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해외 뷰티 유튜버들이 올린 국산 선크림 사용 후기 영상. 유튜브 캡처

미국 현지에서 한국산 자외선 차단제(선크림) 사재기 움직임이 일고 있다. 트럼프발 관세폭탄으로 인한 가격 인상 우려 때문만은 아니다. 관세 폭탄을 피해 한국 기업이 선크림을 미국에서 생산할 경우 의약품 규제를 받아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는 소문 때문이다.



美 FDA 규제, K뷰티는 우회?
디에프에스컴퍼니의 하루하루원더 선크림(왼쪽)과 위시컴퍼니의 디어 클레어스 선크림. 사진 각 사

13일 화장품 업계에 따르면 K뷰티 업체들은 한국산 선크림의 인기에 반색하면서도 미국 소비자들의 오해를 해소하기 위해 고민 중이다. 한국산 선크림의 품질력이 좋은 이유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규제를 받지 않기 때문이라는 잘못된 인식 때문이다.

지난 10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는 한국산 선크림 사재기 현상을 소개하며 “선크림을 화장품으로 분류하는 유럽·아시아와 달리 미국에서는 선크림에 의약품 규제를 적용한다”며 “이 때문에 미국에서는 질감 좋은 선크림을 만들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국내 중소형 뷰티 브랜드의 제품을 생산하는 ODM(제조사 개발생산) 업체들은 이미 미국 규제를 감안한 선크림을 생산·수출하고 있다. 한국콜마 측은 “지난해 생산한 미국 수출용 인증 규정(OTC) 선크림 품목 수가 전년보다 88% 증가했다”며 “의약품 기준을 충족하면서도 기존 발림성을 유지하도록 제품을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코스맥스 측도 “미국뿐 아니라 국내 공장도 FDA 실사, OTC 적합 판정을 모두 거쳤다”며 “국내 선크림 제품의 제형이 다양해 해외에서 인기를 얻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산 선크림, 사재기까지
구다이글로벌의 조선미녀 선크림. 홈페이지 캡처

선크림은 미국에서 K뷰티 흥행을 가장 먼저 이끌었던 제품이다. 촉촉하고 발림성이 좋은데다 다른 메이크업 제품을 덧발라도 잘 어우러지기 때문이다. 가격이 저렴한 것도 인기의 주요 요인 중 하나다.

한국산 선크림은 관세로 가격이 오르기 전 미리 주문해야할 제품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SNS 레딧의 한 이용자는 “1년치 한국산 선크림을 주문했다. 다 쓰고 나면 어떻게 해야 할지 생각해봐야겠다”며 “다시는 미국산 선크림을 못 쓰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화장품 업계 관계자는 “한국산 선크림에 대한 관심이 그만큼 크다는 뜻”이라며 “최근 FDA가 피부암 예방을 위해 선크림 사용을 권장하면서 인기가 더 올라가고 있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현지 생산·고급화 초점
화장품 업계는 관세 여파에도 선크림의 인기를 유지하기 위해 고심 중이다. 주요 ODM 업체들은 미국 현지 생산설비를 활용해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겠다는 전략이다. 한국콜마는 상반기 중 미국 펜실베니아주에 마련한 제2공장을 가동해 선크림과 기초화장품을 생산할 예정이다. 현재 1억8000개 정도인 북미법인 생산량을 3억개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코스맥스도 미국 뉴저지 공장의 선크림 생산 품목을 전년 대비 3배 이상 확대할 계획이다.

가성비를 앞세웠던 K뷰티 업체들은 품질 경쟁력 위주로 마케팅 전략을 재점검 중이다. 중소 화장품업체 관계자는 “K뷰티는 한류 열풍과 기능성, 천연 재료 등의 강점이 있어 인기를 끈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품질로 경쟁력을 유지하되 장기적으로는 브랜드 이미지를 더욱 고급화하고 수출국을 다변화하는 전략을 구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585 ‘테슬라 매장 방화·머스크 비난 낙서’ 40대 기소…미 법무부 “형량 협상 없다” 랭크뉴스 2025.04.15
48584 트럼프 “자동차 회사들 시간 필요해”…관세 일시 유예 시사 랭크뉴스 2025.04.15
48583 이준석 "월급쟁이 과잉과세 고리 끊을 것"...근로소득세 개편 시사 랭크뉴스 2025.04.15
48582 미 재무장관 “한국과 내주 무역협상 예정···빠르게 진행될 것” 랭크뉴스 2025.04.15
48581 구글, ‘트럼프 관세’ 등에 업고 韓 지도 데이터 요구하는데…“시장 잠식 우려”vs“전 세계 유일의 불허” 랭크뉴스 2025.04.15
48580 "왜곡·조작됐다"‥헌재 판단도 모조리 '부정' 랭크뉴스 2025.04.15
48579 국회, 오늘 경제 분야 대정부질문…최상목 미국 국채 논란 다뤄질까 랭크뉴스 2025.04.15
48578 철 지난 장자승계, 법보다 앞설까…LG ‘2조 상속분쟁’ 판결 촉각 랭크뉴스 2025.04.15
48577 5개월 아기 뇌출혈에 온몸 멍 자국…학대 의심 부부 수사 랭크뉴스 2025.04.15
48576 "선거운동 해야하니 재판 빼달라"…대선 주자들 특권인가[현장에서] 랭크뉴스 2025.04.15
48575 [인터뷰] 홍준표 "정상적인 대선보다 쉬울 수도…이재명 잡을 사람은 나" 랭크뉴스 2025.04.15
48574 [투자노트] 트럼프 리스크 정점?… ‘종목 장세’는 이제 시작 랭크뉴스 2025.04.15
48573 “한 입 먹고 버리더라”…9,900원 빵 뷔페, 음식 낭비 논란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4.15
48572 이재명 첫 공약은 '인공지능'‥김두관 경선 '이탈' 랭크뉴스 2025.04.15
48571 박수영 "국힘 의원 54명 한덕수 출마 촉구 확인... 분위기 달라져" 랭크뉴스 2025.04.15
48570 “자동차 미국 생산에 시간 걸려”…트럼프, 이번엔 차 부품 관세 뒤집나 랭크뉴스 2025.04.15
48569 [속보]美재무 "한국과 내주 무역 협상…먼저 합의하는 국가가 유리" 랭크뉴스 2025.04.15
48568 관식의 헌신적 사랑, 현실에서 가능할까... 오히려 자녀에겐 독 랭크뉴스 2025.04.15
48567 “여직원들 끌어안고” 폭로에…고창군의원 “사과했다”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4.15
48566 "외투기업 알맹이 빼먹기에 당했다"···464일째 고공농성 중인 두 여성의 사연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