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5대 메가시티 자치정부 만들 것…연방제 수준 지방자치로 가야"
"개헌은 대선 후 사회적 공론화 거쳐 내년 지방선거서"
"개헌은 대선 후 사회적 공론화 거쳐 내년 지방선거서"
김경수, 세종서 대선 출마 선언
(세종=연합뉴스) 배재만 기자 =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13일 세종시청에서 대선 출마 선언을 하고 있다. 2025.4.13 [email protected]
(세종=연합뉴스) 배재만 기자 =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13일 세종시청에서 대선 출마 선언을 하고 있다. 2025.4.13 [email protected]
(서울·세종=연합뉴스) 김영신 안정훈 기자 =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13일 "행정수도를 세종시로 완전히 이전하겠다"는 공약을 내걸며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했다.
김 전 지사는 이날 세종시청에서 출마 기자회견을 열고 "대통령실을 세종시로 옮겨오고 새로운 지방시대를 열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전 지사는 "내란의 상징인 용산을 더 이상 대통령실로 사용할 수 없다"며 "대통령이 반드시 서울에 있어야 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마지막 비서관으로 불린 김 전 지사가 노 전 대통령이 재임 당시 추진했던 행정수도 이전 등 지방분권을 계승해 실천하겠다는 구상이다.
김 전 지사는 "국가 운영의 기본 틀을 바꿔야 한다. 대한민국의 성장축을 다양화해야 한다"며 "수도권 일극이 아니라 전국을 5대 권역으로 나눠 5개의 성장축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전 지사는 '권역별 5대 메가시티 자치정부'를 제시하며 "행정구역을 개편해 5대 메가시티 자치정부가 국가의 발전을 이끌어 가는 시대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어 "더 나아가 연방제 수준의 지방자치로 가야 한다. 그래야 대통령이 절대권력이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며 "지방자치단체를 지방정부로 하도록 헌법부터 바꾸고, 자치권도 명문화하겠다"고 했다.
김 전 지사는 개헌 논의 시기와 관련해서는 "대선 이후 400일간의 사회적 공론화와 숙의를 거쳐 다음 (내년) 지방선거에서 개헌이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내란 종식의 완성은 개헌이지만 개헌 논의가 내란 세력의 책임 면피 수단이 될 수는 없다"며 "윤석열 보유정당의 이름표를 달고 헌정 질서를 파괴하는 세력과 동거하며 어떻게 개헌을 얘기할 수 있겠는가"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개헌은 헌정 수호 세력의 단단한 연대와 연합으로 추진해야 한다"며 "국민의 삶을 책임지는 새로운 헌법을 국민과 함께 만들고 제7공화국 새 시대를 열겠다"고 강조했다.
김 전 지사는 또한 "100일의 대타협, 5년의 비상 대책 정부를 통해 대계획과 비전을 만들겠다"며 이를 위해 차기 정부 출범 즉시 '100일의 대타협과 비전 만들기'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지지자들과 인사하는 김경수 전 지사
(세종=연합뉴스) 배재만 기자 =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13일 대선 출마 선언을 위해 세종시청에 도착해 지지자들과 인사하고 있다. 2025.4.13 [email protected]
(세종=연합뉴스) 배재만 기자 = 더불어민주당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13일 대선 출마 선언을 위해 세종시청에 도착해 지지자들과 인사하고 있다. 2025.4.13 [email protected]
김 전 지사는 "윤석열이 파면됐지만 내란은 계속되고 있어 압도적인 정권교체로 내란을 완전히 종식해야 한다. 비상계엄 같은 불행한 사태가 다시는 일어나지 않도록 정치 개혁, 제도 개혁이 필요하다"며 "내란에 반대하고 헌법을 수호하는 세력이 함께 모여 국가적 위기의 해법과 미래 비전을 치열하게 토론하고 '빛의 연정'을 구성하기 위한 합의를 만들겠다"고 설명했다.
김 전 지사는 노무현·문재인 정부에서 일하고 경남지사를 지낸 이력을 강조하며 "입법·행정·국정 경험을 모두 가진 유일한 후보로, 거인들의 어깨 위에서 배운 통합과 연대의 경험과 비전이 있다"고 타 후보들과의 차별점을 부각했다.
그는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 3대 민주 정부의 공과를 모두 가진 민주당은 경험에 바탕한 실력 있는 리더십을 발휘할 것"이라며 "저에게 기회를 달라. 윤석열 파면을 촉구하며 단식하던 절박함으로 대한민국의 위기를 극복하겠다"고 강조했다.
[email protected]