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최대 고객사 애플용 부품 공급 차질 없을듯
“불확실성 해소, 곧 발표될 반도체 관세는 변수”

(왼쪽부터) LG디스플레이 파주 P10 공장, 삼성디스플레이 아산 공장 전경. /각사 제공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스마트폰, 컴퓨터 등을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하면서 북미 시장에 스마트폰을 수출하는 삼성전자를 비롯해 애플용 디스플레이, 이미지센서 등 주요 부품을 공급하던 삼성, LG그룹 전자·부품 계열사들이 안도의 한숨을 내쉬게 됐다.

다만 이번 관세 유예는 일시적일 수 있으며, 조만간 다른 유형의 관세가 적용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등 불확실성이 완전히 해소된 상황은 아니어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입장 변화를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지난 11일(현지시각) 미국 관세국경보호국(CBP)은 스마트폰과 노트북 컴퓨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칩, 반도체 제조 장비 등을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하는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를 공지했다. 중국에 부과한 125%, 그 외 국가에 대한 10%의 상호관세를 이들 품목에는 일단 적용 유예하겠다는 결정이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모바일사업부(MX)는 미국의 이번 결정에 대해 특별한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지만, 불확실성 해소에 대해 고무된 분위기다. 삼성에 정통한 관계자는 “일단 스마트폰과 노트북, PC 부품에 대한 상호관세 유예가 결정된 데 대해 안도하지만, 앞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이 또 어떻게 바뀔지 모르니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기,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등 애플을 주요 고객사로 둔 대형 부품사들도 큰 걱정 하나를 덜게 됐다. 업계에 정통한 관계자는 “아이폰에 카메라 모듈, 디스플레이 등을 공급하는 국내 부품업계에도 애플에 대한 관세가 145%에서 크게 낮아진 것은 안도가 되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중국에 생산 공장이 없는 삼성 스마트폰은 상호관세에서 일단 자유로워졌지만, 중국에서 90% 가까이 생산하는 애플의 경우는 상황이 모호한 편이다.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와 별개로 펜타닐 등 마약 대응을 이유로 중국에 부과한 ’10%+10%' 관세는 그대로 유지된다고 봤고, 파이낸셜타임스(FT)는 중국 제조 스마트폰에 대한 20% 관세 여부가 불확실하다고 보도하는 등 해석이 분분한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와 애플에 적용되는 관세가 10∼20% 정도 차이가 나는 것은 크게 유의미하지 않다”면서도 “미국이 중국에 대한 태도 변화가 워낙 변덕스러운 만큼 상황을 잘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 백악관은 캐롤라인 레빗 대변인 명의의 성명에서 미국은 반도체나 스마트폰, 노트북 등과 같은 핵심 기술을 생산하는데 중국에 의존할 수 없다고 밝혔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이에 따라 이번 스마트폰, 노트북 등에 대한 관세 유예는 일시적일 수 있으며 조만간 다른 유형의 관세가 적용될 수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삼성전자가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짓고 있는 첨단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삼성전자 제공

한편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 반도체 제조 장비 등이 제외되면서 현재 미국에 대규모 공장을 짓고 있는 삼성전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스마트폰과 노트북 등이 상호관세 예외 품목에 포함되면서 범용 메모리 반도체 수요 둔화 우려도 일부 해소될 전망이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에 대한 품목별 관세 부과를 예고한 만큼 아직 안도하기에는 이르다는 반응이 반도체 업계에서도 제기된다. 반도체 업계의 불확실성 역시 여전하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일 “반도체(관세)가 곧 시작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967 자동차 부품도 유예 조치?‥"나는 유연한 사람" 랭크뉴스 2025.04.15
43966 [단독] 20년 믿고 맡긴 경리의 배신... "회삿돈 22억으로 명품 사고 호화 여행" 랭크뉴스 2025.04.15
43965 구글, '유튜브 뮤직' 뺀 새 요금제 韓에도 출시하나…공정위와 협의 중 랭크뉴스 2025.04.15
43964 오락가락 반도체 관세 '일단 유예'에 美 증시 상승 마감 [데일리국제금융시장] 랭크뉴스 2025.04.15
43963 [단독]단순 예산 편성착오에…지자체 수십억 예산 날아갈판 랭크뉴스 2025.04.15
43962 "한국 가면 무조건 사야 돼"…일본인들 우르르 몰려와 사간다는 '이것' 랭크뉴스 2025.04.15
43961 양당 경선 무용론에 '반명 빅텐트' 솔솔... 범보수 단일화냐, 제3지대 연대냐 랭크뉴스 2025.04.15
43960 [단독] 방사청, 한화오션 ‘부정당업자 제재’ 검토…이달 30일 방추위서 KDDX ‘최종 결론’ 가닥[이현호의 밀리터리!톡] 랭크뉴스 2025.04.15
43959 신안산선 공사장 붕괴 사고 닷새째…실종자 밤샘 수색 랭크뉴스 2025.04.15
43958 수도권 1분기 분양 70%↓… 건설사 진퇴양난 랭크뉴스 2025.04.15
43957 "메시지 계엄"‥사과·반성 없는 82분의 '강변' 랭크뉴스 2025.04.15
43956 오락가락 트럼프 또 '관세 변덕'…"반도체 일부기업에 유연성"[글로벌 모닝 브리핑] 랭크뉴스 2025.04.15
43955 K-스타트업에 쏠린 표심…대선판 흔드는 AI·반도체 공약 랭크뉴스 2025.04.15
43954 [속보] 美, 반도체·의약품 안보 영향 조사 착수 랭크뉴스 2025.04.15
43953 "AI 고급인재에 軍 면제"…韓 AI 특허, 中 8% 수준[Pick코노미] 랭크뉴스 2025.04.15
43952 한은 "정치 불확실성 여전히 계엄 전보다 월등히 높아" 랭크뉴스 2025.04.15
43951 “몇시간 사건이 내란? 법리에 안 맞아”… 尹, 기존입장 되풀이 랭크뉴스 2025.04.15
43950 트럼프, 차 부품 관세 추가 면제 시사…반도체 등 관세 부과 수순 랭크뉴스 2025.04.15
43949 자나깨나 입조심… ‘대선 3수’ 이재명, 본선까지 ‘안정 전략’ 랭크뉴스 2025.04.15
43948 탄핵됐어도 경호시설 예산 140억 집행될까?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