, “susu료” 등 우회적으로 수수료를 표시하자는 제안이 잇따랐다. 그러자 한 업주는 “이마저도 임의로 삭제된다”고 말했다. 배민 측이 모니터링을 해 관련 표현이 보이면 바로 삭제한다는 것이다.

‘공정한 플랫폼을 위한 사장협회’(공플협) 소속 김준형씨(35)는 “포장 수수료로 6.8%, 결제 수수료로 3.3%(부가세 포함)로 매출의 10%가량을 수수료로 내야 한다”며 “이런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가격을 인상하거나 기존 할인을 취소하면 결국 손님들은 떠나간다”고 말했다.

서울 마포구에서 외식업을 하는 신모씨(47)는 “(수수료 등) 상황을 아시는 분들은 가게로 직접 전화해서 포장 주문을 하시는데 그런 분들에게는 수수료 가격을 뺀 가격이나 서비스 음식을 제공한다”며 “고객들도 이런 내용을 알아야 합리적으로 주문할 수 있는데, 이런 정보도 제공할 수 없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이연주 참여연대 민생경제팀 간사는 “자영업자들은 소비자의 가격 불만을 음식 가격이 아닌 배달 앱)의 이용 가격이라는 것을 알리고 싶어하는 것”이라며 “‘수수료’ 등을 못 적게 막는 것은 분명한 잘못”이라고 말했다. 이주한 변호사(법무법인 위민)는 “지난해 ‘배달플랫폼 입점업체 상생협의체‘에서 그나마 진전됐던 내용이 수수료 표시를 명확하게 하겠다는 것이었다”며 “근데 수수료 표기도 하지 않고 있고, 이 정보를 알리려는 것도 방해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배민 측은 포장도 배달처럼 앱에 입점해 광고효과를 누리는 만큼 수수료를 받는 것이고, 지난 5년 가까이는 코로나19 등 이유로 무료정책을 유지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포장) 서비스를 활성화하면 배달비 부담이 발생하지 않아 업주들 수익성은 개선된다”고 말했다. 이어 앱 주문 안내란에 ‘수수료’란 단어를 못 쓰게 한 것은 가게 홍보 등 본래 목적과 다른 용어는 쓸 수 없도록 한 조치라고 주장했다.

김영명 공플협 공동의장은 “업주들은 포장할 때만 적용되는 할인쿠폰 등 만드는 등 자체적으로 마케팅을 하고 있었다”며 “배민이 포장수수료를 받으면 그와 같은 노력들을 더 이상은 못하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846 대통령 파면 후에도 압수수색 막은 경호처 “임의 제출로 자료 내겠다” 랭크뉴스 2025.04.17
44845 트럼프에 반기 든 하버드... 오바마, "다른 대학들도 따르길” 랭크뉴스 2025.04.17
44844 EU, 철강·타이어 '재활용 비율' 규제 예고…韓수출품도 영향 랭크뉴스 2025.04.17
44843 권성동, 질문하는 기자 손목 잡아채 끌고 가 “지라시 취재는 거부” 랭크뉴스 2025.04.17
44842 "아프다" 시상식 불참한 90세 이순재, 일주일 뒤 반가운 소식 랭크뉴스 2025.04.17
44841 “사기 분양 고소당해 가족 살해” 용인 50대 가장, 경찰 진술 랭크뉴스 2025.04.17
44840 "술만 마시면 애들까지 때리는 남편, 이혼하자니 재산·양육비 포기하라네요" 랭크뉴스 2025.04.17
44839 한덕수 무리수가 자초한 대통령 권한대행 자격 논란 랭크뉴스 2025.04.17
44838 러, 우크라 침공받은 접경지 쿠르스크 전 주지사 체포 랭크뉴스 2025.04.17
44837 한강 작가 새 책, 다음주 나온다 랭크뉴스 2025.04.17
44836 "11년 지나도, 차가운 봄"‥한덕수·국민의힘 주자들은 불참 랭크뉴스 2025.04.17
44835 집에서 포경수술 했다가…생후 45일 아기, 과다출혈로 사망 랭크뉴스 2025.04.17
44834 법원, 뉴진스 ‘독자활동 금지’ 유지…멤버들 즉시항고해 2심 간다 랭크뉴스 2025.04.17
44833 이재명, 타임지 선정 '세계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 됐다 랭크뉴스 2025.04.17
44832 본안 판단은 언제?‥대선 넘기면 '새 대통령'이 지명 랭크뉴스 2025.04.17
44831 비상구 개방 두 차례 시도했지만 저지 실패‥"앞자리 승객이 제압" 랭크뉴스 2025.04.17
44830 독일 종전 80년 추모행사에 '불청객' 러 대사 헌화 랭크뉴스 2025.04.17
44829 美 뉴욕 증시, 장 초반 일제히 하락…엔비디아 등 반도체株 ‘파란불’ 랭크뉴스 2025.04.17
44828 "난 이기고 온거니 걱정말라" 尹, 파면당하고도 이랬던 내막 [尹의 1060일 ⑨] 랭크뉴스 2025.04.17
44827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서 실종자 숨진채 발견...사건 124시간만 (종합)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