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최대 고객사 애플용 부품 공급 차질 없을듯
“불확실성 해소, 곧 발표될 반도체 관세는 변수”

(왼쪽부터) LG디스플레이 파주 P10 공장, 삼성디스플레이 아산 공장 전경. /각사 제공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스마트폰, 컴퓨터 등을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하면서 북미 시장에 스마트폰을 수출하는 삼성전자를 비롯해 애플용 디스플레이, 이미지센서 등 주요 부품을 공급하던 삼성, LG그룹 전자·부품 계열사들이 안도의 한숨을 내쉬게 됐다.

다만 이번 관세 유예는 일시적일 수 있으며, 조만간 다른 유형의 관세가 적용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등 불확실성이 완전히 해소된 상황은 아니어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입장 변화를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지난 11일(현지시각) 미국 관세국경보호국(CBP)은 스마트폰과 노트북 컴퓨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칩, 반도체 제조 장비 등을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하는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를 공지했다. 중국에 부과한 125%, 그 외 국가에 대한 10%의 상호관세를 이들 품목에는 일단 적용 유예하겠다는 결정이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모바일사업부(MX)는 미국의 이번 결정에 대해 특별한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지만, 불확실성 해소에 대해 고무된 분위기다. 삼성에 정통한 관계자는 “일단 스마트폰과 노트북, PC 부품에 대한 상호관세 유예가 결정된 데 대해 안도하지만, 앞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이 또 어떻게 바뀔지 모르니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기,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등 애플을 주요 고객사로 둔 대형 부품사들도 큰 걱정 하나를 덜게 됐다. 업계에 정통한 관계자는 “아이폰에 카메라 모듈, 디스플레이 등을 공급하는 국내 부품업계에도 애플에 대한 관세가 145%에서 크게 낮아진 것은 안도가 되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중국에 생산 공장이 없는 삼성 스마트폰은 상호관세에서 일단 자유로워졌지만, 중국에서 90% 가까이 생산하는 애플의 경우는 상황이 모호한 편이다.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와 별개로 펜타닐 등 마약 대응을 이유로 중국에 부과한 ’10%+10%' 관세는 그대로 유지된다고 봤고, 파이낸셜타임스(FT)는 중국 제조 스마트폰에 대한 20% 관세 여부가 불확실하다고 보도하는 등 해석이 분분한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와 애플에 적용되는 관세가 10∼20% 정도 차이가 나는 것은 크게 유의미하지 않다”면서도 “미국이 중국에 대한 태도 변화가 워낙 변덕스러운 만큼 상황을 잘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 백악관은 캐롤라인 레빗 대변인 명의의 성명에서 미국은 반도체나 스마트폰, 노트북 등과 같은 핵심 기술을 생산하는데 중국에 의존할 수 없다고 밝혔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이에 따라 이번 스마트폰, 노트북 등에 대한 관세 유예는 일시적일 수 있으며 조만간 다른 유형의 관세가 적용될 수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삼성전자가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짓고 있는 첨단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삼성전자 제공

한편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 반도체 제조 장비 등이 제외되면서 현재 미국에 대규모 공장을 짓고 있는 삼성전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스마트폰과 노트북 등이 상호관세 예외 품목에 포함되면서 범용 메모리 반도체 수요 둔화 우려도 일부 해소될 전망이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에 대한 품목별 관세 부과를 예고한 만큼 아직 안도하기에는 이르다는 반응이 반도체 업계에서도 제기된다. 반도체 업계의 불확실성 역시 여전하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일 “반도체(관세)가 곧 시작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374 9613억원 ‘블랙 호크’ 개량 사업 수주전 본격화… “유지·보수 능력 관건” new 랭크뉴스 2025.04.14
48373 손동작… 격앙된 목소리로 82분 ‘셀프 변론’ new 랭크뉴스 2025.04.14
48372 아내 명의로 족발집 운영한 공무원… “겸직 징계 억울” 소송 패소 new 랭크뉴스 2025.04.14
48371 독주 먹이고 비서 성폭행, 상습 불법촬영도… 유명 사업가, 2심도 실형 new 랭크뉴스 2025.04.14
48370 검찰총장 자녀 특혜 채용 의혹에 외교부 장관 "여러 의혹 있어 감사 청구" new 랭크뉴스 2025.04.14
48369 "코미디""난삽한 공소장"…尹, 11명 변호인 대신 93분 직접 변론 new 랭크뉴스 2025.04.14
48368 2000만원대 BYD 전기차…국내 인도 시작 new 랭크뉴스 2025.04.14
48367 韓대행 "필요시 트럼프와 직접 소통…관세 최소화 노력할 것"(종합2보) new 랭크뉴스 2025.04.14
48366 음주상태서 과속·신호위반, 보행자 치고도 발뺌한 30대···결국 법원서 중형 new 랭크뉴스 2025.04.14
48365 尹 첫 형사재판 출석한 군 지휘관들 "의원 끌어내라 지시받아"(종합) new 랭크뉴스 2025.04.14
48364 "내란 정당" "야 조용히 해!"…말싸움·몸싸움, 국회 아수라장 new 랭크뉴스 2025.04.14
48363 한덕수, 보수주자 2위 ‘성큼’… 다른 후보들 견제 본격화 new 랭크뉴스 2025.04.14
48362 ‘농촌 총각 이주 여성에 장가 보내기’ 지원 조례 모두 폐지…인권위 “환영” new 랭크뉴스 2025.04.14
48361 연병장 100바퀴 도는 무인기?…이국종 원장이 본 군 의료체계 new 랭크뉴스 2025.04.14
48360 치료제도, 백신도 없다…381명 목숨 앗아간 정체가[헬시타임] new 랭크뉴스 2025.04.14
48359 서울 삼성동 재개발구역 도로서 균열 발생… 이동 통제 new 랭크뉴스 2025.04.14
48358 검찰, '공직선거법 위반' 김혜경 항소심도 벌금 300만 원 구형 new 랭크뉴스 2025.04.14
48357 美 관세에 中 희토류 수출 중단… 엎친데 덮친 車 업계 new 랭크뉴스 2025.04.14
48356 “피고인 직업은 전직 대통령”···26년 검사 했던 윤석열의 첫 재판 new 랭크뉴스 2025.04.14
48355 'SNL 출연' 홍준표... "최저임금 너무 많아" "이재명은 양XX" new 랭크뉴스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